• 제목/요약/키워드: 20M10

검색결과 17,208건 처리시간 0.049초

Bisphenol A와 Nonylphenol이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성숙기 난모세포의 스테로이드 생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and Nonylphenol on In Vitro Steroid Production in Matured Oocyte of Greenlings, Hexagrammos agrammus)

  • 황인준;김형배;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75-28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산어를 이용하여 bisphenol A(BPA)와 nonylphenol(NP)이 난모세포 성숙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성숙단계에 있는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난모세포(난경 약 1.88 mm)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BPA와 NP 처리에 의한 난모세포의 성스테로이드 생성농도를 조사하였다. 난모세포에 BPA와 NP를 농도구별(0.1, 1, 10, 100, 1,000 ng/$m{\ell}$)로 첨가하고, 50 IU의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를 농도구별 BPA 또는 NP와 함께 첨가하거나 하지 않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 내의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17{\alpha}20{\beta}OHP$), estradiol-$17{\beta}(E_2)$ 그리고 testosterone(T)의 농도를 방사면역측정법(RIA)을 통해 정량하였다. BPA 처리구에서는 100 ng/$m{\ell}$의 농도구에서 HCG 처리 유무에 상관없이 $E_2$ 생성이 촉진되었다. HCG 처리하에서 0.1 ng/㎖의 농도구에서 T 생성은 촉진 되었으나, HCG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모든 농도구에서 T 생성은 저해되었다. NP 처리구에서는 HCG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구의 10 ng/$m{\ell}$의 농도구에서 $17{\alpha}20{\beta}OHP$와 T 생성이 촉진되었고, 1 ng/$m{\ell}$의 농도구에서는 $E_2$ 생성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래미의 성숙단계의 난모세포에서 BPA는 약한 estrogen-agonistic 효과를, NP는 estrogenantagonistic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설 토양 오이재배에서 관수개시점 처리가 광합성 형광반응, 줄기수액흐름 및 엽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igation Starting Point of Soil on Chlorophyll Fluorescence, Stem Sap Flux Relative Rate and Leaf Temperature of Cucumber in Greenhouse)

  • 안진희;전상호;최은영;강호민;나종국;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6-55
    • /
    • 2021
  • 시설 토양 오이재배에서 토양수분장력계를 이용하여 관수 제어하였을 때 오이의 광합성 형광반응, 수액 흐름, 엽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이(Cucumis sativus L.)'청춘'(해오름 종묘)을 공시하여 관수개시점 10-10-20kPa 또는 20-10-10kPa의 2처리하였다. 766 ~ 854 W·m-2의 고광, 32℃ 이상의 고온인 처리 66일 째 광합성형광반응변수(Fo, Fm, Fv/Fm)값은 처리 간 차이가 컸다. 66일 째 낮 시간(오전 10시 반 ~ 오후 6시)의 Fo와 Fv/Fm값은 10-10-20kPa 처리보다 20-10-10kPa 처리에서 높았다. 엽온이 높았을 때 Fv/Fm값은 감소하였다. 28일과 66일째 엽 생육(엽장, 엽폭, 엽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엽록소 함량(SPAD 값)은 20-10-10kPa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광도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줄기수액흐름상대율(SFRR)과 엽온은 상승하였다. 두 처리구 모두SFRR은 광도 170 W·m-2 이상인 오전 8시 ~ 9시간대에 급격한 증가가 시작되었다. 관수 후의 처리구 토양 온도는 감소하였으나, 7월 5일(광도 820W·m-2, 오후 1시) 토양 온도가 10-10-20kPa에서는 31.0℃, 20-10-10kPa에서는 28.5℃였다. 그러나 처리 간 SFRR, 엽온, 기온차, VPD는 차이가 없었다. SFRR과 엽온 간에는 정의 상관성(p < 0.01, r = 0.770)을 보였으며, SFRR과 엽온은 광, 온도, 토양 온도, 토양수분함량, VPD 간에는 정의 상관을 상대습도와 기온차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실습선 아라호(M.S. A-RA)의 조종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euverabilities of the Training ship M.S. A-RA)

  • 안영화;박명호;최환문;정용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4호
    • /
    • pp.275-28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제주대학교 실습선 아라호(G/T : 990tons)의 조종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8월과 2001년 5월에 2회에 걸쳐 제주항 북방 3마일 해상에서 조타에 의한 선회성과 추종성 등의 조종성능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표 방위반법으로 측정한 선회권의 크기에서 선회종거는 우현선회시가 198m, 좌현선회시가 192m로서 좌현선회시가 우현선회시보다 6m 작았으며, 또한, 선회경의 크기는 우현선회시가 194m, 좌현선회시가 188m로서 좌현선회시가 우현선회시 보다 6m 작았다. 2. DGPS 측위에 의한 선회권의 크기에서 선회종거는 우현선회시가 196m, 좌현선회시가 194m로서 좌현선회시가 우현선회시보다 2m 작았다. 또한, 선회경의 크기는 우현선회시가 194m, 좌현선회시 190m로서 좌현선회시가 우현선회시보다 4m 작았다. 3. 신조 시운전시 부표 방위반법에 의해 측정한 선회권의 크기와 2001년 5월에 DGPS 측위에 의하여 측정한 선회권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선회종거는 DGPS 측위에 의한 선회권이 신조시운전시 선회종거보다 우현선회시가 1m 컸으며, 좌현선회시가 21m 작았다. 또한, 선회경의 크기는 우현선회시 16m, 좌현선회시 23m 작았다. 4. 선속 13k't로 전속 전진중 타각 $35^\circ$로 좌현 또는 우현으로 전타 했을 때 선회각 $180^\circ$에서 선속이 7.8k't이고 $360^\circ$선회시는 6.0k't가 되었으며, 소요 시간은 좌현선회시가 150초, 우현선회시가 156sec로 좌현선회시가 우현선회시보다 6초 짧았으며, 선회평균 각속도는 좌현선회시가 $2.4^\circ$/sec, 우현선회시가 $2.3^\circ$/sec였다. 5. 타각 $10^\circ$, $20^\circ$, $30^\circ$ Z시험에서 선회성지수 K와 추종성지수 T는 각 각 선회성지수는 1.24, 1.45, 1.65였으며, 추종성지수는 각 각 0.33, 0.20, 0.14가 되어 $30^\circ$인 경우가 $10^\circ$, $20^\circ$ Z시험에서 보다 선회성지수 K는 크고, 추종성지수 T는 작아서 대각도 조타일 때가 소각도 조타일 때 보다 조종성능이 양호하였다.

  • PDF

Prostaglandin Affects In Vitro Ovulation and 17α, 20β-Dihydroxy-4-pregnen-3-one Production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Oocytes

  • Baek, Hea Ja;Lee, Da Som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2호
    • /
    • pp.111-117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association of prostaglandins and a progestin, $17{\alpha}$, $20{\beta}P$-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during the ovulation process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e performed several in vitro experiments using $850-920{\mu}m$ diameter oocytes which were at the migratory nucleus stage. With the $890-920{\mu}m$ diameter oocy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was observed in any of the prostaglandins (PGE1, PGE2, and $PGF2{\alpha}$) treated groups although PGE2 and $PGF2{\alpha}$ at concentrations of 50 ng/mL increased ovulation slightly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17{\alpha}20{\beta}P$ production was stimulated with PGE1 alone at low concentrations (5 ng/mL). In $850{\mu}m$ diameter oocytes, $PGF2{\alpha}$ at concentrations of 50 and 500 ng/mL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ovulation. $17{\alpha}20{\beta}P$ (50 ng/mL) alone had no observable effect on ovulation, but in the combined of $PGF2{\alpha}$ 50 or 500 ng/mL it caused the greatest effect on ovulation. The sensitivity of oocytes to the induction of ovulation varies between 850 and $890-920{\mu}m$, it appeared to vary depending on the migration status of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F2{\alpha}$ (or combined of $17{\alpha}20{\beta}P$) was more potent in inducing ovulation of the longchin goby.

Alternaria carthami와 A. alternata에 의한 잇꽃 잎점무늬병 (Leaf Spot of safflower (Carthamus thinctorius) caused by Alternaria carthami and A. alternata)

  • 박경석;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59-161
    • /
    • 2003
  • 잇꽃 잎점무늬병이 2000년 경북 의성군 일대의 잇꽃재배농가포장에서 발생하였다. 조사지역의 발병엽율은 30% 내외였다. 병징은 발아 후에 떡잎에 갈색의 반점을 만들어 완전히 전개하지 못하여 갈변하여 갈라지는 증상과 생육중기이후 잎에 갈색의 반점과 주위에 노랗게 탈색되는 병징이 생기고 이후 중앙부위는 회색 또는 검은 색으로 확대되면서 주위의 노란 변색부위도 확대되었고, 심해지면 전체가 갈색으로 고사하여 낙엽 되었다. Alternaria alternata의 균학적 특징은 분생자경의 길이는 20~110${\mu}m$; 포자의 크기가 10~20 ${\times}$ 30~60 ${\mu}m$이었으며, 격벽수는 3~8개; beak의 길이는 5~35 ${\mu}m$로 짧은 형태의 포자가 연쇄상으로 붙어 있었다. A.carthami는 분생자경의 길이는 40~80${\mu}m$; 포자의 크기가 10~15 ${\times}$40~100 ${\mu}m$ 이었으며, 격벽수는 4~10개; beak의 길이는 30~65 ${\mu}m$로 대부분의 포자는 하나씩 분리되어 있었다. 잇꽃의 점무늬 병징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Joseph(1994)의 보고와 비교해본 결과 생육중기에 분리된 균은 A. carthami이었으며, 떡잎과 노쇄한 잎의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A. alternata로 동정되었다. 그러므로 이 병을 A. carthami와 A. alternata에 의한 잇꽃의 잎점무늬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수림대(樹林帶)에 따른 소음감살효과(騷音減殺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oise Attenuation Effects by Types of Forest Tree Belt)

  • 이주형;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113-123
    • /
    • 2001
  • 본 연구는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을 대상으로 수림대별 소음감쇄효과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림대별로 소음감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로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입목밀도, 수관면적, 경사, 거리 등을 상관과 회귀식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소음감쇄효과를 비교한 결과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임목형상조건과 거리는 소음감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경사도와는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에 대하여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인자는 소나무림의 경우 흉고직경(r=0.9133)과 거리(r=0.9630)이며, 참나무의 경우도 흉고직경(r=0.9296)과 거리(r=0.9565)로 나타났다. 3. 소나무림과 참나무림 모두 소음에 대하여 흉고직경과 거리의 2변수로 구성된 최적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회귀식을 통하여 소음감쇄표를 작성하였다. 소나무림의 경우 수림대의 폭이 5m에서 29%, 10m에서 31.6~32.6%, 20m에서 38.3~39.8%, 30m에서 45.2~46.6%의 감쇄율을 보였고, 참나무림의 경우 폭이 5m에서 29%, 10m에서 31.6~34.2%, 20m에서 38.6~41.4%, 30m에서 45~47.2%의 감쇄율을 보였다. 4. 주거지역 및 녹지의 경우에 맞는 소음의 환경기준은 55dB인 바, 이 기준에 맞추어 감쇄표에 의하면, 소나무림의 경우 거리가 20m일 때, 흉고직경의 합계가 400~450cm이고 본수가 30~35본이거나, 거리가 25m일 때, 흉고직경의 합계가 250~300cm이고, 본수가 20~25본 일 경우로 나타났으며, 참나무림의 경우에는 거리가 20m일 때, 흉고직경합계가 400cm이고 본수가 30~35본이거나, 거리가 25m일 때 흉고직경의 합계가 250~300cm이며 본수가 20~25본인 경우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Donor Cell Passage, Size and Type on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Derived from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Zhang, Y.H.;Song, E.S.;Kim, E.S.;Cong, P.Q.;Lee, S.H.;Lee, J.W.;Yi, Y.J.;Park, Chang-S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194-20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nor cell passage, size and type on the development of nuclear transfer embryos. Porcine cumulus cells, fetal fibroblasts and oviductal epithelial cells from 1-2, 3-6 and 7-10 passages were used for the nuclear transfer. In the oocytes with the cumulus donor cells, fusion and cleavage rates of oocytes and cell numbers per blastocyst among the three different passage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ut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from 1-2 and 3-6 passag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7-10 passage group. The rates of fusion,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and the cell numbers per blastocyst were higher in the embryos with the sizes of <20 and 20 ${\mu}m$ cumulus donor cells compared to the >20 ${\mu}m$ cumulus donor cell. In the oocytes with the fetal fibroblast donor cells,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from the 3-6 passage group was higher than from 1-2 and 7-10 passage groups. The embryos with the size of 20 $\mu{m}$ fetal fibroblast donor cell showed higher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compared to those with <20 and >20 ${\mu}m$ donor cells. In the oocytes with the oviductal epithelial cells,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from 1-2 and 3-6 passage groups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from 7-10 passage group. The embryos with the sizes of <20 and 20 ${\mu}m$ oviductal epithelial donor cells had a higher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compared to those with >20 ${\mu}m$ donor cell. Fusion and cleavage rates of oocytes, and cell numbers per blastocyst among the three different donor cell types from the 3-6 passage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However,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with the fetal fibroblast donor cell was higher than that of blastocyst formation of SCNT embryos with the cumulus and oviductal epithelial donor cells.

냉장 및 실온 보존에 따른 모유와 환원조제분유 중의 총균수와 대장균수의 변화 (The Changes on Total Bacterial Counts and Coliform Counts of Human Milk vs Formula Milk Stored under Cold and Room Temperature Conditions)

  • 이조윤;배형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33-437
    • /
    • 2002
  • 본 연구는 손착유 모유와 breast-pump에 의한 기계착유모유 중의 총균수와 대장균수를 검사하고 또한 냉장 및 실온보존에 따른 모유(초유, 성숙유)와 환원조제분유의 저장성을 파악하고자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breast-pump로 수집한 모유 중의 총균수는 2.02$\times$$10^4$CFU/mL로 손착유에 의한 총균수 1.06$\times$$10^4$ CFU/mL보다 약 2배 가량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대장균의 경우, 손착유에 의한 감염율이 12.9%인 반면 breast-pump로 수집한 모유의 감염율은 19.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유와 환원조제분유를 냉장(4$^{\circ}C$) 및 실온(2$0^{\circ}C$, 3$0^{\circ}C$)상태에서 보존하면서 총균수와 대장균수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4$^{\circ}C$에서 대장균수의 변화는 10일 동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균수는 지속적으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0^{\circ}C$에서 총균수의 변화는 모유 성숙유와 모유 초유에서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장균의 경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환원조제분유에서 대장균수는 12시간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0^{\circ}C$에서 총균수의 변화는 모유 성숙유의 경우 12시간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유 초유의 경우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여주지 않았다. 반면에 환원조제분유는 6시간 이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소 음경후인근의 Nitric oxide(NO) 매개성 이완 (Nitric oxide(NO)-mediated relaxation of bovine retractor penis muscle)

  • 양일석;장희정;강동묵;이장헌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99-605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penile erection in adult bull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bovine proximal retractor penile muscle strips(BRP) to electtical field stimulation(EFS), exogenous nitric oxide(NO), NO synthesis precursor(L-arginine), NO synthase inhibitors(L-NAME, L-NMMA), guanylate cyclase inhibitor(methylene blue) and nonspecific potassium channel blocker(tetraethylammonium, TEA) treatments. Isometric tension of BRP was measured using physiograph.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FS of nonadrenergic noncholinrgic(NANC) nerve in BRP produced frequency-dependent inhibitory responses to the contraction induced by co-treatment of epinephrine, guanethidine and atropine. The inhibitory responses to EFS were blocked by tetrodotoxin(TTX, $1{\mu}M$). 2. Treatment of L-NAME ($10,\;20{\mu}M$) inhibited the relaxation to EFS whereas L-NMMA ($100{\mu}M$) had no effect. 3. Treatment of NO($20,\;40{\mu}M$; as an acidified solution of $NaNO_2$) induced concentration-dependent relaxation whereas preincubation of TTX($1{\mu}M$) and L-NAME($20{\mu}M$) had no effect on the relaxation response. 4. L-arginine treatment(10mM) blocked the inhibitory effect of L-NAME($20{\mu}M$). 5. Pretreatment of methylene blue($40{\mu}M$) reduced the NANC-induced relaxation of BRP. 6. Tetraethylammonium(TEA, 80mM) reduced NANC relax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 may act as a NANC neurotransmitter in BRP and the effects might be mediated by cGMP and potassium channel.

  • PDF

사과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M.9 대목 노출길이의 영향 (Effect of the Exposed Length of Dwarf Rootstock M.9 on Growth and Yield of 'Seohong', 'Summer Dream' and 'Honggeum' Apples)

  • 권영순;권순일;김정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8-172
    • /
    • 2016
  • 사과나무의 수세는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환경 조건, 재배 관리, 대목 종류 및 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목 종류 및 적정 노출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나무의 생육, 생산성 및 수명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 된 '서홍', '썸머드림', '홍금'에 적합한 대목 노출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M.9 자근대목에 각각 접목한 후 접목부가 지면에서 10, 20, 30 cm로 노출되게 재식하여 수체생장과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은 대목 노출이 짧을수록 TCA 증가가 컸다. 재식 6년차의 TCA는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각각 '서홍' 70, 60, '썸머드림' 88, 66, '홍금' 55, 41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또한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수록 수고, 수폭, 신초장, 정단신초장의 영양생장량이 더 우수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수량 역시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 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 6년차 누적수량의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서홍' 77, 63, '썸머드림' 85, 76, '홍금' 73, 5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 특성에 있어서 대목 노출 길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영양생장과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M.9 대목의 노출 길이는 10cm로 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