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M10

검색결과 17,208건 처리시간 0.043초

Rat 의 포유조절이 혈중 Insulin-like Growth Factor- I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kling on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I Levels in the Primiparous Rat)

  • 오석두;성환후;민관식;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00
  • 본 연구는 Wistar계 rat를 이용하여 포유기간 중 제한포유시기와 이유시기를 조절하여, 혈중 IGF- I 수준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NL군 (NL)은 포유자의 수를 8 마리로 조절하였으며, RL군 (RL)과 W군 (W)은 RL0, RL0, RL10, RLl5 및 RL20, 그리고 W0, W5, WI0, W15 및 W20으로 각각 5개 군으로 구분하여, RL군은 각 개시일에 포유자의 수를 8마리에서 4마리로 조절하였으며, W군은 각 개시일에 포유자의 수를 완전히 이유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L군의 혈중 IGF-I 농도는 분만직후 (Day 0) 750.59$\pm$3.52ng/$m\ell$ 을 나타내어 15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후 포유 25일에 1,690.20$\pm$4.42ng/$m\ell$ 까지 증가되었다. 2. 포유초기 RL군 (RL0, RL5)의 IGF- I 농도는 포유 10일에 RL0군과 RL5군에서 각각 1,395.90$\pm$3.45 및 1,351.73$\pm$3.23ng/$m\ell$로서 NL 군의 745.96$\pm$2.24ng/$m\ell$ 보다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포유 15일부터는 차이가 없었다. 3. 포유초기 W군의 IGF- I 농도는 이유 후 일주일 정도는 NL군에 비해 높은 수준 (P<0.05)을 나타내다가 10일경에 NL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포유자극의 강약은 난소의 생리적 변화와 함께 혈중 IGF- I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ce of Apamin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 Lee, Eun-Sook;Park, Hyeon-Gyoon;Lim, Dong-Y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3호
    • /
    • pp.142-151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amin on catecholamine (CA) secretion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cyclopiazonic acid and Bay-K-8644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and to establish the mechanism of its action. The perfusion of apamin (1 nM) into an adrenal vein for 20 min produced greatly potentiation in CA secretion evoked by ACh (5.32 $ imes$ $10^{-3}$ M), high $K^+$, (5.6 $ imes$ $10^{-2}$), DMPP ($10^{-4}$ M for 2 min), McN-A-343 ($10^{-4}$ M for 2 min), cyclopiazonic acid ($10^{-5}$ M for 4 min) and Bay-K-8644 ($10^{-5}$ M for 4 min). However, apamin itself did fail to affect basal catecholamine output. Furthermore,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apamin (1 nM) under the presence of glibenclamide ($10^{-6}$ M), an antidiabetic sulfonylurea that has been shown to be a specific blocker of ATP-regulated potassium channels (for 20 min), CA secretion evoked by DMPP and McN-A-343 was not affected. However, the perfusion of high concentration of apamin (100 nM) into an adrenal vein for 20 min rather inhibited significantly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cyclopiazonic acid and Bay-K-8644.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concentration of apamin causes greatly the enhancement of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by membrane depolarizatio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apamin-sensitive SK ($Ca^{2+}$) channels located in rat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may play an inhibitory role in the release of catecholamines mediat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membrane depolarization. However, it is thought that high concentration of apamin cause the inhibitory responses in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receptors as well as by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rat adrenal gland without relevance with the SK channel blockade.

Cadmium이 토양미생물에 의한 Butachlor 오염물질 분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dmium on the Degradation of Butachlor Pollutant by Microorganism)

  • 허태웅;정문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8-84
    • /
    • 1994
  • The effects of heavy metal, Cd on the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N-Butoxymethyl-2-chlor-2',6'-diethylacetanilide) in soils were examined the laboratory. The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in soil was greatly inhibited by the amendment of the heavy metal, Cd. The inhibited rate of Cd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30 ppm>20 ppm> 10 ppm>0 ppm. And tile degradation rate of butachlor was high in order of 80 $\mu$M>40 $\mu$M>20 $\mu$M. The effects of Cd on the degradation of the butachlor in soil varied wit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and butachlor.

  • PDF

제주도 만년콩(콩과) 자생지의 식생구조와 보전 방안 (Conserv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uchresta japonica (Leguminosae) in Jeju Island)

  • 송관필;장창기;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12
  • 한라산에 자생하는 위기식물 만년콩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육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만년콩의 자생지는 해발 220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0-50^{\circ}$로 매우 가파른 암석지대로, 돈네코 계곡의 북사면 일대에 소수의 개체가 불연속적이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조사는 만년콩이 확인된 지역($10{\times}20\;m$)과 분포하지 않는 인근지역을 조사하여 비교 하였다. 조사구는 구실잣밤나무 교목층(70-80%)이 수고 10-16 m로 형성되어 33종류의 식물종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위협 요인으로는 다른 종과 생육지 경쟁에서의 도태, 매우 가파른 자생지의 입지 등 자연적인 요소와 계곡 정비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로 판단되었으며, 보전을 위한 현지 내외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장력 머어서화 면에 대한 반응성 염료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yeing Properties of Slack-Mercerized Cotton with Reactive Dyes)

  • Choi, Chul-Ho;Lee, Won-Hee;Lee, Chan-Mi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1991
  • The influences, that various mercerization conditions had on the dying property of cotton fiber, were studied. Crystallization degrees accompained by lattice transformation of slack-mercerized cotton by IR spectroscopic analysis and morphology of the slack-merceized cotton by SEM were observed in this research. The above results were as follows; 1. Equilibrium dye adsorption rates of slack-mercerized cotton with C. I. Reactive Blue 19 were gained in the case of 8M NaOH, $10^{\circ}C$, 20 min., about 2 times as large as the rates of untreated cotton and gained about 2.5 times in the case of 8M $NH_3$, $10^{\circ}C$, , 20 min. 2. Equilibrium dye adsorption rates of slack-mercerized cotton with C. I. Reactive Blue 2 were gained in the case of 2M NaOH, $10^{\circ}C$, 20 min., about 1.7 times as large as the rates of untreated cotton and gained about 2.4 times in the case of 8M $NH_3$, $10^{\circ}C$, 20 min. 3. It was confirmed by SEM that untreated cotton fibrils are formed in the shape of screw and treated cotton is rearranged in the direction of fiber axis.

  • PDF

경사지에서의 토양유실 -지형인자를 중심으로- (Soil Erosion Upland Slopes -mainly on topographic factor-)

  • 조국광;박성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4-60
    • /
    • 1981
  • 토양유실은 강우의 성질, 토양의 특성, 경사도 및 경사장, 배수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토양유실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위의 6개 인자에 관한 구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Wischmeier의 토양유실량 공식(USLE)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6개 인자중 강우인자, 토양침식관성 인자, 작물인자 및 토양보존인자에 대해서만 연구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사지에서의 경사장가 경사도가 토양유실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LS방정식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나주군 숙거리에 있는 농업진흥공사 농지 보존 시험소에서 10개의 과지 시험구에 대한 토양유실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10개의 시험구중 9개는 경사도 10%, 20% 및 30% 각각에 대해 10m, 20m 및 30m의 경사장으로 되어있으며 나머지 1개의 시험구는 다른 시험구와의 비교를 위한 표준구로서 15%의 경사도, 20m의 경사장으로 되어 있다. 토양은 예산류에 속하며 60%의 초질, 24%의 미초질 및 16%의 정토질로 구성되어 있다. 20회의 토양유실량 측정 기록중 12.7mm 이상의 강우에 의한 9회분의 유실량 측정자료를 회귀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유도되었다. 그러나 경사도와 경사장인자(LS)는 다른 여러 인자들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LS 인자에 대한 연구는 여러 종류의 토양에서 경사의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장기간 실험을 한다면 한국의 토양특성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LS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 주사 및 약욕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xolinic acid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nistration, injection and dipping)

  • 정승희;최동림;김진우;조미라;지보영;서정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5-135
    • /
    • 2009
  • Oxolonic acid (OA)를 넙치(평균체중 90 g)에 1회 경구투여(15, 30 및 60 ㎎/㎏ body weight), 1회 복강주사(10 및 20 ㎎/㎏ body weight) 및 1시간동안 약욕(30 및 50 ppm)한 다음, 경시적(3시간-144시간)인 혈장내 OA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15, 30 및 60 ㎎/㎏ 농도로 경구투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투여 10~15시간째 각각 1.92, 2.45 및 3.72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10 및 20 ㎎/㎏ 농도로 복강주사한 경우, 투여 10시간째 각각 4.1 및 4.8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약욕한 시험구의 경우, 30 및 50 ppm 시험구는 각각 투여 5-30시간째 0.22 및 0.38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OA의 투여방법에 따른 넙치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one- compartment model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하여 OA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15, 30 및 60 ㎎/㎏을 경구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70.93, 120.0 및 141.86 $\mu{g}$ $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6.22, 20.39 및 17.33 h, 혈중최고농도 ($C_{max}$)는 1.61, 2.40 및 3.01 $\mu{g}/m\ell$로 계산되었다. 10 및 20 ㎎/㎏을 복강주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각 각 184.7 및 315.92 $\mu{g}$ $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5.91 및 6.26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4.19 및 4.45 $\mu{g}/m\ell$로 계산되었다. 30 및 50ppm으로 약욕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17.58 및 21.69 $\mu{g}$ $h/m\ell$, 혈중 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9.08 및 31.43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0.22 및 0.25 $\mu{g}/m\ell$로 계산되었다.

흰쥐 성주기간동안 Prolactin mRNA의 변화:Naloxone (Alterations in Prolactin Messenger Ribonucleic Acid Level During the Rat Estrous Cycle: Effect of Naloxone)

  • 안혜영;유선경;조병남;김경진;유경자;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3-190
    • /
    • 1990
  • 본 연구는 prolactin(PRL)유전자 발현, 분비의 생리적 변화와 성주기 특정 시기의 PRL mRNA수준 및 분비에 미치는 내인성 오피오이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최소한 두번의 연속적인 성주기를 거친 성숙한 흰쥐에서 성주기의 각 시기(10:00시)에, proestrus시기에는 10:00-20:00 시동안에는 2시간 간격으로 도살하였고, naloxone (2mg/kg b.w.)은 도살 30분전에 피하주사 하였다. PRL mRNA의 수준의 흰쥐의 PRL cDNA를 probe로 하여 RNA-blot hybridization방법에 의해서, 혈중 PRL농도 변화는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뇌하수체 PRL mRNA의 수준과 혈중 PRL수준은 diestrus I, II and proestrus그리고 estrus시기의 10:00시에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이 않았다. 이때 naloxone처리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proestrus시기를 세분화하여 조사한 결과 PRL mRNA의 수준은 정오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고, 오후 6:00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후 8:00시에 다시 증가하였다. estrus동안 naloxone은 혈중의 PRL수준을 명백히 억제하였으나 PRL mRNA수준에는 영향이 없었다. proestrus시기 동안 혈중 PRL변화와 뇌하수체 PRL mRNA변화는 서로 상이하게 조절되며,PRL mRNA수준이 흰쥐 성주기 동안 변화하고 있는 사실에서 PRL 유전자 발현이 생리적으로 조절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제주산 차의 발효 정도에 따른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the Jeju Tea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al Degree)

  • 박신영;이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6-242
    • /
    • 2011
  • 제주산 녹차 및 발효 정도를 20%, 50%, 80%로 달리한 3종류의 발효차를 $90^{\circ}C$ 열수에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그리고 혈관내피세포(CPAE)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녹차나 다른 발효차에 비해 20% 발효차에서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 발효차의 80 ${\mu}g/mL$ 처리 시 50 ${\mu}M$ 농도의 EGCG 처리와 거의 유사한 free radical 소거율을 보였다. 녹차와 3종류의 발효차 모두 LDL 산화를 억제하여 우수한 지질과 산화 억제능을 보였으나 특히 저농도인 40 ${\mu}g/mL$ 처리 시에 녹차와 20% 발효차의 경우 다른 발효차에 비해 25~30% 정도 더 LDL의 산화가 억제 되어 50 ${\mu}M$/mL EGCG 처리 시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CPAE 세포에 녹차 및 3종류의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에서 전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세포활성이 40~60% 증가하였다. 특히 세포에 1 mM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실험에서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의 처리가 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이 세포 내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에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작용한 것과 20% 발효차가 다른 발효차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Drinkable Yoghurt의 제조 (Preparation of Drinkable Yoghurt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정다와;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9-356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액상 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루녹차를 농도별($0.5\%,\;1.0\%\;1.5\%\;2.0\%$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액상 요구르트의 저장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 첨가 액상 요구르트를 무첨가구와 함께 $4^{\circ}C$$20^{\circ}C$에서 20일 동안 저장한 결과유산균수의 경우 $4^{\circ}C$에서는 가루녹차 첨가구는 $2.1\times10^8\~6.2\times10^8$ CFU/mL, 무첨가구는 $8.3\times10^8$ CFU/mL이었고, $20^{\circ}C$에서는 가루녹차 첨가구는 $4.2\times10^3\~8\times10^5$ CFU/mL, 무첨가구는 $7.7\times10^5$ CFU/mL이었다. $4^{\circ}C$에서 가루녹차 첨가구는 저장 기간 동안 무첨가구와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균수를 유지하였으나,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에는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보다 낮은 유산균 수를 보였다. 그리고 $4^{\circ}C$에서 pH는 $4.16\~4.22$, 적정산도는 $0.792\~0.881\%$이었고, $20^{\circ}C$에서는 pH는 $3.82\~3.92$, 적정산도는 $1.057\~ 1.174\%$이었다.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가루녹차 첨가구의 pH와 적정산도는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20^{\circ}C$에 저장하는 동안에는 젖산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여 매우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가루녹차 첨가 액상 요구르트는 $4^{\circ}C$에서 20일까지 법적 유산균수($1.0\times10^8$ CFU/mL 이상)를 충족하였으며, pH와 적정산도도 요구르트의 바람직한 pH와 적정산도의 범위에 대체적으로 일치하여 유지되었다. 관능 검사 결과 가루녹차 $0.5\%$ 첨가구가 향미, 단맛, 입안 느낌, 후미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색,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도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어 관능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올리고당 첨가량은 $20\%$ 첨가시 단맛,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가루녹차 $0.5\%$와 올리고당 $20\%$의 첨가가 가루녹차 첨가 액상 요구르트 제조를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