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M10

검색결과 17,337건 처리시간 0.044초

알로에 겔상 식품의 제조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Aloe Gel-State Food)

  • 이기동;김숙경;권도영;박상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95
    • /
    • 2003
  • 4차원 반응표면에 의한 알로에 겔상 식품의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겔상 식품의 색상에 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87.38 mL, 카라기난의 함량 0.19 g 및 곤약의 함량 0.16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겔상 식품의 향에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83.84 mL, 카라기난의 함량 0.20 g 및 곤약의 함량 0.17 g에서, 맛에 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 즙의 함량 83.20 mL, 카라기난의 함량 0.27 g 및 곤약의 함량 0.15 g에서, 조직감에 대한 관능점 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98.95 mL, 카라기난의 함량0.23 g및 곤약의 함량0.10 g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겔상 식품이 입안에서 느껴지는 물성을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씹힘성은 알로에즙의 함량 113.05 mL, 카라기난의 함량 0.21 g 및 곤약의 함량 0.27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알로에 겔상 식품 제조의 최적 조건인 전반적인 기호도는 알로에즙의 함량 88.23 mL, 카라기난의 함량 0.19 g 및 곤약의 함량 0.15 g으로 나타났다.

일당귀 잎의 포장방법이 저장 중 품질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ngelica acutiloba Leaves in Various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 최지원;이지현;김원배;김창국;정현경;홍윤표;김지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7
    • /
    • 2017
  • 본 연구는 유통현장에서 다양한 포장 형태로 이용되는 일당 귀 잎의 포장방법별 선도유지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에서 이용되는 일당귀 잎의 1 kg 단위로 포장 형태를 골판지상자에 바로 일당귀 잎을 포장한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20{\mu}m$ HDPE 천공 필름, $20{\mu}m$ HDPE 천공 필름+파라핀왁스 코팅 종이와 같이 3가지로 분류하였다. $4^{\circ}C$ 저온에서 20일간 저장하고 20일 후 상온으로 옮겨 2일간 추가 유통하면서 중량감소율, 색도, 외관품위, 항산화활성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장 형태에 따른 일당귀 잎의 중량 감소는 봉지 형태의 $20{\mu}m$ HDPE 천공 필름 포장과 $20{\mu}m$ HDPE 천공 필름+파라핀왁스 코팅 종이 포장에 의해 가장 적었으며 저장 중의 엽색, 외관 및 중량의 변화폭도 적어 상품성이 20일간 유지되었다. 대조구로 사용한 일반 골판지상자에 포장한 일당귀 잎은 저장 15일 째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항산화활성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circ}C$에 20일간 저온저장 및 상온에 2일간 추가 유통하는 동안 $20{\mu}m$ HDPE 천공 필름+파라핀왁스 코팅종이 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어 생리활성 물질 함량 보존에 유효하였으며, 국내 유통현장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포장방법으로 나타났다.

Open Channel Block of Kv3.1 Currents by Genistein, a Tyrosine Kinase Inhibitor

  • Choi, Bok-Hee;Park, Ji-Hyun;Hahn, Sang-Jun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0권2호
    • /
    • pp.71-77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istein, a widely used tyrosine kinase inhibitor, on cloned Shaw-type $K^+$ currents, Kv3.1 which were stably expressed in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using the whole-cell configuration of patch-clamp techniques. In whole-cell recordings, genistein at external concentrations from 10 to $100{\mu}M$ accelerated the rate of inactivation of Kv3.1 currents, thereby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ing the current at the end of depolarizing pulse with an $IC_{50}$ value of $15.71{\pm}0.67{\mu}M$ and a Hill coefficient of $3.28{\pm}0.35$ (n=5). The time constant of activation at a 300 ms depolarizing test pulses from -80 mV to +40 mV was $1.01{\pm}0.04$ ms and $0.90{\pm}0.05$ ms (n=9) under control conditions and in the presence of $20{\mu}M$ genistei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activation kinetics was not significantly modified by genistein. Genistein $(20{\mu}M)$ slowed the deactivation of the tail current elicited upon repolarization to -40 mV, thus inducing a crossover phenomen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ug unbinding is required before Kv3.1 channels can close. Genistein-induced block was voltage-dependent, increasing in the voltage range $(-20\'mV{\sim}0\'mV)$ for channel opening, suggesting an open channel interaction. Genistein $(20{\mu}M)$ produced use-dependent block of Kv3.1 at a stimulation frequency of 1 Hz. The voltage dependence of steady-state inactivation of Kv3.1 was not changed by $20{\mu}M$ genistein. Our results indicate that genistein blocks directly Kv3.1 currents in concentration-, voltage-, time-dependent manners and the action of genistein on Kv3.1 is independent of tyrosine kinase inhibition.

소방활동을 위한 밀폐공간 무선통신 측위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UWB Wireless Communication Position Determination Function in an Enclosed Space for Fire Fighting)

  • 김동현;김충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117-122
    • /
    • 2017
  • 밀폐된 공간에서 통신인프라가 파괴될 경우, 긴급 유 무선 통신환경을 구축하여 화재진압 및 소방관 위치확인을 통한 보다 안전한 재난대응환경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ltra-Wide Band (UWB)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밀폐된 실내 통신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6가지 실내환경에 대해 단일 UWB 통신모듈에 대한 통신측위 성능평가를 최대 20 m까지 측정하였다. UWB 통신주파수 각 대역별 6개 채널에 대한 실내환경 통신거리 측정 결과, 개방공간(평균 15.5 m, 최대 20 m), 복도(평균 17.33 m, 최대 20 m), 실내집기류 존치 실내(평균 15.3 m, 최대 20 m), 수직계단(평균 4.33 m, 최대 6 m), 방화문 폐쇄 수평공간(평균 6.5 m, 최대 17 m)으로 나타났다. 이중 7번 채널인 6489.6~1081.6 MHz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성능과 거리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UWB 통신모듈을 20m 간격으로 설치하고 멀티채널을 이용할 경우 밀폐공간에서 통신환경 구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연비 변화가 MILD 연소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the air fuel ratio effect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a MILD combustor)

  • 하지수;김태권;심성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87-592
    • /
    • 2010
  • 연소과정 중에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기술인 MILD 연소에 대하여 공연비를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연소 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작은 크기의 공기분출속도(10 m/s)에서는 공기가 연소로 내 상부영역까지 침투하지 못한다. 반면에 공기분출속도가 30 m/s인 경우에는 공기유동이 연료유동을 억제하고 상부영역까지 흘러간다. 이론공기량에 해당하는 공기분출속도 18 m/s에서는 10 m/s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영역까지 침투하였다. 이러한 유동 양상으로 공기분출속도가 작은 10 m/s에서는 연소반응대가 공기노즐 측에 치우쳐 나타나고 30 m/s에서는 연료노즐 측에 형성되었다. 공기분출속도 16, 18, 20 m/s에서는 공기노즐과 연료노즐 중간 영역에서 연소반응대가 형성되었다. 연소로 내 최대온도와 NOx 생성은 공기분출속도가 10 m/s, 30 m/s인 경우 보다 이론공기량이거나 이에 가까운 16, 18, 20 m/s에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MILD 연소로에서 이론공기량 조건이 NOx를 저감하는 최적의 조건이라는 것을 밝혔다.

무궁화꽃을 이용한 L-Arginine Sensor 開發에 關한 硏究 (The Development of Arginine-Selective Membrane Electrode Using Tissue Slices of the Rose of Sharon)

  • 김의락;남기재;최성문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53-759
    • /
    • 1992
  • 흰 무궁화꽃의 씨방을 이용하여 Tissue electrode를 제조하고, L-arginine을 정량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0.1M phosphate 완충용액에서 pH 8.0, 온도 $25^{\circ}C$, 조직두께 $20 {\mu}m$이었을 때이며, 이에 정량 가능한 직선범위는 $5.0 {\times} 10^{-3}M $$1.0 {\times} 10^{-1}M$이었으며, 감응도는 54.0 mV/decade로 나타났고, 감응시간은 7∼8분이 소요되었다. $K_m$값은 $6.4 {\times} 10^{-6}(M)$이다.

  • PDF

소 미성숙 난포란의 급속동결 융해후 생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urvival Rate of Rapidly Frozen Bovine Immature Oocytes)

  • 김상근;이봉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5-120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in vitro fertilization, survival rate and developmental rate of rapidly frozen bovine immature oocytes. Immature oocytes cultured for 1, 12, 24, 48 hours in 20% FCS + TCM-199 medium and thereafter rapidly freezing-thawed oocytes inseminated with capacitated sperm. The immature oocytes following dehydration by 1.5M DMSO + 2.0M glycerol + 0.25M sucrose + TCM 199 media + 20% FGS were directly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and thawes in 3$0^{\circ}C$ water. Rapid freezing embryos co-cultured in 20% FCS + TCM-199 media containing hormones(21U/mL PMSG, 21U /mL hGG and 1 $\mu$g /mL 17$\beta$-estradiol) and cumulus cells(1 x 105-6 cells). Survival rate was defined as development rate on in vitro culture or FDA-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rate of immature bovine oocytes on in vitro maturation period(1, 12, 24, 48 hrs) before rapid freezing4hawed were 57.1%, 45.7%, 37.1%, 25.7% and 40.0%, 31.4%, 20.0%, 11.4%, respectively. 2. The survival rate of immature bovine oocytes on in vitro maturation period(1, 12, 24, 48 hrs) before rapid freezing-thawed were 33.3%, 26.7%, 20.0%, and 10.0%,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rapid freezing4hawed immature oocy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freezing oocytes. 3. The survival rate of rapid freezing4hawed excellent and good bovine embryos co-cultured in 20% FCS + TCM-199 media containing hormones(PMSG, hCG, 17$\beta$-estradiol) and cumulus cells 4 to 5 hrs and 20 to 24 hrs were 35.0%, 15.0% and 25.0%, 15.0% and 40.0%, 20.0% and 30.0%, 15.0%,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embryos co-cultured in TCM-199 media containing hormones and cumulus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 co-culture.

  • PDF

낮추베기 뽕나무 뿌리와 몇몇 토양화학성 분포에 관한 조사연구 (Distribution of Root System and Several Chemical Components of Soil on Low-Cutting Mulberry Field)

  • 이원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2-58
    • /
    • 1980
  • 20년생 낮추베기 개양서반의 뽕밭에서 휴간 1.8m을 7등분으로, 2주간 1.2m를 7등분으로 각각 분할하고, 표토로부터 10cm씩 40cm 깊이의 토양을 구분 채취하여 총 196점에 대한 뿌리와 토양화학성분포를 조사 분석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뿌리의 분포는 그루주변으로 갈수록 증가하늘 반면 pH 유효인산, Ca, Mg등은 이와 대조적으로 휴간에서 높았다. 2. 주간의 뿌리 및 토양화학성(pH, 유효인산, K, Ca, Mg등)은 비교적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3. 층위별 뿌리의 분포는 10~20cm부위에서 가장 높은데 비해 0~10cm부에서는 20~30, 30~40에서 보다도 낮으며 pH, 유효인산, Ca, Mg, K등은 0~10cm부위에서 가장 높으며 심층으로 갈수록 낮아서, 사실상 양분의 효율적인 흡수가 극대점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잡초군락형별로 본 질소시비량과 재식밀도가 수도의 경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Spacing on the Competitive Ability of Rice Growing in Association with Various Weed Communities at Different Nitrogen Levels)

  • 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27
    • /
    • 1980
  • 잡초군락형별(피, 물달개비, 피+뭍달게피 군락형), 질소시비종(0.80, 160kg/ha)에 따른 수도재식거리 (10$\times$10cm, 20$\times$20cm, 30$\times$30cm)가 잡초와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78년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기(IRRI) 시험포장에서 포장실험으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의 우점도는 질소시용량에 따라 차리가 있었는데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물달개비의 우점도는 높아졌으나, 피와 방동산이과 잡초는 감소되었다. 2. 재식거리 10$\times$10cm구에서는 잡초발생 억제효과가 질소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저하되었으며, 30$\times$30cm 다비구(160kg/ha)에서는 전혀 잡초억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재식거리 10$\times$10cm구에서는 제초구와 무제초구간의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재식거리 20$\times$20cm 와 30\times30cm구에서는 무제초구에서 현저한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는데, 그 정도는 30$\times$30cm구에서 더욱 컸다. 4. 잡초와의 경쟁에 의한 수도수량감소는 수량구성요소중 수수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 5. 잡초발생량과 수도수량감소율과의 상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그 정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컸다.

  • PDF

사과주스의 품질에 미치는 pulsed electric field 연속 처리효과 (Effect of continuous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s on quality of apple juice)

  • 안성환;임정호;김영호;정석진;박기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0-658
    • /
    • 2013
  • 전기장의 세기 20 kV/cm, 펄스 폭 25 ${\mu}s$에서 펄스 빈도 35 Hz(40 kJ/L), 55 Hz(70 kJ/L), 72 Hz(100 kJ/L) 및 85 Hz(130 kJ/L)로 달리하여 투입 에너지를 기준으로 사과 착즙액의 PEF 연속처리 살균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반세균수은 초기 5.3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로 처리하였을 때 3.0 log CFU/mL로 감소하였고 효모 및 곰팡이는 초기 4.6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로 처리로 < $10^1$ CFU/mL 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대장균군수도 초기 4.7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 처리로 < $10^1$ CFU/mL 이하로 감소하였다. PEF 처리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 유리당 등에는 처리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p<0.05), 총 페놀함량, DDPH 및 FRAP 값은 처리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지만 $65^{\circ}C$에서의 가열처리보다는 감소량이 작았다. 전기장 세기 20.0 kV/cm, 펄스 빈도 85 Hz, 펄스 폭 25 ${\mu}s$에서의 반복처리는 미생물 살균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처리회수에 따라 총 페놀함량, DPPH 및 FRAP 값을 유의적(p<0.05)으로 감소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