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Methylnaphthalen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Treatability Evaluation of N-Hexadecane and 1-Methylnaphthalene during Fenton Reaction

  • Chae, Myung-Soo;Woo, Sung-Geun;Yang, Jae-Kyu;Bae, Sei-Dal;Choi, Sang-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217-225
    • /
    • 2012
  • In this study, the treatability of two target contaminants during the Fenton reaction, n-hexadecane and 1-methylnaphthalene, was evaluated as a function of the amounts of $FeCl_2$ and $H_2O_2$ injected into open and closed reaction systems. In the Fenton reaction of n-hexadecane and 1-methylnaphthalene, the mass recovery of the target contaminants was above 95% in the closed system. However, when the Fenton reaction was performed with high amounts of $H_2O_2$ and $FeCl_2$ injected in the open system, a reduction of approximately 40% of the initial mass of 1-methylnaphthalene was observed. This trend may be explained by the unique physical properties of 1-methylnaphthalene, which has higher volatility than n-hexadecane. Further, this trend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rise in high temperature at the initial reaction stage. Considering the mass recovery of the two target contaminants,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residual concentration of $H_2O_2$ at different amounts of $FeCl_2$ and $H_2O_2$ injected,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Fenton reac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controlled conditions that can provide a suitable reaction environment between oxidant and contaminants.

제올라이트 Beta, USY, Mordenite 촉매를 이용한 Methylnaphthalene의 트랜스메틸화 반응 (Transmethylation of Methylnaphthalene Over Beta, USY and Mordenite Zeolite Catalysts)

  • 박중남;박용기;백진욱;홍석인;이철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560-565
    • /
    • 2005
  • 1-methylnaphthalene(1-MN)과 2-methylnaphthalene(2-MN) 사이에서의 트랜스메틸화 반응을 제올라이트, H-mordenite(HM), H-Beta$(H{\beta})$, H-USY(HUSY) 촉매를 이용한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H{\beta}_{25}(SiO_2/Al_2O_3=25)$ 촉매는 다음과 같은 조건, 반응온도 $350^{\circ}C$, 반응압력 1.5 Mpa, 전체 액상 반응물의 WHSV $2.7g_{feed}/g_{cat}{\cdot}h$, 반응물 1-MN과 2-MN의 몰비 1:1, 반응 1시간에서 2-MN/1-MN 비=2.3와 2,6-DMN/2,7-DMN 비=1.3을 보이면서 다른 촉매보다 높은 전환율과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촉매의 세공구조, 산성도와 관련하여 촉매성능을 해석하였다.

주목 식물세포(Taxus chinensis) 배양 유래 타르 성분 동정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ar Compounds in Plant Cell Cultures of Taxus chinensis)

  • 김건중;박규연;김진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2-2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와 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하여 주목 식물세포 Taxus chinensis 유래 타르 성분을 최초로 동정/정량하였다. 또한 식물세포배양으로부터 항암물질 paclitaxel 정제를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이들 타르 성분들의 제거 양상을 확인하였다. GC/MS 분석을 통하여 체류시간을 비교한 결과, 5종류의 타르성분이 체류시간 6.374, 8.208, 15.209, 20.045, 24.474분에서 각각 2-picoline, o-xylene, 2,5-xylenol, 1-methylnaphthalene, acenaphthene이 동정되었다. 또한 표준물질을 이용한 spike testing을 수행한 결과 동일 물질임을 재확인 하였다. GC 분석을 통하여 동정된 5종류 타르성분을 정량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에 총 0.6805 wt% (2-picoline: 0.2512 wt%, 2,5-xylenol: 0.1586 wt%, acenaphthene: 0.1240 wt%, 1-methylnaphthalene: 0.0942 wt%, o-xylene: 0.0525 wt%) 타르 성분이 존재하였다. 액-액 추출을 수행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 시료 내 총 타르 성분의 양 대비 42%의 타르 성분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Methylnaphthalene, acenaphthene, 2,5-xylenol, 2-picoline의 경우에는 각각 75.90, 59.92, 35.94, 29.74%로 높은 제거율을 보인 반면 oxylene의 경우에는 10.86%의 제거율로 상대적으로 적게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흡착제 처리 후 2-picoline과 o-xylene의 양도 상당히 줄었지만 이들 2 종류의 타르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세 종류의 타르 성분(2,5-xylenol, 1-methylnaphthalene, acenaphthene)은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흡착제 처리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두 종류의 타르 성분(2-picoline, o-xylene)은 헥산 침전 공정에 의해 완전히 제거 가능하였다.

용매 추출에 의한 조제 메틸나프탈렌유에 함유된 함 질소화합물의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I): 5성분계 모델 조제 메틸나프탈렌유에 함유된 함 질소화합물의 저감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of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ed in Crude Methylnaphthalene Oil by Solvent Extraction (I): Reduction of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ed in Model Crude Methylnaphthalene Oil of 5 Components System)

  • 강호철;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33권4호
    • /
    • pp.431-435
    • /
    • 2022
  • 용매 추출에 의해 5성분계 모델 조제 메틸나프탈렌유(CMNO)에 함유된 함 질소화합물(NC)의 저감을 실험적으로 검토했다. 원료로서는 3종류의 NC [퀴놀린(QU), 이소퀴놀린(IQU), 인돌(IN)]과 2종류의 2환 방향족화합물[1-메틸나프탈렌(1MNA), 2-메틸나프탈렌(2MNA)]로 구성된 5성분계 모델 CMNO를, 용매로서는 포름아미드 수용액을 각각 사용했다. 초기 용매에 함유된 물의 체적분율(yw,0)의 증가는 NC의 분배계수와 수율을 급격히 감소시켰으나, 역으로 2MNA을 기준한 NC의 선택도를 증가시켰으며 용매/원료의 체적분율(S/F)의 증가는 NC의 분배계수, 수율과 선택도를 동시에 증가시켰다. 일정한 조건(yw,0 = 0.1, S/F = 1, 평형온도 303 K)하에서 얻어진 QU, IQU과 IN의 수율은 30%, 31%와 40%를, 선택도는 15, 15, 20을 각각 보였다. 우수한 NC의 수율과 선택도로부터 본 연구의 포름아미드 추출법은 모델 CMNO에 함유된 NC의 저감법으로 기대되었다.

Soil Washing and Biodegradation Potentials of Amphiphilic Polyurethane(APU) Nano-network Particles

  • Kim, Young-Bum;Jang, Shin-A;Kim, Ju-Young;Kim, Eun-Ki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42-445
    • /
    • 2000
  • Amphiphilic polyurethane(APU) particle is a polymeric surfactant, and could increase the solubility of 2-methylnaphthalene significantly. 2-Methylnaphthalene was recovered by the precipitation of APU particles and was degraded by Acinetobacter sp. K2-2. APU particle was recovered and reused after treatment of triethylamine.

  • PDF

시판 미역 및 쌀엿의 이취성분(異臭成分) 규명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 김현위;이윤경;심건섭;장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2
    • /
    • 1998
  •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이취(異臭) 미역 및 이취(異臭) 쌀엿의 냄새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취 미역에서는 naphthalene,2-methyl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6-dimethylnaphthalene, 1,5-dimethylnaphthalene, 1,8-dimethylnaphthalene, 2,7-dimethylnaphthalene, 1,4,6-trimethylnaphthalene, 2,3,6-trimethylnaphthalene 등 나프탈렌계화합물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취 쌀엿에서는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tetradecanoic acid 등 유리지방산 및 2-furanmethanol, 2-furancarboxaldehyde 이 검출되었다. 미역의 이취 생성원인은 채취선박의 페인트 오염으로부터, 쌀엿은 변패된 쌀을 당화의 원료로 사용한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

경막형 용융결정화에 의한 나프탈렌과 2-메틸나프탈렌 혼합물로부터 나프탈렌의 분리 (Purification of Naphthalene from Naphthalene and 2-methylnaphthalene System by Layer MelMelt-Crystallization)

  • 고주영;김철웅;박소진
    • 청정기술
    • /
    • 제12권3호
    • /
    • pp.157-164
    • /
    • 2006
  • 나프탈렌에 포함된 주요 불순물이 2-메틸나프탈렌을 정제하기 위해, 나프탈렌과 2-메틸나프탈렌의 2성분계에 관한 고액상평형 데이터를 측정하였으며, 경막형 용융결정화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2성분계의 고액상평형은 단순 고용계를 형성하였는데, 시차주사 열량분석에 의한 열분석 방법과 정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는 거의 유사하였다. 결정화 실험에서 나프탈렌의 순도와 결정의 수율은 냉각속도에 주로 의존하였는데, 냉각속도가 낮을 수 록 나프탈렌의 순도 및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리정제 효율의 척도인 유효분배계수는 냉각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용융결정화에 의해 나프탈렌의 순도는 약 5 ~ 7% 정도가 증가하였다.

  • PDF

Comparison of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from Different Origin of Atractylodes spp.

  • Chung, Hae-Gon;Bang, Kyung-Hwan;Bang, Jin-Ki;Lee, Seong-Eun;Seong, Nak-Sul;Cho, Joon-Hyeong;Han, Byung-Seok;Kim, Seong-Mi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9-15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from different origin of Atractylodes spp. which is being traded as a crude herbal drug in Korean herbal markets. From the two Atractylodes of major volatile components were similarly detected such as the ${\beta}-selinene,\;{\beta}-sesquiphellandrene$, germacrene B, 2,7-dimethoxy-2-methylnaphthalene and 9-methoxy-2,3-dihydrofuro{3,2-q}coumarin. Among the volatile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2,7-dimethoxy-2-methylnaphthalene (40.98%), 9-methoxy-2,3-dihydrofuro {3,2-q} coumarin (15.74%), and ${\beta}-sesquiphellandrene$ (1.98%) in both Atractylodes.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Atractylodes were the same species which was being traded in the Korean herbal markets as the A. japonica. not to different species of A. japonica and A. macrocephalla, respectively.

회분 병류 5단 평형추출에 의한 모델 콜타르 유분 중에 함유된 Indole의 분리 및 회수 (Separation and Recovery of Indole from Model Coal Tar Fraction by Batch Cocurrent 5 Stages Equilibrium Extraction)

  • 김수진;전용진;정화진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68-172
    • /
    • 2007
  • 회분 병류 5단 평형추출에 의해 4종류의 질소고리화합물[indole(In), quinoline(Q), iso-quinoline(iQ), quinaldine(Qu)], 3종류의 2환 방향족화합물[1-methylnaphthalene(1MN), 2-methylnaphthalene(2MN), dimethyl naphthalene(DMN)], biphenyl과 phenyl ether로 구성된 모델 혼합물로부터 In의 분리를 검토했다. 본 연구의 원료로서 사용된 모델 혼합물은 콜타르 유분(유출온도범위: $240{\sim}265^{\circ}C$)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및 조성을 고려하여 작성했다. 추출용매로서는 Formamide 수용액을 사용했다. 4단 평형추출을 통해 In을 99% 이상 회수할 수 있었다. 5단 평형추출을 통해 얻어진 DMN을 기준성분으로한 In의 선택도는 63~118의 범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험적 결과와 이전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콜타르 중에 함유된 In의 분리 및 회수공정을 검토했다.

용액과 용융결정화에 의한 나프탈렌과 2-메틸나프탈렌 혼합물로부터 나프탈렌의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paration of Naphthalene from Naphthalene and 2-Methylnaphthalene Mixture by Melt and Solution Crystallization)

  • 김성일;정광은;채호정;정순용;김철웅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2-239
    • /
    • 2008
  • Separation of naphthalene from naphthalene and 2-methylnaphthalene mixture has been studied by layered melt and solution crystallization using ethylalcohol. Purity and yield of naphthalene depended mainly on the cooling rate: The effective distribution coefficient ($K_{eff}$) as the degree of impurity removal was observed to decrease with the decreasing in cooling rate. Purity of naphthalene can be enhanced to $5{\sim}7%$ by melt crystallization using 90% naphthalene and the purity of naphthalene can be obtained to be 99% up by solution crystal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