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MIB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29초

SNMP MIB 기반 트래픽 폭주공격 탐지 (Traffic Flooding Attack Detection using SNMP MIB)

  • 박준상;박대희;김명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35-938
    • /
    • 2008
  • DoS/DDoS 공격과 웜 공격으로 대표되는 트래픽 폭주 공격은 그 특성상 사전 차단이 어렵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탐지는 공격 탐지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필수요건이다. 기존의 SNMP MIB 기반 트래픽 폭주공격 탐지 방법은 1 분 이상의 탐지 시간을 요구하였다. 본 논문은 SNMP MIB 객체의 상관 관계를 이용한 빠른 트래픽 폭주 공격 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빠른 탐지 시간으로 발생되는 시스템의 부하와 탐지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공격 탐지 방법은 3 단계로 구성되는데, 1 단계에서는 MIB 정보의 갱신주기를 바탕으로 탐지 시점을 결정하고, 2 단계에서는 MIB 정보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공격의 징후를 판단하고, 3 단계에서는 프로토콜 별 상세 분석을 통하여 공격 탐지뿐만 아니라 공격 유형까지 판단한다. 따라서 빠르고 정확하게 공격을 탐지할 수 있고, 공격 유형을 분류해 낼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 질 수있다.

Ki-67/MIB-1 as a Prognostic Marker in Cervical Cancer -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 Piri, Reza;Ghaffari, Alireza;Gholami, Nasrin;Azami-Aghdash, Saber;PourAli-Akbar, Yasmin;Saleh, Parviz;Naghavi-Behzad, Moham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6997-7002
    • /
    • 2015
  • Background: In cervical cancer patien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n a significant Ki-67/MIB-1 expression is correlated with survival in cervical cancer patients. However, the prognostic value is still not well understood.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present meta-analysis the prognostic value of Ki-67/MIB-1 with regard to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in cervical cancer was investigated. The databases of PubMed, ISI Web of Scienc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EMBASE, Science Direct and Wiley Online Library were used to identify appropriate literature. Results: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i-67/MIB-1 and cervical cancer, we have included 13 studies covering 894 patients in the current meta-analysis. The effect of Ki-67/MIB-1 on OS for pooled random effects HR estimate was 1.63 (95%confidence interval (CI) 1.09-2.45; P<0.05). The pooled HR for DFS was 1.26 (95%CI 0.58-2.73; P>0.05) and the subgroup analysis indicated Ki-67/MIB1 was associated with DFS (HR=3.67, 95%CI 2.65-5.09) in Asians.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meta-analysis, Ki-67/MIB-1 has prognostic value for OS in patients suffering from cervical cancer. For better evaluation of the prognostic role of Ki-67/MIB-1 on DFS,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patients are needed to validate present findings in the future.

Loquat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 inhibits the growth of MDA-MB-231 tumors in nude mouse xenografts and invasion of MDA-MB-231 cells

  • You, Mi-Kyoung;Kim, Min-Sook;Jeong, Kyu-Shik;Kim, Eun;Kim, Yong-Jae;Kim, Hyeon-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2호
    • /
    • pp.139-147
    • /
    • 2016
  • BACKGROUND/OBJECF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loquat leaves on MDA-MB-231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MATERIALS/METHODS: Female athymic nude mice were given a subcutaneous (s.c.) inoculation of MDA-MB-231 cells and randomly grouped to receive a s.c. injection of either 500 mg/kg ethanol, water extract or vehicle five times a week. Tumor growth, mitotic rate and necrosis were examined. MDA-MB-231 cells were cultured with DMSO or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oquat water or ethanol extract. Proliferation, adhesion, migration, invas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activity were examined. RESULTS: Tumor growth of xenograft nude mous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loquat extracts. The results of mitotic examination revealed that loquat extracts reduced tumor cell division.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MDA-MB-231 cell proliferation. The protein expression of ErbB3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loquat leaf extracts. Loquat leaf extracts increased apoptosis of MDA-MB-231 cells following 24 hour incubation and the ethanol extract was more potent in inducing apoptosis than the water extract. Furthermore, loquat extracts inhibited adhes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MDA-MB-231 cells. MMP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loquat extract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extracts of loquat inhibit the growth of tumor in MDA-MB-231 xenograft nude mice and the invas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indicating the inhibition of tumor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Fusarium속에서 PFGE를 이용한 Electrophoretic Karyotyping (Electrophoretic Karyotyping by PFGE in the Genus Fusarium)

  • 민병례;정진숙;최영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35-143
    • /
    • 1998
  • CHEF (Contour-Clamped homogeneous electric field)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Fusarium section Sporotrichiella, Liseola, Gibbosum, Discolor와 Martiella에 속하는 10종의 electrophoretic karyotype을 비교하였다. Intact chromosomal DNA는 균류의 원형질체로부터 추출하였으며,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을 주어 DNA 분자를 분리시켰다. Fusarium속에 속하는 종의 염색체는 0.78Mb에서 7.20Mb의 크기를 가진 염색체가 종에 따라 $5{\sim}13$개였다. 각 종의 total genome 크기는 18.32Mb에서 48.20Mb였다. Electrophoretic karyotype을 비교한 후 F. oxysporum formae speciales lilii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하여 만든 genomic DNA를 probe로 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MDA-MB-231 유방암 세포에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의 항암효과 (The anti-cancer effect of pomegranate-derived nanovesicles o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 김동하;김지수;권인숙;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43-5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에 항 혈관 신생효과와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석류 주스로부터 분리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PNVs)이 평균 직경이 162 nm의 이중막 구조인 나노베지클을 검증하였다. MDA-MB-231 세포에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의 내재화를 확인하였다.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MDA-MB-231 세포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MDA-MB-231 세포에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발현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MMP-2, MMP-9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세포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시켜 항암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이용 가능함으로 시사된다.

훈증방법이 살충력 및 절화장미·백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migation Methods on Insect Disinfestation and Quality of Cut Rose and Lily)

  • 손기철;변혜진;김미경;윤재길;정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74-376
    • /
    • 1998
  • 실제 검역시 이용되고 있는 훈증방법($MB\;48g{\cdot}m^{-3}$)과 새로 개발한 혼합 훈증방법($MB/PH_3,\;7/3g{\cdot}m^{-3}$)이 해충에 대한 살충력과 절화장미와 백합의 절화수명 및 식물약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송직후 저농도의 혼합훈증처리($MB/PH_3,\;7/3g{\cdot}m^{-3}$)는 2일간 모의수송 후 훈증처리($MB\;48g{\cdot}m^{-3}\;20^{\circ}C$)보다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화별 식물약해에서는 차이가 있었으나, 절화의 품질과 수명은 수송직후 전처리와 상관없이 $10^{\circ}C$에서 $7/3g{\cdot}m^{-3}$으로 2.5-3시간 훈증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2일간 모의수송후 $MB\;48g{\cdot}m^{-3}$ 처리는 살충력은 높았으나, 전처리유무와 상관없이 백합, 장미 모두에게 식물약해를 미치며 절화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완전 자동화된 액체배양법과 기존의 고체배양법을 이용한 객담 내 mycobacterium의 신속검출에 대한 비교 (Fully Automated Liquid Culture System Compared with Lowenstein-Jensen Solid Medium for Rapid Recovery of Mycobacteria in Sputums)

  • 박승규;김승철;김득미;이창운;김영;조상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6호
    • /
    • pp.635-643
    • /
    • 2002
  • 연구배경 : 완전 자동화된 액체배양법과 기존의 고체배양법을 이용하여 폐결핵환자의 객담내 mycobacterium의 신속검출율 및 양성판정시까지의 시간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 사이에 본원에 입원 혹은 외래에서 폐결핵으로 치료중인 환자 127명의 객담검체를 이용하였으며, 배양 중 오염된 28개의 검체(MB/BacT system 18개, L-J배지 14개, 4검체는 두 배양법 모두에서 오염)를 제외한 99명의 객담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체는 4% NaOH로 전처치한 후 43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멸균된 phosphate buffer(pH 6.8)를 첨가하여 2ml로 만들어 MB/BacT bottle에 0.5ml, Lowenstein-Jensen배지에 0.25ml를 접종한 후 $35-37^{\circ}C$에 6-12주간 배양하면서 균검출율과 양성판정시까지의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 MB/Bact system과 L-J배양볍 중 어느 한 방법에서 균성장이 발견된 검제는 677B (67.7%) 였다. 두배양법 모두에서 균성장이 발견된 겸체는 5252.5%) 개였으며, MB/BacT에서만 발견된 검체는 15개 (15.2%) 였으나 L-J배양법에서만 발견된 경우는 없었다. 객담검체의 ZN염색법으로 항산균 집균도말겸사상 양성인 검체는 58개, 음성인 검체는 41개였다. 58개의 도말양성 검체 가운데 MB/BacT system에 양성을 보인 검체는 %개 (96.6%), L-J배지양성은 467B (79.3%) 였으며, 균성장 평균 발견시간은 각각 11.0일과 23.5일이었다. 41개의 도말음성검체 가운데 MB/BacT system에 양성을 보인 검체는 11개 (26.8%), L-J배지양성은 6개 (14.6%)였으며, 균성장 평균 발견시간은 각각 13.7일과 27.6일 이었다. 전체적으로 MB/BacT system과 L-J배양법에서 균성장 발견시 간은 각각 $13.3{\pm}8.3$일, $27.2{\pm}0.9$일이었다. 결 론 : 완전 자동화된 MB/BacT system은 L-J배지에 비해 mycobacterium의 검출율이 높고 발견시간이 단축되었다. MB/BacT는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므로 모든 검사실에 사용하기에 적당할 것으로 보이며, 균동정을 위하여 특이한 DNA probe와 병용하면 CDC가 권고한 결과보고 시간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Anti-tumor Immunity Induced by Tumor Cells Expressing a Membrane-bound Form of IL-2 and SDF-1

  • Choi, Jin-Wha;Lim, Ho-Yong;Chang, Mi-Ra;Cheon, Ji-Yeon;Kim, Young-Sa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193-201
    • /
    • 2008
  • The eventual goal of tumor immunotherapy is to develop a vaccine inducing a specific anti-tumor immunity. Cytokine gene therapy is an effective way at least in animal models, but limited efficacy and various side effects obstruct clinic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umor vaccine expressing a membrane-bound form of IL-2(mbIL-2) and SDF-1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tumor clones expressing mbIL-2 showed reduced tumorigenicity, and additional expression of SDF-1 to mbIL-2 expressing tumor cells caused more severe reduction in tumorigenicity. However, expression of the SDF-1 alone did not affect on the tumorigenicity, probably because of limited production of SDF-1 in the SDF-1 transfected clones. When the mice once rejected mbIL-2/SDF-1 expressing tumor clone were re-challenged with wild type B16F10 tumor cells, all of the mice survived. This result suggests that mbIL-2/SDF-1 tumor clone is effective in inducing systemic anti-tumor immunity against wild type B16 melanoma. Furthermore, culture supernatant of tumor clones expressing SDF-1 induced lymphocyte migration in vitro. These results, all together, suggest that expression of mbIL-2 and SDF-1 in tumor cells enhances anti-tumor immune responses through different roles; the secreted SDF-1 may function as a chemoattractant to recruit immune cells to tumor vaccine injection site, and the mbIL-2 on tumor cells may provide costimulatory signal for CTL activation in physical contacts.

Enhancement of Methylene Blue-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Brain Tumor Cells by an Iron Chelator, Deferoxamine

  • Lee, Yong-Soo;Han, Suk-Kyu;Wurster, Robert D.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59-163
    • /
    • 1995
  • Previously, we have reported that methylene blue (MB) induces cytotoxicity in human brain tumor cells through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eferoxamine (DFO), an iron chelator, on MB-induced cytotoxicity was investigated using SK-N-MC human neuroblastoma and U-373 MG human astrocytoma cells as model cellular systems. The cytotoxic effect of MB was potentiated by DFO. The potentiation effect of DFO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either stoichiometric amounts of ferric ion, various antioxidants, hydroxyl radical scavengers or intracellular $Ca^{2+}$ release bloc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droxyl radical and intracellular $Ca^{2+}$ may act as important mediators of the enhanced cytotoxicity by MB and DFO. Thes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the combined treatment with MB and DFO may be useful for the therapeutical applications of human brain tumors.

  • PDF

MWCNT와 여러가지 티탄알콕사이드 전구체를 사용하여 CNT/TiO2 복합체의 제조와 광촉매분해 (Preparation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NT/TiO2 composites using MWCNT and various titanium alkoxide precursors)

  • 진명량;장봉군;오원춘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553-561
    • /
    • 2008
  • MWCNT 와 여러 가지 티탄 알콕사이드 전구체를 사용하여 $CNT/TiO_2$ 복합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복합체들은 SEM, FE-SEM, XRD, EDX 및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UV 조사하에서 MB모델 수용액의 변이에 대한결과로부터 제조된 물질에 대한 광활성을 시험하였다. 마지막으로 MB 제거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시료 CTOS의 경우 시료 CTIP 및 CTPP의 경우보다 우수한 MB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