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MIB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24초

사구체신염에서 MIB-1을 이용한 Ki-67 항원의 발현 (Expression of the Ki-67 antigen Using Monoclonal Antibody MIB-1 in Children with Glomerulonephritis)

  • 정우영;송민섭;김영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104-109
    • /
    • 1998
  • 목 적 : 증식성 핵 항원인 Ki-67의 발현은 조직 표본에서 세포증식의 활성도를 나타내어 주는 매우 유용한 표식자로 이용되고 있다. MIB-1은 포르말린에 고정되고 파라핀 포매된 조직에서 Ki-67항원을 인식해 낼 수 있는데, 단클론성 항체 MIB-1을 이용하여 각종 사구체신염에서 사구체 및 신세뇨관의 MIB-1발현 정도를 알아보고, 특히 메산지움의 증식을 가지는 사구체신염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 사이에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질환이 의심되어 신생검을 시행한 환자 중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15세 이하의 환자 4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Ki-67에 대한 MIB-1(Immunotech, 505)항체를 이용하였으며, 판정은 모든 사구체의 세포수에 대해서 세포의 핵에 적갈색의 과립이 보이는 세포수를 백분율로 구하여 MIB-1 표지지수로 난타내었다. 결과 : 1. 미세변화 신염과 막성 신염에서는 전례에서 사구체 및 신 세뇨관에서 MIB-1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2. IgA 신증의 경우에는 18례에서 단지 2례 ($11.1\%$)에서만 사구체의 메산지움 세포와 신 세뇨관 세포에서 MIB-1이 발현되었으며, 7례에서는 신 세뇨관 세포에서만 MIB-1이 발현되었다. 3.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에서는 4례중 2례에서 사구체내에 MIB-1이 발현되었다. 4. 연쇄상 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의 경우에서는 5례중 4례에서 사구체 와 신 세뇨관 세포에서 MIB-1항원이 발현되었다. 결 론 :각종 신질환에서 사구체내 MIB-1의 발현은 사구체 및 신 세뇨관 세포의 증식상태를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IgA 신증의 경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메산지움 세포에서의 발현율은 낮아서, 메산지움의 증식을 보이는 사구체신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로서의 의미는 제한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옥수수 R-mb 유전자의 유전분석과 그의 구조 (Genetic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R-mb gene from maize)

  • 윤필용;유삼규;송원용;윤충효;임용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1-165
    • /
    • 1997
  • 옥수수의 색소합성을 조절하는 pattern allele의 하나인 R-mb유전자의 구조와 유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R-mb 유전자의 유전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검토하여 볼 때 후대로 진행됨에 따라 색소 발현빈도_의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R-mb 유전자가 몇 개의 R subcomplex로 존재하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R specific probe인 pR-nj:1를 이용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약 3.9kb 및 약 7.75kb영역에서 2개의 band가 관찰되었다. R-mb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λFIXIIvector를 이용하여 library를 만들고 이로부터 mb-II, III, V, Ⅵ, Ⅶ 등 5개의 clone을 3차의 screen을 거쳐 확보하고 이중 mb-II 및 mb-Ⅵ를 중심으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 유전자의 구조와 기타 R locus관련 유전자들과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두 개의 R 요소가 어떻게 색소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에 검토하였다.

  • PDF

쌀겨 바이오차와 분말 활성탄을 이용한 메틸렌 블루와 휴믹산 제거 효율 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f Methylene Blue and Humic Acids Removal Efficiency Using Rice Husk Derived Biochars and Powdered Activated Carbon)

  • 이주원;정은주;이정민;이용구;전강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83-492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methylene blue (MB) and humic acids (HA) using a rice husk (RH) biochar and powdered activated carbon (PAC). The pseudo-second-order model better presented the adsorption of MB and HA onto a RH biochar than the pseudo-first-order model. Furthermore, better description of the adsorption behavior of MB and HA by the Langmuir isotherm model (R2 of the RH biochar: MB = 0.986 and HA = 0.984; R2 of PAC: MB = 0.997 and HA = 0.989) than the Freundlich isotherm model (R2 of the RH biochar: MB = 0.955 and HA = 0.965; R2 of PAC: MB = 0.982 and HA = 0.973)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monolayer adsorption played key roles in the removal of MB and HA using the RH biochar and PAC. Batch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e effects of dosage, temperature, and pH. For all experiments, PAC showed higher efficiencies than RH biochar and MB adsorption efficienc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HA. Adsorption efficienc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sorbents and temperature. As the pH increased, adsorption efficiencies of MB were increased while adsorption efficiencies of HA were decreased.

Co-ACFs/TiO2 복합체의 제조 및 그의 메틸렌블루의 광분해 (Preparation of Co-ACFs/TiO2 composites and its photo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 오원춘;권호정;진명량;장봉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31-3038
    • /
    • 2009
  • 코발트 적재된 활성탄소섬유(ACFs)는 이산화티탄($TiO_2$) 광촉매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을 발전되었다. Co-ACFs/$TiO_2$ 광촉매는 SEM, XRD, EDX 및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Co-ACFs/$TiO_2$ 광촉매에 대한 메틸렌불루(MB)의 분해 효과는 300분 반응해서 거의 100%를 도달하였다. 용액에 있는 MB 분자들은 ACFs의 흡착에 의해 $TiO_2$ 입자의 주위에 응축한다고 가정되었다. 그래서 이 광촉매 복합체는 MB 광분해에 대한 활성탄의 흡착성과 $TiO_2$의 광촉매 특성의 결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코발트가 전자 천이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MB 용액의 광분해가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MB-OFDM UWB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MIMO 수신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Spatial Multiplexing MIMO in MB-OFDM UWB Receivers)

  • 서정원;권양수;김석현;정재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2A호
    • /
    • pp.121-129
    • /
    • 2008
  • 본 논문은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표준인 MB-OFDM (MultiBan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WB(Ultra Wide-Band) 시스템에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성능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전송률을 2배로 올리기 위한 공간 다중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수신기 구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송신단은2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수평 부호화 방식과 대각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수신단은 2, 3개 안테나에 대한 다양한 공간다중화 수신기 방식을 고려하였다. 다양한 공간 다중화 수신단 구조의 연산 복잡도 비교와 전산 모의 실험을 통해 $2{\times}2$ 구조의 MML 방법 또는 $\2{times}3$ 구조의 ZF 방법이 SISO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송률을 높이는 MIMO MB-OFDM의 간단한 수신단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의암호와 공지천 하류에서 남조류와 냄새물질의 발생 특징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and Odorous Compounds Production in Lake Uiam and Lower Gonji Stream)

  • 윤석제;임종권;변명섭;유순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9-104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mass of cyanobacteria and the concentration of 2-methylisoborneol (2-MIB) in the lower Gongji stream. The investigation was done using a field study that was conducted from 2015 to 2017. The 2-MIB concentration in the lower Gongji stream ranged from 0 to 153 ng/L, while the upper stream had 0 2-MIB concentration. 3 genera (Oscillatoria, Phormidium, Pseudanabaena) of cyano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lower Gongji stream with 2-MIB concentration. Among these 3 genera, an increase in Phormidium, Pseudanabaena biomas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2-MIB concentration. Accordingly, Phormidium, Pseudanabaena were regarded as the biological source of 2-MIB in that area. In October 2017, although planktonic cyanobacteria occurred less frequently, many benthic cyanobacteria mat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ody. Therefore, the high 2-MIB concentration, which exceeded 110 ng/L, can likely be attributed to the benthic cyanobacteria. In a laboratory experiment, individual Oscillatoria filaments were aggregated to form a colony with a higher density. This colony tended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Cyanobacteria mats after floating aggregated mats were distributed in a net shape on the bottom.

아조염료 분해균 Citrobacter sp. MB2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itrobacter sp. MB2, Azo Dyes Decolorizing Bacterium)

  • 권대준;지원대;권오준;이태종;이난희;손동화;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165-169
    • /
    • 2006
  • 염색공단 주변의 토양과 하수로부터 아조염료 분해 탈색능이 우수한 MB2균을 분리하여 Citrobacter sp.로 동정하였다. Citrobacter sp. MB2의 성장 최적배지 및 배양조건은 sucrose 0.5%, yeast extract 1.0%, $K_2HPO_4$ 0.1%, $NaHCO_3$ 0.1%, pH 7.0, 배양온도 $30^{\circ}C$에서 호기적 진탕배양이었으며, 최적배지에서의 균성장은 분리용 배지나 nutrient broth에서의 균성장보다 각각 7배 및 50배 이상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Citrobacter sp MB2는 금속염에 대해 강한 내성을 보였으며, 항생제 ampcillin과 penicillin G에 대해서 강한 내성을 보였다.

Mind Bomb-2 Regulates Hippocampus-dependent Memory Formation and Synaptic Plasticity

  • Kim, Somi;Kim, TaeHyun;Lee, Hye-Ryeon;Kong, Young-Yun;Kaang, Bong-Ki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6호
    • /
    • pp.515-522
    • /
    • 2015
  • Notch signaling is a key regulator of neuronal fate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but its function in the adult brain is still largely unknown. Mind bomb-2 (Mib2) is an essential positive regulator of the Notch pathway, which acts in the Notch signal-sending cells. Therefore, genetic deletion of Mib2 in the mouse brain might help understand Notch signaling-mediated cell-cell interactions between neurons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 Here we show that deletion of Mib2 in the mouse brain results in impaired hippocampal spatial memory and contextual fear memory. Accordingly, we found impaired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in Mib2 knock-out (KO) mice; however, basal synaptic transmission did not change at the Schaffer collateral-CA1 synapse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we found that the level of cleaved Notch1 was lower in Mib2 KO mice than in wild type (WT) littermates after mild foot shock.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ib2 plays a critical role in synaptic plasticity and spatial memory through the Notch signaling pathway.

부영양호 원수의 냄새유발 물질 탈기 특성 (Air stripping of odor causing materials from eutrophic lake water)

  • 박노백;송용효;나광주;박상민;전항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3-529
    • /
    • 2008
  • Algal blooms in a local eutrophic lake often produces the musty and earthy taste & odor problems. Since the odor causing compounds(OCCs) including geosmin and 2-MIB have their own volatility, the OCCs can be removed from water by air stripping methods. Removal of TON(threshold odor number) as an index for OCCs could be fitted well with the first order equations($R^2=0.9$ above), where the air stripping coefficient of TON, k was in the range between 0.0055 and 0.0097 according to the aeration time. k within 30min aeration tests was 0.0097, while it was 0.0055 where the aeration time extended to 150min. With 15 mg/L of PAC, removal of TON was not simulated with 1st order equation within 30min aeration. Within 30min aeration, OCCs rather than geosmin and/or 2-MIB could be removed easily by air stripping or PAC adsorption, while OCCs such as geosmin and/or 2-MIB could be removed slowly by air stripping after 30min aeration. Geosmin and 2-MIB were not readily removed by air stripping(k of them were 0.0018~0.0047 and 0.0018~0.0034, respectively at different air flow rates). Geosmin could be removed by air stripping a little better than 2-MIB.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이 인간 유방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nake Venom Toxin from Vipera lebetina turanica on Breast Cancer Cells)

  • 양가람;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7-38
    • /
    • 2009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t turanica의 사독약침액(蛇毒藥鍼液)(Snake venom toxin, SVT)이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CF-7과 MDA-MB-231 세포에서 암세포성장의 억제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MCF-7과 MDA-MB-231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TUNEL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을 보기 위하여 세포내 활성산소량 및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 변화를 측정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인 Bax, Bcl-2 발현 변화 관찰에는 westem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MCF-7과 MDA-MB-231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 유방암 세포의 성장, Apoptosis의 유발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CF-7 세포와 MDA-MB-231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유방암 세포 성장이 억제되었다. 2. TUNEL assay를 통한 세포자멸사 평가에서 SVT를 처리한 MCF-7세포와 MDA-MB-231 세포 모두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연구에서 SVT를 처리한 MCF-7 세포와 MDA-MB-231 세포에서 세포내 활성산소의 유의한 증가와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의 유의한 변동이 관찰되었다. 4. SVT를 처리한 MCF-7세포와 MDA-MB-231세포는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 발현에서 Bax의 유의한 증가와 Bcl-2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세포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에 변화를 일으켜 유방암 세포주인 MCF-7과 MDA-MB-231 세포에 세포자멸사를 유발하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