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차 중합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1초

가시광선과 플라스마 광선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미세누출과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ICROHARDNESS AND MICROLEAKAGE IN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CURED WITH VISIBLE LIGHT AND PLASMA ARC CURING UNITS)

  • 김상배;이광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0-188
    • /
    • 2002
  • 최근에 소개된 plasma arc curing units는 비교적 높은 광 강도를 가지고 짧은 시간내에 복합레진을 적절히 중합시킨다고 한다. 이 연구는 plasma arc curing units의 강한 광도와 짧은 시간에 의한 중합이 복합레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가시광선 중합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표면 미세경도와 5급 수복물의 변연에 나타나는 미세누출을 색소침투방법으로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깊이에서의 미세경도는 AHL군이 AP3, AP6군보다 모든 깊이에서 높았고, ZHL군보다 ZP6군이 표면에서 더 높았으며(P<0.05), 1mm와 2m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그 외 모든 깊이에서 ZHL군이 ZP3, ZP6군보다 높았다(P<0.05). 2. 각 중합방법내 깊이에 따른 미세경도는 AHL군의 표면-1mm와 ZHL군의 1mm-2mm를 제외하고는 모든 군에서 깊이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3. 교합면측과 치경부측 미세누출은 모든 중합군에서 교합면측이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중합방법간 미세누출은 모든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5. 각 중합방법에 따른 재료간의 미세누출은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중합 광원과 중합 시간이 복합레진의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GHT SOURCE AND CURING TIME ON SURFACE HARDNESS OF RESIN COMPOSITES)

  • 배상만;이광희;김대업;안호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9-206
    • /
    • 2001
  • 플라즈마 아크 광원을 사용하는 광중합기를 저출력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광중합기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복합레진을 두께가 2, 3, 4, 5mm인 몰드에 충전하고 레진 상면을 할로겐광으로 40초간, 플라즈마광으로 3, 6, 9초간 조사한 후 레진 상면과 하면의 표면미세경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레진시편 상면의 표면경도와 하면의 표면경도 간의 차이는, 두께 2mm 시편에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하였거나 플라즈마광을 9초간 조사한 경우들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였다(P<0.05). 레진시편 상면의 표면경도는 전체 실험군들에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레진시편 하면의 표면경도는 전체적으로 보아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한 군들에서 가장 높았고 플라즈마광의 조사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레진시편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복합레진의 중합깊이 측면에서 볼 때 3, 6, 9초간 조사하는 고출력 플라즈마광의 중합능력이 40초간 조사하는 저출력 할로겐광의 중합능력에 미치지 못함을 시사한다.

  • PDF

Bacillus sp.유래 $\beta$-Mannanase 정제 및 Guar Gum가수분해 올리고당의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증식활성 (Purification of Bacillus sp. $\beta$-Mannanase and the Growth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Guar Gum Hydrolysates.)

  • 최준영;박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2
    • /
    • 2004
  • DEAE-sephadex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Bacillus sp. 유래 $\beta$-mannanase 의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21.57 units/$m\ell$, 정제배율 95.33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38.9 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guar gum galact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 와 2차 Sephadex G-25 gel filtration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 및 FACE 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중합도 5와 7로 확인되었다. B. longum B. bifidum, B. infantis, B. adolescentis, B. animalis, and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5와 7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5와 7을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 에서는 중합도 5 galact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Standard MRS와 배교하여 0.62배로 감소하였다. 또한 중합도 5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7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eptomyces violaceoruber 유래 Alginate Lyase의 정제 및 Sodium Alginate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과 Lactobacillus spp.에 대한 생육활성 (Purification of Alginate Lyase from Streptomyces violaceoruber and the Growth Activity of Intestinal Bacteria by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lginate Hydrolysates)

  • 윤민;박영서;박귀근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03-109
    • /
    • 2017
  • DEAE sephacel anion chromatography 및 SP sepharose c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Streptomyces violaceoruber 유래 alginate ly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14.59 units/mL 정제배율 40.64배를 나타내었다. Tricine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23.3 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sodium alginate를 가수분해하여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와 2차 bio gel P-2 gel filtration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와 FACE를 통해 중합도를 확인하고 Timell's method에 의해 hetero type M/G-oligosaccharide 중합도 6, 8로 결정되었다. B. animalis, B. bifidum, B. breve, B. infantis, B. longum와 L. acidophilus, L. casei, L. reuteri에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6, 8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media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6, 8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6 M/G-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4.25배, D.P. 8에서 6.44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의 경우에서도 D.P. 6에서 3.27배, D.P. 8에서 5.4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B. animalis, B. breve그리고 L. casei에 있어서도 D.P. 8의 경우 3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으나, L. reuteri에 대한 D.P. 8의 경우에서는 표준 MRS media와 비교하여 0.29배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D.P. 8의 올리고당이 D.P. 6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리세린이 복합레진의 중합 후 표면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erin on the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s after curing)

  • 박현희;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6호
    • /
    • pp.483-489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리세린의 도포가 복합레진의 중합 후 표면경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디스크 형태의 황동 몰드에 복합레진(Z-250, 3M ESPE)을 충전 후 다음과 같이 광중합 하였다. 1군(대조군)은 복합레진 표면을 공기 중에 노출한 후 40초 동안 광조사, 2군은 표면을 Mylar strip으로 덮은 후 40초 광조사, 3군은 표면을 glycerin으로 도포 후 40초 광조사, 4군은 공기 중에 노출시켜 20초 광조사한 다음 시편 표면에 glycerin으로 도포한 후 추가로 20초 동안 광조사 하였다. 각 그룹당 2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연마 후 또는 연마를 하지 않고 시편의 표면경도를 측정하였다. 5일 후 각 시편의 표면경도를 재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thre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중합 직 후, 연마하지 않은 시편의 표면경도는 2군 > 3군 > 4군 > 1군의 순이었다. 연마한 경우 각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같은 군 내에서는 5일 후 표면경도가 중합 직 후 보다 증가하였고 연마한 경우가 연마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표면경도를 나타냈다. 결론: 중합 후 복합레진의 표면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연마였고, 중합 전 Mylar strip의 사용이나 glycerin의 도포 역시 중합된 복합레진의 표면경도를 증가시켰다.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접착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HEAR BOND STRENGTHS INFLUENCED BY TIME ELAPSED AFTER BRACKET BONDING WITH A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 이기수;임호남;박영국;신강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5-611
    • /
    • 1995
  • 이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폴리아크릴산 용액으로 표면 조건화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를 인산용액으로 부식된 법랑질에 대한 치과 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그것과 비교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때 상용되어 온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를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며 시멘트로 대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발거된 사람 소구치의 법랑질 표면을 각각 10% 폴리 아크릴산용액과 38% 인산용액으로 처리한 후, 각각 시판되고 있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Fuji II LC)과 화학중합형 치과교정용레진접착제의 일종(Mono-Lok 2)으로 법랑질 표면에 금속브라켓을 접착하고, 시편을 실온에서 5분, 15분 방치한 후, $37^{\circ}C$의 증류수 속에 1일, 35일 동안 침지시킨 후,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 패턴을 관찰하였다. 브라켓 접착5분과 15분 후의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는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그것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치과 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는 브라켓 접착 1일 까지 증가하였으나 1일군과 35일군의 그것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가 브라켓 접착제로서 임상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나노 충전제 함량에 따른 복합레진의 표면 미세경도 차이 (EFFECTS OF NANOFILLER CONTENT ON THE MICROHARDNESS OF EXPERIMENTAL MICROHYBRID RESIN COMPOSITES)

  • 정영정;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2
    • /
    • 2005
  • 최근에 개발된 나노 충전제를 microhybrid 복합레진에 첨가할 때, 나노 충전제 함량이 중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나노 충전제의 함량을 다르게 제작한 복합레진에서 광중합 후 미세경도를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2%, 3%인 군은 0%, 1%인 군에 비해 중합된 면의 미세경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2.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레진 시편의 하면에서의 미세경도는 증가하였으며,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0%, 1%, 2%간에 0%, 1%,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2%와 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레진 시편의 상면과 하면의 미세 경도 차이는 나노 충전제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0%, 1%, 2%간에, 0%, 1%,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2%와 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수분산성 아크릴계 점착제 중합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Polymerization Condition of Water-based Acrylic Adhesion)

  • 이행자;장석희;장상목;김종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609-614
    • /
    • 2010
  • 본 연구는 주단량체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n-부틸아크릴레이트(n-B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그리고 기능성 단량체로 아크릴산(AAc)을 사용한 유화중합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합성하기 위한 최적의 합성 조건을 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계면활성제 농도의 영향, 계면활성제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HLB) 값, 중합개시제의 농도와 완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계면활성제는 단량체 사용량에 대하여 3~5 wt%를 사용하였을 때, HLB 값이 12.3일 때 가장 안정한 점착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1 wt% 이상 사용하였을 때는 중합 속도는 증가하였으나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완충제로 sodium bicarbonate를 사용할 경우 0.4 wt% 이상 사용하여야 충분한 완충 효과가 있었으며,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완충제의 농도가 0.6~0.8 wt%가 적당하여 4성분계 유화중합에서 최적의 중합 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다.

고밀도 구치부 복합레진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High Density Posterior Composite)

  • 허대성;조경모;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254-26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35개의 구치부 2급 와동에 고밀도 구치부 복합레진(Surefil, Caulk, U.S.A.)을 수복하였다. 단일 충전군은 18개 치아의 인접면 와동을 한꺼번에 충전한 후 광중합하였고 분할 충전군은 17개 치아의 인접면 와동을 두 층으로 나누어 충전 및 광중합하였다. 6개월 후의 임상검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초검사에서 단일 충전군과 분할 충전군 모두 색상조화도(Color match)를 제외한 다른 검사 항목들에서 Alfa로 나타났다. 2. 단일 충전군은 6개월 후 모든 검사(색상 조화도 제외)에서 인접면 접촉도(Proximal contact), 변연부 변색(Marginal discoloration), 술후 과민증(Postoperative sensitivity) 검사에서 소수의 치아가 Bravo, Charlie로 나타났으나 기초 검사와 3개월 후 검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분할 충전군은 6개월 후 시행된 모든 검사(색상 조화도 제외)에서 인접면 접촉도(Proximal contact), 술후 과민증(Postoperative sensitivity) 검사에서 소수의 치아가 Bravo, Charlie로 나타났으나 기초 검사와 6개월후 검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모든 검사항목에서 단일 충전군과 분할 충전군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고밀도 구치부 복합레진(Surefil, Caulk, U.S.A)은 색상 재현의 어려움을 제외하고는 여러 평가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기준으로 보면 이전 복합레진의 단점이 보완되어 구치부 2급 와동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며 단일 충전군과 분할 충전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시술 시간을 좀 더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중합기 종류에 따른 복합레진과 콤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AND COMPOMER RESTORATIONS CURED WITH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 박창후;양규호;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38-446
    • /
    • 2006
  • 광중합 수복재의 중합시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 여러 가지 광중합기와 중합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광, LED광으로 광조사를 했을 때 미세누출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임상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치아의 협설면에 5급와동을 형성하고, 광중합레진을 수복하여 광중합한 뒤 24시간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담근 다음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Kruskal-Wallis test와 Man-Whitney test를 사용하여 각 군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법랑질에서 Dyract AP로 충전한 경우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으나, $Z250^{(R)}$으로 충전한 경우에서는 $Flipo^{(R)}$가 FreeLight $2^{(R)}$혹은 $TriLight^{(R)}$보다 미세누출이 컸다. 충전재에 따른 법랑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LED광 혹은 할로겐 광중합시 복합레진이 컴포머에 비해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나, $Flipo^{(R)}$에서는 두 재료간의 차이가 없었다. 상아질변에서는 $Flipo^{(R)}$와 FreeLight $2^{(R)}$로 중합시 $Z250^{(R)}$이 Dyract AP보다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TriLight^{(R)}$에서는 두 재료간의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Z250^{(R)}$이 Dyract AP보다는 미세누출이 작았으며, $Z250^{(R)}$으로 충전한 경우 에나멜변연에서 $Flipo^{(R)}$가 FreeLight $2^{(R)}$$TriLight^{(R)}$보다 미세누출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