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차 감염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학생 잠복결핵 감염의 진단 (Diagnosis for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College Students)

  • 육근돌;양병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5-229
    • /
    • 2016
  • 결핵이란 결핵균에 의한 만성 감염질환으로 결핵균이 포함된 비말액을 통해 공기감염을 일으킨다. 대부분의 결핵감염자는 전염력이 없는 잠복감염상태만 유지하나 10%의 감염자 중 절반은 감염 후 1~2년 안에 발병하게 된다. 결핵감염자와 접촉이 있는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결핵 감염자 접촉관련 사전 조사 및 흉부 X-선 검사, TST 검사 및 IGRA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TST 검사에서 양성자는 9명, 음성은 65명으로 나타났으며, 음성 판독자는 2차 TST검사를, 양성 판독자는 IGRA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TST 양성자 9명 중 IGRA 검사에서 3명이 양성자로 나와 잠복 결핵감염 치료를 실시하였다. 1차 TST결과 음성자에 대한 재확인 TST 검사는 1차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잠복결핵감염율은 74명중 3명으로 4.05%로 나타났고, 잠복결핵감염자 색출을 위해서 다른 그룹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에이즈 수혈감염 사고 막을 수 없나?

  • 김성순
    • 레드리본
    • /
    • 통권67호
    • /
    • pp.24-25
    • /
    • 2005
  • 최근 항체미형성기의 오염혈액을 2003년 8월 수혈받은 2명이 에이즈의 원인병원체인 HIV(인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언론에 발표되었다. 다행스럽게도 수혈감염자로부터 2차 감염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얼마 전 HIV 항체미형성기의 혈장을 원료로 한 알부민제제 시판 논란과 더불어 일반 국민들은 국가혈액공급의 안전에 큰 불안을 갖게 되었다.

  • PDF

공개형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뢰기반 감염병 관리 시스템 (Trust-based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ublic Blockchain)

  • 장경배;박재훈;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95-801
    • /
    • 2020
  • 국가에 치명적인 감염병이 발생하였을 때, 점차 퍼지는 후속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신속한 대처와 국민들의 2차 감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의료기관에서 감염병을 발견하고, 이 사실이 질병관리본부까지 도달하기에는 총 4단계의 보고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개형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기존 보고절차를 간소화 한다. 또한 감염병 관련 기관들만이 블록체인에서 감염병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의 열람권한을 일반 시민들에게도 부여한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고 처리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감염병 발생에 대한 대처와 공식발표에 신뢰를 더할 수 있다. 국민들 또한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정보들을 블록체인에서 확인하여 효율적인 차세대 방역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볼락류 Sebastes melanops 아가미에 단생 흡충류 Microcotyle sebastis의 부착에 관하여 (Attachment of the Microcotyle sebastis (Monogenea: Microcotylidae) to the Gills of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 Chun, Kae-Sh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2-105
    • /
    • 2002
  • 2001년 9월 19일부터 동년 10월 3일까지 Hartfield Marine Science Center Aquarium에서 구입한 볼락류 Sebastes melanops 7마리의 아가미에 부착한 단생 흡충류를 조사하였다. 파악기와 정소 수를 근거로 한 불락류(S. melanops)의 단생 흡충류는 Microcotyle sebastis였다.M. sebastis의 감염률은 42.9%이었고 감염강도는 1-11(평균 2.0)을 나타내었다. 단생 흡충류의 감염부위는 주로 감염어 아가미의 제 2차와 제 3차 새변이었다. 따라서, 아가미의 제 2차와 제 3차 새변 표면은 M. sebastis의 분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새로 진단된 결핵 환자의 가족 내 2차 감염 양상 조사 (Survey of Secondary Infections within the Households of Newly Diagnosed Tuberculosis Patients)

  • 이민현;성재진;은병욱;조혜경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1호
    • /
    • pp.7-15
    • /
    • 2015
  • 목적: 결핵 전파의 주요 원인인 가족 내 2차 감염 관리의 실태를 조사하고 특히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의 결핵 노출 시의 관리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2011년 10월 1일부터 2012년 9월 30일까지 가천대 길병원에서 결핵균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을 받은 시기로부터 1년이 지난 시점에 후향적으로 전화 설문 및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321명의 연구 대상자들 중 전화 응답이 가능했던 253명의 새로 진단된 결핵 환자들 중에서 가족 접촉자에 대한 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받은 경우는 50% 미만 밖에 되지 않았고, 검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총 562명의 가족 내 접촉자 중 2차 환자가 발생한 경우는 7가족 내 8명(1.4%, 8/562)이었고, 가족 내 잠복결핵감염 환자가 발생한 경우는 13가족 내 15명(2.7%, 15/562)이었다. 가족 내 소아 청소년 접촉자 110명 중 2차 환자는 없었으며 잠복결핵감염은 7가족 내 8명으로 전체 소아 청소년 접촉자 중에는 7.3%, 검진을 받은 소아 청소년 접촉자 중에는 20.5%였다. 가족 내에 추가 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 중 감염원이 폐외 결핵인 경우가 3명(13.0%)이 있었다. 감염원의 폐공동 존재 여부와 객담 도말 검사 결과 및 미생물학적 확진 여부는 가족 내 접촉자의 감염 여부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 효과적인 결핵 접촉자 검진을 위해서 환자의 가족 내 접촉자 검진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결핵 접촉자 검진 국가 지원 사업 이후 관리 실태 개선 여부에 대한 평가를 위해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개의 모낭충증 (Demodecosis)

  • 박재학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9-72
    • /
    • 2002
  • 1. 본 질병에 대한 다른 이름; 모낭충증, demodecosis. 2.원인체; Demodex canis. 3. 병리기전; 모낭충의 감염-농포(papule)-결절(nodule)-탈모-2차 세균감염. 4. 임상증상; 탈모, 소양증. 5. 병리조직 소견; 모낭의 확대, 표피세포의 각화항진, 모낭주위, 모낭내, 혈관 주위에 림프구 침윤, 소수의 대식구, 호산구침윤. 6. 진단; Scratching, 병리조직학적 검사. 7. 감별진단; 진균감염. 8. 치료 및 예방대책; Ivermectin. (중략)

  • PDF

GIS를 이용한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분석 (Analysis of Korean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using GIS)

  • 양소명;윤홍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275-27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 농가를 대상으로 HPAI 감염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와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인자는 크게 철새에 기인한 1차 감염과 사람에 기인한 2차 감염으로 나눈다. 전자는 철새 이동경로, 철새 도래지, 후자는 고속도로, HPAI 발생 농가 간 거리를 분석한다. 분석 시 거리는 500m(관리지역), 3km(보호지역), 10km(예찰지역)으로 설정하고, ArcGI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 PDF

녹비작물 재배지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 조사

  • 양승구;서윤원;황인택;김홍재;손보균;위치도;이정현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8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103-109
    • /
    • 2008
  • 고추 시설재배지에 녹비작물 재배가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보리와 호밀, 헤어리베치, 완두콩을 파종하여 1차 녹비작물 재배 후 토양에 환원하고 고추를 재배한 다음, 2차 녹비작물 재배하여 시설 토양내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AMF포자밀도는 녹비작물 재배지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기주작물별 AMF활성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그리고 쇠별꽃에 비하여 높았다. 녹비작물의 기주작물별 AMF포자의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녹비작물의 기주 작물별로 뿌리 내 AMF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보리녹비작물에서 감염율이 높았으며 녹비작물의 감염구조는 뿌리내부 균사임이 확인되었고 AMF 균사의 Network도 매우 발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