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월

검색결과 23,637건 처리시간 0.051초

1990년 뉴저지주의 광견병 유행에 관한 조사연구 (Rabies Surveillance i New Jersey in 1990)

  • 노병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115
    • /
    • 1992
  • 1989년 10월부터 뉴저지주에서 야생동물 광견병이 유행되기 시작하였다. 광견병이 의심되는 야생동물 및 가축을 광견병 항체항원 반응으로 검사하여 1990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유행 진행 상황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동물 광견병 유행이 1년에37mile 정도로 전파되었다. 2. 광견병으로 판명된 야생동물 중 Raccoon이 87%로 제일 많았고, Skunk가 6.4%였다. 3. 동물별 광견병 양성률은 Raccoon이 28.8%로 제일 높고 Skunk가 20.8%로 그 다음이었다. 4. 계절별 광견병 양성률은 1월에 11.4% 2월에 6.9% 9월에 21.0% 12월에 31.0%였다.

  • PDF

안전을 위한 기본 원칙

  • 박재학
    • 기계저널
    • /
    • 제44권9호
    • /
    • pp.67-73
    • /
    • 2004
  • 1994년 10월 21일 발생된 성수대교 붕괴사고, 그 해 12월 7일 서울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다음 해 4월 28일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고, 2개월 뒤인 6월 29일 발생하여 500명의 사망자를 낸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모두들 기억하고 있는 최근의 국내 사고 목록이다.(중략)

  • PDF

항공기로 측정한 서해안 및 수도권 상공의 가스상 물질(O$_3$, NOx, $H_2O$$_2$, SO$_2$) 분포 (Distributions of Gas-phase(O$_3$, NOx, $H_2O$$_2$, SO$_2$) Pollutants in Upper Layer of West Sea Coast and Seoul by Aircraft Measurement)

  • 김영미;한진석;공부주;홍유덕;이상욱;이미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03
  • O$_3$, $H_2O$$_2$, NOx, SO$_2$ 가 1996년부터 시작된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조사 연구 사업 중 하나로써 항공기로 관측되었다. 2002년도부터는 대기 내 산화제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과산화수소가 같이 측정되었다. 항공관측은 조사 연구 사업의 집중 관측 기간 동안인 2002년 3월, 4월, 2003년 4월, 2002년 12월에 이루어졌으며, 서해안(124$^{\circ}$ 10‘E)으로부터 한반도 내륙(127$^{\circ}$00'E)으로 다가가면서 대기오염물질 농도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를 정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2003년 5월 28일, 6월에는 수도권 상공만을 집중적으로 관측하였다. (중략)

  • PDF

고추냉이의 개화(開花) 특성(特性) 및 채종적기(採種適期)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Optimal Harvest Time in Wasabia japonica Mastum)

  • 이성우;박장환;김석동;최경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7-231
    • /
    • 1998
  • 고추냉이 품종, 달마종을 공시하고 수원지방의 비닐하우스에서 '96년 12월부터 '96년 6월까지 종자생산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개화결실특성(開花結實特性) 및 채종적기(採種適基)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달마종의 화경(花梗)은 $10.2{\pm}2.29$개로 12월 하순에서 3월 중순까지 추대되었는데, 1월 하순과 2월 상순에 가장 많이 추대(抽臺)되었으며 화경장(花梗長)은 $124.1{\pm}29.60cm$로 3월 중순에 가장 빠르게 신장되었다. 2. 개화시는 1월 27일, 개화기는 3월 21일, 개화말기는 6월 4일 이었고 개화기간은 $99{\pm}21.32$일이었다. 3. 3월 중순까지 개화된 꽃은 모두가 불임(不稔)되었으나 3월 하순에 개화된 꽃은 22.3%, 5월 중순에 개화한 것은 84.2%가 결실되어 평균 결실률은 $43.2{\pm}8.77%$를 보였다. 4. 종자성숙기간은 $37.5{\pm}2.60$일로 채종적기(採種適期)는 꼬투리가 약 13%정도 벌어지는 5월 하순 이었으며 $m^2$$79.0{\pm}19.94g%$(11,177개) 종자가 생산되었다.

  • PDF

제주에서 터널 피복시기가 아스파라거스의 수확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nnel Covering Date on Harvesting Time and Yield of Asparagus(Asparagus officinalis L.) in Jeju)

  • 성기철;김천환;이진수;김두섭;엄영철;강경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4-347
    • /
    • 2007
  • 난지권인 제주에서 아스파라거스 수확기 및 수량에 미치는 터널피복 시기를 구명코자 2년생 '그린타워' 품종을 이용 수행하였다. 무처리를 비롯하여 터널피복 시기는 2004년 1월 10일부터 15일 간격으로 2월 25일 까지 4회 실시하였다. 맹아일은 관행 3월 3일에 비하여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23주 빨랐다. 첫 수확일은 관행구(무처리) 3월 11일에 비하여 1월 10일 피복구에서 2월 19일로 3주, 1월 25일과 2월 10일 피복구에서는 2월 25일로 2주 정도의 수확기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주당수량은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피복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크게 적어졌다. 터널피복에 의한 2월 조기수확 효과는 1월 10일 및 1월 25일 피복구에서 각각 325, 333kg/10a로 크게 나타났으며 2월 10일 피복구 이후에서는 크게 감소되었다.

강화도 여차리 니질갯벌과 사질갯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Mei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Mud Flat and Sand Flat in Yeochari, Ganghwado)

  • 김동성;민원기;제종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55
    • /
    • 2004
  • 강화도 여차리 앞 니질 갯벌과 사질 갯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시기의 각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조성을 보면 모두 총 16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중형저서동물 중 선충류가 각 시기와 지역에 있어 가장 우점 하였고, 그외에 저서유공충류, 저서성 요각류, 갑각류의 유생, 섬모충류가 중요한 구성 분류군으로 출현하였다. 이상의 5개 분류군이 전체 중형저서동물 군집 서식밀도의 90% 이상을 나타냈다. 중형저서동물의 총 개체수는 8월의 사질갯벌 정점에서 가장 높은 $5.8{\times}10^6ind./m^2$의 서식밀도를 나타냈고, 가장 낮은 서식밀도는 5월의 사질 갯벌 정점에서 $4.0{\times}10^6ind./m^2$의 값을 보였다. 중형저서동물의 생물량은 5월에 니질 갯벌 정점에서 $1.5g/m^2$, 8월에 $2.3g/m^2$을, 사질갯벌에서 5월에 $1.7g/m^2$, 8월에 $2.6g/m^2$를 나타냈다. 5월의 니질갯벌 정점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가 퇴적물 표층 0-1cm에서 나타났으며 퇴적물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서식밀도는 급감하였다. 8월의 사질갯벌에서도 가장 높은 서식밀도는 표층 0-1cm에서 나타났지만 5월과 같은 표층부에서의 집중 서식과 같은 밀도 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선충류/저서성요각류 값은 5월의 사질갯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8월의 사질갯벌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 Yoo, Kwang-Il;Lee, Jin Hwa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1
    • /
    • 1979
  • 1976년 7월부터 1978년 5월까지 2년동안 매 기수월에 진해만의 6개 정점에서 식물성플랑크톤군집의 년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은 2.28$^{\circ}C$~25.48$^{\circ}C$, 염분도는 27.42 ~33.90 , pH는 8.0~8.5, 투명도는 0.5m~0.8m, 용존산소량은 2.23ml/l~12.32ml/l의 분포를 보였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출현종수는 30속, 79종, 2품종, 3변종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hyalina,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costatus, Nitzschia pungens, Nitzschia seriata였으며,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curvisetus, Coscinodiscus centralis var. pacifica, Ditylum brightwellii, Navicula distans, Nitzschia pungens, Pleurosigma elongatum, Thalassiorira hyalina, Thalassiothrix frauenfeldii등은 출현빈도에 있어서 이 지역의 대표종이었다. 출현종의 생태적 구분은 연안종이 67.86%로서 내만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존량의 계절적인 변화는 808~12,461,000 cell/l까지 심한 변화폭을 보이고 있으며, 1976년 7월, 11월, 1977년 5월, 9월, 1978년 5월에 $10^{6}$ cells/l대의 대발생이 있었다. 대발생때의 다양성지수는 1976년 7월에 0.5625~1.0345로 낮은 값을 보여 Skeletonema costatum에 의한 대발생이었으며, 11월의 3.0702~4.1019의 높은 값을 보인때는 18~33종의 다양한 출현종에 의한 것이었다.

  • PDF

수영만에 있어서의 규조류의 계절적인 양 및 조성변화 (SEASONAL CHANGES IN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DIATOMS IN THE SUYUNG BAY, PUSAN)

  • 최정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24
    • /
    • 1969
  • 1. 1966년 8월부터 1967년 7월까지 수영만에서 월 $1\~3$회 표층 채수 채집법으로 규조류의 계절적인 량 및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2. 표층수온은 8월에 최고 $25.5^{\circ}C$이며 1월에 최저 $10.9^{\circ}C$였다. 3. 표층 염분농도는 2,3월에 최고 $34.56\%_{\circ}$이며 9월에 최저 $31.42\%_{\circ}$였다. 4. 규조류의 계절적인 조성변화중 총 45속123종 검색되었다. 5. 이 조사에서 4월에 2,551,400/l 최고량과 12월에 20,400/l으로 최소량이 나타났다. 6. 이 조사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속은 Chaetoceres, Skeletonema 양속이며 그자 Asterionella, Eucampia, Leptocylindrus, Nitrschia 등이 있다.

  • PDF

3월 초순 사료가격 다시 인상해야

  • 조홍래
    • 월간양계
    • /
    • 제7권2호통권64호
    • /
    • pp.37-44
    • /
    • 1975
  • 사료협회 회원공장의 전체평균을 볼 때 155$\$$짜리 옥수수가 1월 4일이면 떨어지고 400 : 1의 적용을 받는 175$\$$짜리 옥수수는 2월 25일이면 떨어지기 때문에 2월 26일부터는 $\$$$174^{89}$의 485 : 1옥수수를 사용하게됨으로 1차 가격조정 14$\~$16$\%$ 인상후, 이 가격에 10$\%$+알파의 가격이 붙을 것이며 이와같은 가격은 7월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Hailwood-Horrobin 방정식을 이용한 한국의 야외 목재평형함수율 결정 (Determination of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Outdoor Woods by Using Hailwood-Horrobin Equation in Korea)

  • 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53-658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 및 계절 변화에 따른 목재의 평형함수율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73개 장소에서 30년(1981~2010) 동안 축적된 기상자료와 Hailwood-Horrobin 방정식을 이용하여 목재평형함수율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목재평형함수율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였다. 평년값(30년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된 목재평형함수율은 대구가 11.5로 가장 낮았으며 흑산도가 15.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 살펴보았을 때 여름(6월, 7월, 8월)이 15.3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을(9월, 10월, 11월) 13.7, 겨울(12월, 1월, 2월) 12.2, 봄(2월, 3월, 4월) 12.0의 순서로 평형함수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월별 목재평형함수율은 4월이 11.6으로 가장 낮았으며 7월이 16.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월별 평형함수율의 편차는 제주가 3.0으로 가장 작았으며 흑산도가 8.7로 가장 큰 값을 보여주었다. 목재의 평형함수율은 목재의 수축 및 팽윤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월별 평형함수율의 편차가 큰 지역에서는 평균평형함수율을 고려하여 목재의 건조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