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개의 선발배아 이식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linical Outcome of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Compared to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Performed at the Cleavage Stage (2개 대비 1개의 난할기 선발배아 이식에 따른 임상 결과)

  • Kang, Sang-Min;Lee, Sang-Won;Jeong, Hak-Jun;Chae, Soo-Jin;Yoon, San-Hyun;Lim, Jin-Ho;Lee, Seong-G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4
    • /
    • pp.349-359
    • /
    • 2010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 of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eSET) performed at the cleavage stage to that of elective double embryo transfer (eDET). Methods: Of the women less than 36 years old who visited Daegu Maria from January 2008 to April 2009, the only women (n=330) with more than 8 mm of endometrial thickness and at least one good quality embryo, who were treated with GnRH agonist long protoco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fter information about complications that can arise by multiple embryo transfer, either eSET or eDET was conducted by their request (167 and 163, respectively).Results: The implantation rate of eSE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DET group (53.9% vs. 40.2%, p<0.01). The twin pregnancy rate of eSE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DET group (1.1% vs. 32.3%, p<0.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clinical pregnancy (53.3% vs. 60.7%, p=0.172), ongoing pregnancy (47.3% vs. 54.6%, p=0.185) and live birth rates (44.9% vs. 50.9%, p=0.275). The number of the surplus embryos which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and cryopreserved at that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SET group than that of eDET group ($3.2{\pm}2.6$ vs. $2.1{\pm}2.4$,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SET should reduce significantly the multiple baby pregnancy without decreasing the whole pregnancy rate in women with less than 36 years old.

The Production of Chimeric Mice by Embryonic Stem Cell Carrying Human Luteinizing Hormone Gene (사람 LH 호르몬유전자를 도입한 배아주세포에 의한 카이미라 생쥐 생산)

  • ;Tokunaga, T.;Imai, H.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9 no.3
    • /
    • pp.243-247
    • /
    • 1994
  • 최근 의약적으로 유용한 단백질을 대량 생산키 위한 실현 가능한 방법이 유전자변환 가축의 이용과 관련되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유전자 변환동물은 이종의 단백질을 유즙속으로 분비시키는 생체반응기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목적을 위해 현재 유전자 변환동물의 생산을 위한 이용에 있어 여러 가지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ES 세포의 사용이 이러한 방법들 사이에서 가장 실질적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유전자 구축을 위해 사람 황체 호르몬(human luteinizing hormone; hLH)의 전사를 유도하기 위해 각각 2.2 및 0.5 kb의 토끼 $\beta$-casein pronoter 단편을 이용하여 생쥐의 유선에 hLH를 발현시키도록 조절하고 발현이 thynidine kinase(TK) pronoter에 의해 좌우되는 neo 유전자를 selectable marker로서 plasnid속에 삽입하였다. 그 결과 생긴 구축 유전자는 각각 pCas 2.2와 pCas 0.5로 명명하였다. 구축된 유전자로 2$\times$107의 TT-2 ES세포를 170V, 550$\mu$F로 100$\mu$g의 선상 plasmid에 의해 electroporation 시켰다. 감염된 colony들은 250$\mu$g/$m\ell$ G418을 함유하는 ESM 배양액에서 선별 7일 이후에 회수하여 성공적으로 감염된 ES세포는 PCR 및 Southern blot에 의해 확인되었고 그들 중 나머지는 trypsin 처리 후 각각 미세조작과 공배양 기술을 사용하여 ICR 생쥐의 8세포기 수정란 속에 도입하였다. 결국 24시간 동안 37$^{\circ}C$, 5% $CO_2$에서 배양된 배반포를 chimera의 생산을 위해 위임신 유기된 G418 선발처리 이후 400 및 275개의 ES 세포 colony가 생존하였으며, 3개의 ES 세포으 colony 의 genome 속에 임의적으로 plamid가 삽입된 것을 Southern blot에 의해 확인되었다. 총 13 chimera 생쥐가 3 colony로부터 생산되었으나 germ-line chimera는 현재 조사중이다. chimera 생산빈도는 공배양 기술보다 주입방법에서 현저히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