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해조류 첨가 가정간편식(HMR) 즉석밥의 소화율 및 항산화 활성 (Digesti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nstant Cooked Rice with Seaweed for Home Meal Replacement)

  • 최영진;최혜인;김수민;김현정;임상빈;오명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95-402
    • /
    • 2020
  • In recent years,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has expanded and the consumption of ready-to-heat (RTH) ric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is study, RTH rice products containing seaweed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grain: white rice, a mixture of white rice and barley, barley, and mixed grains. The control was a commercial RTH white rice without seaweed. The proximate components, total dietary fiber,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compared. The ash content of the RTH seaweed ri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total dietary fiber of the RTH seaweed rice was in the range of 1.03-6.57%, which directly impacted the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reducing power,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seaweed rice with barley and the white rice/barley mixtur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rice product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 vitro digesti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HMR RTH seaweed rice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addition, when the RTH seaweed rice was prepared with barley, the functional activity improved.

왕대의 첨가수준이 반추위 in vitro 발효성상과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al Level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in in vitro)

  • 조성욱;이신자;이예준;김현상;엄준식;최유영;배은지;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1-256
    • /
    • 2021
  • 이번 연구는 반추동물의 메탄 감소에 효과가 있는 천연 사료첨가제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왕대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3.54 mg CE/g 및 17.13 mg QE/g이였으며, DPPH 및 ABTS 유리기 소거 활성은 IC50 값이 각각 163.13 및 97.07 ㎍/mL으로 측정되었다. In vitro 시험은 왕대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발효 시간대별(6, 12, 24 및 48 hr) 실시하였다. pH는 발효시간동안 적정 범위였으며, 건물 소화율 및 미생물 성장량은 모든 발효 시간대별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P>0.05)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6 및 24시간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Linear effects, 6 hr, P=0.0004; 12 hr, P=0.0055)하였다.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48시간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Linear effects, P=0.022; P=0.0188). 또한 왕대의 첨가는 총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발효 48시간대 butyrate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Linear effects, P=0.0001)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왕대의 첨가는 in vitro 반추위 메탄을 저감할 수 있고 발효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반추동물 메탄저감 첨가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발효 함초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aturally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Juice)

  • 박선영;조정용;정동옥;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493-1500
    • /
    • 2011
  • 본 연구는 함초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하나로 자연발효된 함초발효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와 당을 혼합하여 2년 혹은 6년간 발효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키며 함초발효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함초발효액의 당 함량은 45%내외로 이는 당침출에 의한 제조 방법 때문이며, Na을 제외한 주요 무기질은 K, Mg 그리고 Ca으로, 그중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 proline, aspartic acid 그리고 lysine으로, 이들 일반성분들의 발효기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약 50 CAE mg/100 mL이고, DPPH와 ABTS$^+$ radical-scavenging 활성은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할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함초발효액은 ACE 및 ${\alpha}$-glucosidase에 대해서도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장기 발효된 함초발효액(LFGJ)에서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에 장기 발효된 함초발효액(LFGJ)을 4%의 고염식이군 실험쥐(SD rat)에 급여한 결과, 일반적인 특성은 대조군(4% 고염식이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함초발효액군(FGJ; 4% 고염식이+2% LFGJ)의 체중증가량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포도당 내성 실험 결과, 함초발효액군(FGJ)에서 포도당 내성이 더 개선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가자 추출물의 기능성 검정 (Functional Investigation of Ogaza Extract)

  • 정성근;이형주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83-18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자생하는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 열매(Ogaza)를 80% MeOH 추출하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써의 기능성을 규명하였다. 오가자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은 오가자 1 g 당 56.1${\pm}$5.2 mg의 gallic acid로 나타났다. 오가자 추출물 0.25, 0.5, 1, 2 mg/mL은 각각 vitamin C 34.0, 73.0, 194.3, 339.7 $\mu g$/mL에 해당하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오가자 추출물 1 과 2 mg/mL의 농도에서 LPS로 유도한 TNF-$\alpha$와 IL-6의 생성량을 각각 22${\pm}$2, 19${\pm}$6% 그리고 18${\pm}$2, 24${\pm}$3% 억제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COX-2 luciferase 활성이 오가자 추출물 (0.25, 0.5, 1, 2 mg/mL)에 의해 각각 80${\pm}$1, 83.${\pm}$7, 96${\pm}$4, 98${\pm}$2%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잎 이나 뿌리에 비해 연구 및 활용도가 낮았던 오가피 열매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효능을 규명함으로써, 오가자가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치자의 항산화 활성 및 활성성분의 분리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mponents of Gardenia jasminoides)

  • 양혜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57
    • /
    • 2011
  • 치자의 항산화 활성과 유지산화 지연효과를 측정하고 활성을 보인 분획에서 주성분인 geniposide와 crocin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분획 중 부탄올 분획과 물 분획의 항산화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고 그 분획의 주성분으로 분리된 geniposide와 crocin의 단일물질로서의 항산화력을 측정 비교한 결과, crocin의 항산화력이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OD 유사활성 시험에서 여러 분획의 활성이 총 메탄올 추출물보다도 낮음에 비하여 crocin 단일 물질은 양성 대조군 cholorogenic acid의 $EC_{50}$ 값 453 ppm에 비하여 절반정도 낮은 $EC_{50}$값 259 ppm으로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지 산화 지연효과도 치자의 총 메탄올 추출물 250 ppm 이상의 농도에서의 AI값은 BHA 1000 ppm에서의 AI값 1.66 보다 큰 1.81 이상임을 보여 유지 산화 지연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로 치자의 항산화 기능성 식품 및 첨가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고 사료된다.

우엉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wheat cookies supplemented with burdock powder)

  • 이준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53-1059
    • /
    • 2017
  • 우엉 분말(BP)은 여러 기능적 활성을 나타내고 있고, 쿠키와 같은 간편식품에 활용하면 소비진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우엉 분말의 첨가량을 0-8%로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쿠키반죽의 pH와 밀도는 BP의 첨가량에 현저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수분함량과 퍼짐성 지수는 BP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차이 없는 증가경향을 보였다(p>0.05). 쿠키표면의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 그리고 경도는 B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BP를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결과 2% 첨가군이 전체적 기호도를 포함한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관능품질과 건강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적 첨가비율은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홍차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supplemented with black tea powder)

  • 이준호;최지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8-193
    • /
    • 2016
  • 홍차 분말의 첨가량을 0~8%로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 케이크의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케이크의 pH와 높이는 홍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굽기 손실률의 경우 홍차 분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경도는 0~4% 시료 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한편 명도($L^*$)는 붉은색을 띄는 홍차 분말 고유색의 영향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적색도($a^*$)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황색도($b^*$)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4%, 6~8%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홍차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결과 2~4% 첨가군이 색과 부드러움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따라서 관능품질과 건강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적 첨가비율은 2~4%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마씨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ound Cakes Supplemented with Flaxseed Powder)

  • 정하숙;임정아;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59-1963
    • /
    • 2014
  •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을 0~8%로 달리하여 파운드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케이크의 굽기 손실률은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수분함량, 부피, 높이 및 경도는 아마씨 분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명도($L^*$)와 황색도($b^*$)는 황갈색인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적색도($a^*$)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으며(P<0.05), 두 지표 사이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평가항목에서 아마씨 분말 2%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으며,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드러운 정도는 선호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밖의 다른 항목은 선호도가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관능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아마씨 파운드케이크의 아마씨 분말 첨가 최적비율은 2%로 판단된다.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대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Seed Extract against UVB-irradiated Human Skin Fibroblasts)

  • 김옥경;남다은;이민재;강남길;임재연;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는 아직 기능성 입증이 미비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항산화 효능과 MMPs 및 collagen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광노화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녹차나무 씨 추출물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녹차나무 씨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을 증가시켰다. 25 $mJ/cm^2$ 자외선을 조사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농도별(10 ${\mu}g/mL$, 30 ${\mu}g/mL$, 50 ${\mu}g/mL$)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 활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감소한 활성을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처리가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처리는 MMP-1의 합성을 감소시키고 collagen의 합성을 증가시켰으며, MMP-1, MMP-3, MMP-9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type-1 collagen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지녔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한 활성산소종으로부터 보호하여 MMPs 발현을 감소시키고 collagen 분해를 억제시켜 피부 노화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기능성 입증으로 녹차나무의 활용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제주산 로즈마리와 라벤더(Rosmarinus officinalis L., Lavandula angustifolia Mill.)로부터 추출한 essential oil과 hydrosol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nd the Hydrosol Extracted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Lavandula angustifolia Mill. Produced in Jeju)

  • 전덕현;문정용;현호봉;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41-146
    • /
    • 2013
  • 제주도에서 생산된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Mill.) 두 종의 허브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 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에는 ${\alpha}$-pinene (40.96%)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라벤더 에센셜 오일에는 camphor (34.44%)가 가장 높았다. 로즈마리 하이드로졸에는 verbenone이 (45.31%)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라벤더 하이드로졸에서는 camphor (67.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로즈마리와 라벤더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의 항산화 효능을 검증해 본 결과, 두 종류의 에센셜 오일 모두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e^{2+}$ ion 킬레이팅 활성을 나타냈으나, alkyl 소거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이 라벤더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반면, $Fe^{2+}$ ion 킬레이팅 실험에서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이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더 우수했다. 로즈마리, 라벤더 하이드로졸 모두 alkyl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나, 라벤더 하이드로졸만이 $Fe^{2+}$ ion 소거능을 나타냈다. 특히 $H_2O_2$에 의해 유도된 Fibroblast와 HaCaT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하이드로졸이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세포사멸 억제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