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km 강우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patial Downscaling of Grid Precipita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Regression (SVM 회귀 모형을 활용한 격자 강우량 상세화 기법)

  • Moon, Heewon;Baik, Jongjin;Hwang, Sukhwan;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95-1105
    • /
    • 2014
  • A spatial downscaling method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Regression for 25 km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Monthly precipitation is propos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among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and precipitation was effectively depicted by the SVM for predicting downscaled grid precipitation. The accuracy of spatially downscaled precipitation was estimated by comparing with rain gauge data from sixty-four stations and found to be improved than the original TRMM data in overall. Especially the positive bias of the original TRMM data was effectively removed after the downscaling procedur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25 km and 1 km grid precipitation were generally similar, while the local spatial trend was better detected by 1 km grid precipitation. The downscaled grid data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in hydrological modelling for higher accuracy and further be studied for developing optimized downscaling method incorporation other regression methods.

Estimation of Soil Loss Changes and Sediment Transport Path Using GIS and Multi-Temporal RS data (GIS 및 다시기 RS 자료를 이용한 토양손질량 변화 및 이동경로 추정)

  • 권형중;박근애;김성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1
    • /
    • pp.139-15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emporal soil loss change according to long-term land cover changes using G1S and RS. Revised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 factors were prepared by using point rainfall data, DEM(Digital Elevation Model), soil map and land cover map. During the past two decades, land cover changes were traced by using Landsat MSS and TM data. As a result, forest area in 2000 has decreased 25.3 $km^2$ compared with that in 1990. Soil loss has decreased 3751.2 tou/yr. On the other hand, upland area has increased 22.5 $km^2$. Soil loss of upland has increased 5395.4 to/yr. Therefore, soil loss in 2000 increased 6.3 kg/$m^2$/yr compared with that in 1990. This was mainly caused by the increased upland area.

  • PD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during the Precipitation in Residential Area (강우 시 주거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 Kwon, Heongak;Im, Toehyo;Na, Seungmin;Lee, Chunsik;Cheon, Seu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391-401
    • /
    • 2015
  • In this study, divided into small category groups for the residential area it was carried out monitoring for the runoff during precipitation.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according to the nonpoint sources Housing leakag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rainfall runoff and concentration of each type of exclusive detached house with apartments, in the majority of precipitation types runoff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early. In the case of a difference of two points per runoff rate rainfall it was largely investigation. The average runoff is estimated loadings of BOD $101.1kg/km^2$, SS $232.2kg/km^2$, T-N $18.2kg/km^2$, T-P $2.0kg/km^2$ detached house case, if the apartment was estimated at point BOD $108.82kg/km^2$, SS $329.18kg/km^2$, T-N $57.67kg/km^2$, T-P $4.21kg/km^2$. The average EMCs is BOD BOD 6.6 mg/L, SS 12.8 mg/L, T-N 1.518 mg/L, T-P 0.099 mg/L detached house case, if the apartment was estimated at point BOD 6.3 mg/L, COD 11.2mg/L, SS 14.5 mg/L, T-N 3.1 mg/L, T-P 0.2 mg/L. The initial 30 percentage calculated based on the initial results, the total flow of 30% if the outflow of detached house showed a net percentage difference to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 The apartment area showed the percentage difference in the water quality in the order of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 per item.

Rainfall estimation and evaluation for a small-scale rainfall radar in Busan Eco-Delta Smart city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소형 강우레이더 강우추정 및 평가)

  • Wan Sik Yu;Kyoung Pil Kim;Shin Uk Kang;Seong Sim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7-277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도시지역의 호우는 돌발적이고 국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명과 재산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구조적으로 홍수에 취약한 실정이다. 국지성 도시호우는 저층(1 km 내외)에서 형성되는 강우가 지배적이며, 기존의 대형레이더는 높은 산 정상에 설치되어 1.5 km 이상의 강우관측을 중심으로 운영됨에 따라 저층강우의 탐지 및 변동성 관측에 취약하여, 이에 대형 레이더에서 뿐만 아니라 도시단위의 국지성 호우관측에 대응할 수 있는 소형 레이더 기반 고정밀 강우관측 마련 및 운영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K-water는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에 도시 물재해 플랫폼 구현의 일환으로 돌발강우사전 탐지 및 도시의 신속·정확한 강우 관측을 위하여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제공하는 이중편파X 밴드 소형 강우레이더를 설치하고, 효율적 운용을 위해 각 고도각에서의 빔 차폐율을 확인하고 이를 고려한 최적 관측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Z-Phi 방법을 이용한 반사도 감쇠 보정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강우 추정을 위해 하이브리드 고도면 합성 기법(HSR) 기법을 적용하고 검증하였다. 이후 소형 레이더의 정량적 추정강수를 이용하여 강우예측 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이류모델을 적용하고, 비슬산과 소형 합성 레이더 추정강수로 선행 10분에서 180분까지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지상강우관측 자료와의 정확도 비교 평가를 수행하고, 행정구역 및 표준유역의 예측 평균강우량을 생산하여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도시 물재해 통합관리 시스템과 연계운영을 위한 후속 과업을 수행중에 있다.

  • PDF

Application of Rainfall-Runoff Models and Provision of Radar Rainfall Data during Flood in Imjin River Basin (임진강 유역의 홍수기 강우-유출모형 적용 및 레이더강우 자료의 활용방안)

  • Kim Seong-joon;Park Roh-hyuk;Maeng Sung-jin
    • KCID journal
    • /
    • v.5 no.1
    • /
    • pp.47-6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torm runoff models of Imjin river basin(8,117.5$km^2$) for the provision of radar rainfall situation. Two lumped models, Storage Function Model(SFM) and HEC-1 model which are now in use broadly and prov

  • PDF

Optimal Rain Gauge Density and Sub-basin Size for SWAT Model Application (SWAT 모형의 적용을 위한 적정 강우계밀도의 추정)

  • Yoo, Chul-Sang;Kim, Kyoung-Jun;Kim, Nam-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5 s.154
    • /
    • pp.415-425
    • /
    • 2005
  • This study estimated the optimal rain gauge density and sub-basin size for the application of a daily rainfall-runoff analysis model calle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imulated rainfall data using a WGR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 (Waymire et al., 1984) were applied to SWAT for runoff estimation, and then the runoff error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various rain gauge density and sub-basin size. As results of the study, we could find that the optimal sub-basin size and the representative area of one rain gauge are similar to be about $80km^2$ for the Yong-Dam dam basin.

Uncertainty of Spacial Variation of Rainfall Measurement by Point Raingauge (지점 강수량계에 의한 강우 공간분포 측정의 불확실성)

  • Kim, Won;Kim, Jong Pil;Kim, Dong Gu;Lee, Cha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30
    • /
    • 2015
  • 유역에 내린 강우의 총량은 홍수나 갈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점 강우량에 의해 측정된 강우량을 이용하여 유역 총강우량으로 환산하는 과정에 많은 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량계를 통한 강우관측에서 언더캐치(undercatch)에 의한 계통오차는 일반적으로 5~16%, 우연오차는 약 5%가 발생된다고 보고하였으며, 점 우량계 자료를 내삽하여 공간자료로 변환할 경우 0.1km 규모에서 표준오차가 4~14%, 1km 규모에서는 33~45%, 10km 규모에서는 약 65% 정도 발생된다고 한다. 이러한 우량계 관측오차 및 강우자료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는 유역의 유출량 계산에 영향을 주어 홍수예보 정확도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유역 총강우량 산정 측면에서 지점강우량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도형 우량계를 이용하여 소규모 구역에서 관측되는 강우관측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우량계는 0.5mm 급 표준 전도형 우량계로 정밀도는 시간당 1~100mm 기준으로 ${\pm}1%$를 기록하여 기상검정규격인 ${\pm}3%$를 만족하고 있다. 이 우량계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내에 장애물이 없는 평지에 60m 간격으로 총 6대($2{\times}3$)를 설치하여 2014년 7월 11일부터 9월 2일까지 54일간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기간 동안 2대의 우량계가 수일동안 강우가 기록되지 않아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우량계 상호 간의 누적강우량(54일간)을 비교한 결과 2.5~25.5mm의 차이를 나타냈다. 강우강도별 강우량 합계를 비교한 결과 시간당 1mm 이상에서는 약 1%의 차이가 났으며, 시간당 15mm 이상에서는 7.4%의 차이를 나타내어 강도가 큰 강우사상에서 우량계 간의 관측오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우량계 상호 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우량계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누적시간이 길수록 상관계수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 우량계 자료를 내삽하거나 유역 또는 계산격자의 대푯값으로 사용하여 1시간 이하 단위로 유출모의를 할 경우 심각한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다 신뢰성 있는 홍수예보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점 중심의 강우 관측이 아닌 면적 우량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Application of Drought System using Multi-sensor Satellite Data (다중위성 강우 가뭄활용에 관한 연구)

  • Park, Kyung Won;Jang, Sang Min;Yoon, Sun Kwon;Shin, Yong Chul;Lee, Se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0-250
    • /
    • 2016
  • 인공위성을 이용한 강수관측은 전 지구적 규모에서 시공간적으로 균일한 강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가뭄에 중요한 하나의 변수로서 가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점차적으로 미계측지역 수문학적으로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 기반 강수관측자료는 지상관측 강우자료에 비해 시 공간해상도가 낮고, 관측 당시의 대기 상태, 관측기기, 시 공간적 대표성 문제 등에서 기인한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는 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위성을 핵심위성으로 한 다중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전지구적으로 30분 간격, 10 km 해상도의 GPM IMERG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를 생산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인공위성 추정 강수의 가뭄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GPM IMERG 위성 강우 자료(Early run, Late run, Final run)의 검증 및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자료들을 강수사례에 적용하여 10 km, 30분 해상도를 가지는 1.5km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레이더 및 지상 강우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 PDF

Evaluation of Rain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우량계의 밀도 및 공간분포 검토: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 Yoo, Chul-Sang;Kim, In-Bae;Ryoo, So-R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173-181
    • /
    • 2003
  •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raingauge network of Nam-Han River Basin by assuming that the rainfall field is homogeneous in space and its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is exponential.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of WMO.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am-Han River Basin is not the mountain area, nor the plain area of the WMO standard. However, the correlation length of the downstream part is longer than that of the upstream part, enough to differentiate the rainfall fields in both areas. (2) It seems that the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the raingauge network of Nam-Han River Basin should be decided to represent upper 50% of correlations derived, when the maximum intervals between neighboring gauges are estimated to be 18.2km for the upstream area and 21.1km for the downstream area. Simply evaluating the raingauge density, the Nam-Han River Basin has enough raingauges exceeding the WMO standard for the mountain area in the temperate region. (3) Evalu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gauges in the Nam-Han River Basin shows that its spatial distribution Is not in a proper level, especially when applying the WMO standard for the mountain area in the temperate region. However, when applying the new standard proposed in this study, only five to six more raingauges are required to be added.

Applicability of Sobaek Radar Rain for Flood Routing of Chungju Dam Watershed (충주댐 유역 홍수추적을 위한 소백산 레이더 강우자료의 적용성 검토)

  • Ahn, So-Ra;Park, Hye-Sun;Han, Myoung-Su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129-1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 for flood routing in Chungju Dam watershed($6,625.8km^2$)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The Sobaek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1 heavy rain and 3 typhoon(Khanun, Bolaven, and Sanba) events in 2012 were obtained from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The spatio-temporal patterns between the two data were similar showing the ratio of radar rain to ground rain with 0.97. The KIMSTORM was set to $500{\times}500m$ resolution and a total of 45,738 cells(198 rows${\times}$231 columns) for the watershed. For radar rain and 41 ground rains, the model was independently calibrated using discharge data at 3 streamflow gauging stations(YW1, YC, and CJD)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ME), and Volume Conservation Index(VCI). The $R^2$, ME, and VCI 0.80, 0.62 and 1.08 for radar rain and 0.83, 0.68 and 1.10 for ground rain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