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M7

검색결과 28,316건 처리시간 0.054초

DTM GENERATION OF RADARSAT AND SPOT SATELLITE IMAGERY USING GROUND CONTROL POINTS EXTRACTED FROM SAR IMAGE

  • PARK DOO-YOUL;KIM JIN-KWANG;LEE HO-NAM;WON JOONG-S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67-670
    • /
    • 2005
  • Ground control points(GCPs) can be extracted from SAR data given precise orbit for DTM generation using optic images and other SAR data. In this study, we extract GCPs from ERS SAR data and SRTM DEM.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GCPs in ERS SAR image, the geometry of optic image and other SAR data are able to be corrected and more precise DTM can be constructed from stereo optic images. Twenty GCPs were obtained from the ERS SAR data with precise Delft orbit information. After the correction was applied, the mean values of planimetric distance errors of the GCPs were 3.7m, 12.1 and -0.8m with standard deviations of 19.9m, 18.1, and 7.8m in geocentric X, Y, and Z coordinates, respectively. The geometries of SPOT stereo pair were corrected by 13 GCPs, and r.m.s. errors were 405m, 705m and 8.6m in northing, easting and height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geometries of RADARS AT stereo pair were corrected by 12 GCPs, and r.m.s. errors were 804m, 7.9m and 6.9m in northing, easting and height direction, respectively. DTMs, through a method of area based matching with pyramid images, were generated by SPOT stereo images and RADARS AT stereo images. Comparison between points of the obtained DTMs and points estimated from a national 1 :5,000 digital map was performed. For DTM by SPOT stereo images, the mean values of distance errors in northing, easting and height direction were respectively -7.6m, 9.6m and -3.1m with standard deviations of 9.1m, 12.0m and 9.1m. For DTM by RADARSAT stereo images, the mean values of distance errors in northing, easting and height direction were respectively -7.6m, 9.6m and -3.1m with standard deviations of 9.1m, 12.0m and 9.1m. These results met the accuracy of DTED level 2

  • PDF

규소 시용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발병억제 (Effects of soluble silicon on development powdery mildew(Sphaerotheca fuliginea) in cucumber plants)

  • 이중섭;임명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7-43
    • /
    • 2000
  • 본 시험은 오이 양액재배시 배양액내 규산칼륨($K_{2}SiO_{3}$) 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규산 칼륨($K_{2}SiO_{3}$, $25{\sim}27%$$SiO_{2}$ Kanto)을 0.85 mM(50 $mg{\cdot}L-^{-1}$), 1.7 mM(100 $mg{\cdot}L-^{-1}$) 및 3.4 mM(200 $mg{\cdot}L-^{-1}$)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고 1.7 mM, 8.5 mM, 17 mM 및 34 mM의 농도로 엽면살포하였다. 생육중기(정식 51일)에 규산 3.4 mM 배양액 처리구는 흰가루병 병반면적율이 2.3%로 0.95 mM 처리구의 38.3%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그러나 1.7 mM과 3.4 mM 처리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배양액내 규산의 농도를 0.05 mM에서 4.10 mM까지 증가시켰을 때 잎당 병반수, 병반면적 및 발아관 길이는 규산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규산을 처리한 잎에서의 분생포자 발아율은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저농도 처리구(1.40 mM 이하)에서는 $14.7%{\sim}20.3%$, 고농도처리구(1.85 mM 이상)에서는 $9.0%{\sim}12.4%$였다. 2% 물한천 배지에서의 농도시험에서는 발아율이 $1.1%{\sim}2.0%$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규산칼륨을 17 mM의 농도로 희석하여 엽면살포한 결과 무처리에 비하여 흰가루병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방제효과 지속기간은 병원균 접종후 4일까지였다.

  • PDF

Ni(II)-거대고리 리간드 착이온 ($NiL_m{^{2+}}$) 과 $CN^-$ 이온간의 반응성 (Chemical Reactivity between Ni(II)-Macrocycle Complex Ions ($NiL_m{^{2+}}$) and $CN^-$)

  • 박유철;변종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4-343
    • /
    • 1987
  • $NiL_m{^{2+}}$착이온 {$Ni(rac-1[14]7-diene)^{2+},\;Ni(meso-1[14]7-diene)^{2+},\;Ni(1[14]4-diene)^{2+},\;{\alpha}-Ni(rac-[14]-decane)^{2+},\;{\beta}-Ni(rac-[14]-decane)^{2+},\;and\;Ni(meso-[14]-decane)^{2+}$}과 $CN^-$이온 사이의 화학반응은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NiL_m{^{2+}}$착이온과 $CN^-$이온으로부터 1:1착이온, $[NiLm(CN)]^+$생성반응의 평형상수$(K_1)$는 3 ~ $25^{\circ}C$ 범위에서 결정되었다. $NiL_m{^{2+}}$착이온이 $Ni(rac-1[14]7-diene)^{2+},\;Ni(meso-1[14]7-diene)^{2+},\;Ni(1[14]4-diene)^{2+},\;{\alpha}-Ni(rac-[14]-decane)^{2+},\;{\beta}-Ni(rac-[14]-decane)^{2+}$, 그리고 $Ni(meso-[14]-decane)^{2+}$일때 평형상수($K_1$)은 $15^{\circ}C$에서 각각 4.7, 5.3, 6.2, 7.5, 9.4, 및 9.8이었다. $K_1$값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K_1$에 대한 온도영향으로 부터 열역학적 파라메터 $({\Delta}G^{\circ},\;{\Delta}H^{\circ},\;{\Delta}S^{\circ})$를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 $[NiLm(CN)]^+$ 생성반응은 모두 발열반응으로 나타났다. $NiL_m{^{2+}}$ 착이온과 $CN^-$이온은 반응하여 Ni(CN)_4{^{2-}}$이온과 거대고리 리간드 (Lm)가 생성된다. $[CN^-],\;[HCN],\;and\;[OH^-]$ 변화에 따라 $Ni(CN)_4{^{2-}}$이온의 생성속도는 0.5M $NaClO_4$, 온도 3∼$25^{\circ}C$ 범위에서 연구되었다. $[CN^-]$가 일정할 때 [HCN]가 증가하면 $k_{obs}/[CN^-]^2$값은 선형으로 증가하였다. $OH^-$ 이온이 과량으로 존재할 때 [$OH^-$]에 따라 역시 $k_{obs}/[CN^-]^2$ 값은 선형으로 증가하였다. $NiL_m{^{2+}}$ 착이온과 $CN^-$이온 반응의 속도상수($k_{obs}$)에 대한 온도영향으로 부터 활성화 파라메터$({\Delta}H^{\neq},\;{\Delta}S^{\neq})$를 결정하였다. $Ni(rac-1[14]7-diene)^{2+},\;Ni(meso-1[14]7-diene)^{2+},\;{\alpha}-Ni(rac-[14]-decane)^{2+},\;{\beta}-Ni(rac-[14]-decane)^{2+}$, 그리고 $Ni(meso-[14]-decane)^{2+}$ 순서로 d-d 전이에너지, $ν(cm^{-1})$가 감소할수록, ${\Delta}H^{\neq}$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5가지의 $NiL_m{^{2+}}$ 착이온과 $CN^-$이온 사이의 반응은 동일한 경로로 반응이 진행되었다.

  • PDF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를 위한 광섬유 칩 기반 All-fiber 7x1 펌프 광 결합기 제작 (Fabrication of All-fiber 7x1 Pump Combiner Based on a Fiber Chip for High Power Fiber Lasers)

  • 최인석;전민용;서홍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35-14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를 위한 광섬유 칩 기반 all-fiber $7{\times}1$ 펌프 광 결합기의 제작에 대하여 보고한다. 광섬유 칩은 코어, 클래딩 직경이 각각 20, $400{\mu}m$인 광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식각하여 제작하였다. 7개의 입력 광섬유 부분은 105, $125{\mu}m$의 코어, 클래딩 직경을 가진 7개의 입력 광섬유를 원통형 다발로 제작하여 광섬유 칩의 $375{\mu}m$부분에 융착하였고, 1개의 출력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직경이 각각 25, $250{\mu}m$ 광섬유를 광섬유 칩의 $250{\mu}m$부분에 융착하여 최종적으로 $7{\times}1$ 펌프광 결합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칩 기반 $7{\times}1$ 펌프 광 결합기의 포트별 평균 광 전달 효율은 약 90.2%로 나타났다.

혐기성소화 슬러지 비율에 따른 미생물전기분해전지의 식종 특성 (Startup of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Anaerobic Digested Sludge and Buffer solution)

  • 송근욱;백윤정;서휘진;장해남;정재우;이명은;안용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51-59
    • /
    • 2019
  • 실험실 규모 회분식 미생물전기분해전지 반응기 (유효부피 20 mL)를 이용하여 수소가스 생산 및 식종기간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6 cycle 동안 0.9 V를 인가하여 식종슬러지 혼합 비율 (혐기성소화 슬러지:50 mM PBS)에 따른 수소생산 및 식종기간을 분석한 결과 혼합비 1:1 반응기에서 9.8-20.9 mL 수소를 생산하였으며, 수소함량은 66.8-7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종기간에 있어서는 혼합비 1:1 반응기 기준으로 약 12일 정도부터는 수소생산 및 전류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합비 1:2, 1:3, 1:4 반응기의 경우 cycle (2-6 cycle)에 따라 수소가스 생산량이 3.7-7.1 mL, 농도 5.8-65.8%로 변화하였으며, 혼합비 1:5, 1:6, 1:7 반응기의 수소가스 생산량은 0.5-0.7 mL, 농도 1.8-7.1%로 나타나 최대 혼합비 1:4까지 식종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우스 난모세포에 사람정자 추출물의 주입이 단위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henogenesis of Mouse Oocyte following Intracytoplasmic Injection with Human Sperm Extract)

  • 전은숙;이종인;오종훈;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27
    • /
    • 1999
  • 본 연구는 사람정자 추출물을 마우스 난모세포의 세포질내에 주입하여 단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마우스 난모세포가 0, 1.7 그리고 5mM의 칼슘농도를 가지는 PBS 배지로 각각 10 pl 씩 주입되었을 때, 전핵을 형성하고 제2극체를 방출하는 난모세포의 활성율은 각각 14.5, 9.8 그리고 14.9%였다. 칼슘농도별 난모세포의 활성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마우스난모세포에 가열하지 않은 사람정자 추출물 10 pl을 주입후 0, 1.7 그리고 5mM의 칼슘농도를 가지는 PBS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였을 때, 1.7 mM 칼슘 농도에서의 난모세포 활성율(51.8%)은 0 과 5mM 칼슘 농도에서의 난모세포 활성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마우스 난모세포에 가열처리한 사랍정자 추출물 10 pl을 주입 후 0, 1.7 그리고 5mM의 칼슘농도를 가지는 PBS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였을 때, 칼슘 농도별 난모세포 활성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난모세포 활성율은 11.8∼17.0%의 범위에 있었다. 4. 마우스 난모세포에 가열하지 않은 사람 정자 추출물, 가열 처리한 사람 정자 추출물, 그리고 PBS 배지를 각각 l0 pl 씩 주입 후 1.7 mM 칼슘농도를 가지는 PBS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였을 때, 가열하지 않은 사람 정자 추출물을 주입한 난모세포의 활성율이 54.5% 로 제일 높았다. 처리별 난모세포의 활성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5. 마우스 난모세포에 가열하지 않은 l일령과 6일령 정자 추출물을 각각 l0 pl 씩 주입 후 1.7mM 칼슘농도를 가지는 PBS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였을 때, 1일령 정자 추출물을 주입한 난모세포의 활성율은 60.0%로 6일령 정자 추출물을 주입한 난모세포의 활성율 11.1%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열하지 않은 사람정자 추출물에는 oscillin 과 같은 난모세포 활성인자가 존재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여름철 공원 수림지 가장자리의 온열환경 기울기 변화 - 하동송림과 함양상림을 대상으로 - (The Gradient Variation of Thermal Environments on the Park Woodland Edge in Summer - A Study of Hadongsongrim and Hamyangsangrim -)

  • 류남형;이춘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3-85
    • /
    • 2015
  • 본 연구는 공원 수림지 경계로부터 내부로의 거리에 따른 수림지 가장자리의 온열환경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 여름 날씨를 나타낸 2015년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6일간 소도읍에 소재하고 있는 장령림인 하동송림의 소나무 순림(수령: $100{\pm}33$년, 울폐도: 75%, 수고: $12.8{\pm}2.7m$, 지하고: $9.8{\pm}2.7m$, N $35^{\circ}03^{\prime}34.7^{{\prime}{\prime}}$, E $127^{\circ}44^{\prime}43.3^{{\prime}{\prime}}$, 표고 7~10m) 남측 가장자리와 함양상림의 졸참나무-개서어나무 군락(수령: 졸참나무 58~123년, 개서어나무 102~125년, 울폐도: 96%, 수고: 교목층 $18.6{\pm}2.3m$, 아교목층 $5.9{\pm}3.2m$, 관목층 $0.5{\pm}0.5m$, 지하고는 교목층 $11.0{\pm}3.2m$, 아교목층 $3.1{\pm}1.7m$, 관목층 $0.2{\pm}0.3m$, 초본층의 피도 60%, N $35^{\circ}31^{\prime}28.1^{{\prime}{\prime}}$, E $127^{\circ}43^{\prime}09.8^{{\prime}{\prime}}$, 표고 170~180m) 동측 가장자리의 경계로부터 내부로의 거리별 기온, 상대습도, 풍속, MRT나 UTCI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선형 시그모이드 함수를 적용하여 수림지 가장자리가 가지는 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기온, 상대습도, 풍속, MRT, UTCI의 저감효과를 구명하였다. 깊이의 결과 값이 -를 나타내는 것은 수림지의 바깥을 의미한다. 1) 최고 기온, 최저 상대습도, 최고 기온시 풍속에 대한 수림지 가장자리 효과가 미치는 깊이는 상록침엽수림인 하동송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12.7{\pm}4.9m$, $15.8{\pm}9.8m$ 그리고 $23.8{\pm}26.2m$였으며, 낙엽활엽수림인 함양상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3.7{\pm}2.2m$, $4.9{\pm}4.4m$ 그리고 $2.6{\pm}7.8m$였다. 2) 이용자가 체감하는 더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체가 흡수한 온열환경에 근거한 최고 MRT와 최고 UTCI(체감더위지수)에 대한 수림지 가장자리 효과가 미치는 깊이는 하동송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7.1{\pm}1.7m$$4.3{\pm}4.6m$였으며, 함양상림의 경우는 수림지의 경계로부터 각각 $5.8{\pm}4.9m$$3.5{\pm}4.1m$였다. 3) 미기후 즉 온열환경 요소인 기온, 상대습도, 풍속 그리고 인체가 흡수한 온열환경에 근거한 주간(10:00~17:00) MRT와 UTCI에 대한 수림지 가장자리의 효과는 식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하층식생이 발달한 함양상림이 식생밀도가 낮고, 하층식생의 거의 없는 하동송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체감 더위지수인 UTCI의 10분 평균값이 최댓값을 나타낸 시점을 기준으로 하면, 수림지 경계로부터 내부로의 거리가 하동송림의 경우는 $4.3{\pm}4.6m$, 함양상림의 경우는 $3.5{\pm}4.1m$에서 온열환경 기울기의 변화가 비교적 완만해지므로, 수림지 계획시 이용객의 온열환경을 고려한 완충대의 적정 폭은 하동송림의 경우는 4.3~8.9m, 함양상림의 경우는 3.5~7.6m이다. 또한 온열환경에 대한 완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수림지 완충대 식생의 수직구조는 다층 구조의 수관과 닫힌 가장자리로 하여야 한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유채 M6~M7세대 변이계통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tant Lines through M6 to M7 Generation Induced by Radia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 김준수;은종선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101-108
    • /
    • 2013
  • To develop new varieties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the seeds of three varieties, 'Naehan', 'Tammi', and 'Halla' were irradiated with proton ion beams and gamma rays with 0 to 2,000 Gy. We had selected 9 lines in $M_5$ generation, and their usefu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progressing from $M_6$ to $M_7$ generation for checking uniformity and stability. The 9 lines selected in $M_5$ generation were mainta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and plant height through $M_6$ to $M_7$ generations. Especially, 2 lines of NP600-1-1-198-2-1 and NP1000-13-2-362-4-1 selected in $M_5$ generation derived from 'Naehan' had characteristics of early maturity and shorter stem than original variety, and they also were maintained characteristic of early maturity such as 10~11 days earlier flowering date and 6~9 days earlier maturing date through $M_6$ to $M_7$ generations. For stem length, they showed characteristics of shorter stem in 2 lines of NP600-1-1-198-2-1 line and NP1000-13-2-362-4-1 line about 16%, 25% shorter stem than original variety respectively through $M_6$ to $M_7$ generations. Furthermore, some characteristics of 2 lines compared to the original variety were similar or higher in weight of 1,000 seeds,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number of siliqua per panicle, number of seeds per silique, oil contents, and oleic acid contents. The line with large and plump flowers selected in $M_5$ generation also showed large and dark yellow flowers through $M_6$ to $M_7$ generations. The lines with High oleic acid and low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selected in $M_5$ generation were maintained characteristics through $M_6$ to $M_7$ generation and these useful characteristics were expected for developing a new variety for bio diesel uses.

ONE 모형에 의한 2020.8.7.~8.8. 호우의 댐 유입량 모의 (Simulating flood inflow to multipurposed dam on 2020.8.7.~8.8 storm with ONE model)

  • 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0-120
    • /
    • 2021
  • 2020년 8월 7일부터 8월 8일까지 호우는 용담댐, 섬진강댐, 합천댐 하류 유역의 막대한 침수피해를 일으켰다. 이들 다목적 댐 유입량의 신뢰도 높은 모의는 홍수기 댐 운영 및 하류하천의 홍수 해석에 필수다. 여기서는 일 유출 모의 기반으로 개발된 ONE 모형을 10분 단위, 1시간 단위로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보통 홍수모의는 사상별로 실시하지만, 여기서는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연속으로 모의한 결과에서 해당 홍수사상 결과를 제시하였다. 3개 다목적 댐의 홍수사상은 8월6일부터 8월 10일까지 5일간으로 설정하였다. 유역면적은 용담댐, 섬진강댐, 합천댐, 각각 930km2, 763km2, 925km2, 총강우량은 각각 490.7mm, 451.9mm, 452.4mm, 첨두유입량은 10분 단위는 각각 4,872.7m3/s, 3,533.7.0m3/s, 2,776.0m3/s, 1시간 단위는 각각 4,394.9m3/s, 3,401.8m3/s, 2,745.6m3/s, 총유입량은 각각 3억8,836만m3, 3억1,324만m3, 3억2,816만m3였다. 첨두유입량 상대오차가 0일 때의 매개변수로 모의한 결과를 제시하며, 총유입량 상대오차(Vq), R2, RMSE, NSE 등으로 평가하였다. 용담댐 결과는 10분 단위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7.3mm, 첨두유입량 4,872.4m3/s, 총유입량 3억 8,138만m3, Vq 1.9%, R2 0.968, RMSE 207.347, NSE 0.978였고, 1시간의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29.6mm, 첨두유입량 4394.9m3/s, 총유입량 4억157만m3, Vq -8.4%, R2 0.970, RMSE 186.962, NSE 0.982였다. 섬진강댐 결과는 10분 단위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9.2mm, 첨두유입량 3,533.3m3/s, 총유입량 2억7,223만m3, Vq 18.4%, R2 0.885, RMSE 808.296, NSE 0.925였고, 1시간의 경우 최대 면적강우량 37.9mm, 첨두유입량 3401.6m3/s, 총유입량 2억7,029만m3, Vq 13.7%, R2 0.907, RMSE 285.544, NSE 0.936였다. 합천댐 결과는 10분 단위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5.5mm, 첨두유입량 2,776.2m3/s, 총유입량 3억3,667만m3, Vq -2.7%, R2 0.941, RMSE 191.896, NSE 0.965였고, 1시간의 경우 최대면적강우량 17.0mm, 첨두유입량 2,746.7m3/s, 총유입량 3억1,333만m3, Vq 4.5%, R2 0.965, RMSE 140.739, NSE 0.981였다. 이상 ONE 모형으로 10분, 1시간 단위의 댐 홍수 유입량 모의결과는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 PDF

니코틴이MG63 조골세포주의 오스테오칼신과오스테오프로 테제린의 생성 및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cotine on the formation of osteocalcin and osteoprotegerin and synthesis of its mRNA in MG63 osteoblast-like cell)

  • 양준호;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4-525
    • /
    • 2004
  • 흡연이 골형성 세포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연구가 주로 역학조사에 기초하여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흠연과 골형성 세포의 상관관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인간 골육종 세포인 MG63 조골제포주를 이용하였으며, 니코틴이 조골세포의 증식,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 오스테오칼신곽 오스테오프로테제린의 생성 그리고 mRNA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MG63조골세포를 니코틴 농도가 각각 $1.0{\mu}M$,\;1.0mM, 2.5mM, 5.0mM, 7.5mM, 그리고 10.0mM,이 함유된 배지에서 1일, 2일, 3일 그리고 6일 동안 배양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G63 조골세포의 증식이 저농도의 니코틴에서는 일시적으로 활성화되었지만 5.0m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은 니코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오스테오칼신 생성양은, 배양 1일 후, 5.0mM 이하의 농도에서 증가하였으나 7.5m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MG63 조골세포를 3일 배양한 경우, 오스테오칼신 생성양은 1.0mM의 저농도에서도 감소하였다 니코틴이 오스테오칼신 단백질 생성과 오스테오칼신 mRNA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1일과 3일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오스테오프로테제린의 생성양은 모든 실험군에서 니코틴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하지만 mRNA 수치는 단백질 생성과 상반되게 7.5mM (3일), 5.0mM (6일) 이상의 고농도에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