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L-5

검색결과 30,413건 처리시간 0.059초

Efficiency of a hybrid solid digestion-denitrification column in suspended solid and nitrate removal from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Pungrasmi, Wiboonluk;Chaisri, Ratchadaporn;Malaphol, Ekachai;Powtongsook, Sorawit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75-180
    • /
    • 2015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olid and nitrate removal efficiency in a solid digestion-denitrification column. The 20 L up-flow column consisted of 18 L acrylic column with 2 L down-comer inlet tube located in the middle. In the first part, the wastewater with high suspended solids from the Tilapia fish tank was applied into the sedimentation unit at 5 variable flow rates i.e., 11.25, 25.71, 60, 105.88 and 360 L/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low rate of 11.25 L/h (0.57 m/h) gave the highest solid removal efficiency of $72.72%{\pm}8.24%$. However, the total suspended solids removal was highest at 360 L/h (18.13 m/h). In the second part, methanol was added as an external organic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process in a hybrid column containing settled solids. The COD:N ratios of 0.5:1, 1:1, 2:1, 3:1, 4:1, 5:1 and 6:1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control without methanol addition. This experiment was operated at the HRT of 1 h with 450 L wastewater from recirculating aquaculture pond containing 100 mg-N/L sodium nitra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D:N ratio of 3:1 gave the highest nitrate removal efficiency of $33.32%{\pm}21.18%$ with the denitrification rate of 5,102.88 mg-N/day.

급배수시스템에서 잔류염소 농도 균등화를 위한 재염소 처리 (Rechlorination for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equalization in distribution system)

  • 김진근;한지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101
    • /
    • 2014
  • Three water treatment plants(WTPs) in Jeju island whose source water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he mainland of Korea were investigated. Coefficients of bulk water decay($k_b$) of free chlorine at $5^{\circ}C$ for ES, GJ, NW WTPs were $-0.003hr^{-1}$, $-0.002hr^{-1}$ and $-0.001hr^{-1}$ respectively based on bottle tests. To simulate the free chlorine variations in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EPANET, ES WTP was chosen. Free chlorine concentrations of several sites were less than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i.e., 0.1 mg/L); E5(0.03 mg/L), E6(0.02 mg/L), W21(0.02 mg/L) and W25(0.03 mg/L). To maintain more than 0.1 mg/L of free chlorine in the distribution system, at least 1.9 mg/L of chlorine was needed at the WTP, which suggested rechlorination was needed to supply palatable tap water to customers. Two sites, one that diverged into E5 and E6 in the east-line and another located before E21 in the west-line were selected for the appropriate rechlorination locations. The recommended rechlorination dosages were 0.42 mg/L for the east and 0.27 mg/L for the west. The simul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free chlorine could be reduced to 0.4 mg/L at the WTP with rechlorination, and taps with excessive free chlorine could be more stabilized(i.e., 0.1~0.4 mg/L).

국내 정수장의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infection By-Products Formation in Korea)

  • 김진근;정상기;신창수;조혁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1-311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formation at 28 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vestigated species of DBPs were trihalomethanes (THMs), haloacetic acids (HAAs) and chloral hydrate (CH).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THMs was $84.1{\mu}g/L$, minimum and the averages were $6.9{\mu}g/L$ and $27.8{\mu}g/L$, respectively;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HAA_5$ was $90.8{\mu}g/L$, minimum and the averages were $3.8{\mu}g/L$ and $26.7{\mu}g/L$, respectively; while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CH was $29.5{\mu}g/L$, minimum and the averages were $0.5{\mu}g/L$ and $7.4{\mu}g/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DBPs levels during summer months,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near $25^{\circ}C$, were nearly twice as great as DBPs levels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ratio of $THMs/HAA_5$ was 1.07, and $HAA_5$ and THMs were the dominant species of DBPS in the Kum-Sumjin river and Nakdong river, respectivley.

사천만의 해수 및 표층 퇴적물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of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s in Sacheon Bay)

  • 박준용;김영인;배기성;오광수;최종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7-15
    • /
    • 2010
  • 이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9월까지 총 4회(1월, 4월, 7월 9월) 사천만에서 해수와 표층퇴적물의 세균학적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기간 중에 수온은 $5.3{\sim}24.9^{\circ}C$(평균 $17.7{\pm}0.4^{\circ}C$), 투명도는 1.4~2.5m(평균 $1.8{\pm}0.5m$), 부유물질 농도는 16.2~35.8mg/L(평균 $24.2{\pm}2.2mg/L$), 화학적산소요구량 (COD)는 $1.42{\sim}3.29mgO_2/L$(평균 $2.06{\pm}0.55mgO_2/L$), 용존산소(DO)는 6.7~9.5mg/L(평균 $7.9{\pm}0.6mg/L$)로 각각 조사되었다. 대장균군과 분변계대장균의 검출 범위는 <1.8~7,900 MPN/100mL (GM 214.7 MPN/100mL)과 <1.8~330 MPN/ 100mL (GM 9.7 MPN/100mL)로 각각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시료의 75.0%, 분변계대장균은 57.1%가 각각 양성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에 대한 분변계대장균의 양성율은 76.2%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에 사천만에서의 표층퇴적물의 수분함량, 강열감량, COD 및 AVS의 평균값은 $53.28{\pm}2.58%$, $9.38{\pm}0.42%$, $14.23{\pm}3.36mgO_2/g$, $0.09{\pm}0.07mgS/g$로 각각 조사되었다.

Effects of Waterborne Iron on Serum Iron Concentration and Iron Binding Capac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Jee Jung-Hoon;Kim Seong-Gil;Kang Ju-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23-28
    • /
    • 2004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as exposed to waterborne iron (0.1, 0.5, 1, 5 and 10 mg/L) for 50 days. The effects of iron on blood iron status and iron binding capacity were studied. The serum iro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group exposed to iron (1, 5 and 10 mg/L)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after 30 days of exposure to iron. A significant decrease in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was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group exposed to iron (5 and 10 mg/L, respectively) at 40 and 50 days, respectively. The total iron binding capacity of serum in the fish exposed to iron concentrations (5 and 10 mg/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at 40 days after iron exposure. Serum iron saturation values increased in the flounder exposed to iron concentration (5 and 10 mg/L) at 50 days. Our data suggest that sub-lethal exposure of waterborne iron alters the blood iron concentration and iron binding capacity, and these parameters seems to be valuable factors for screening and diagnosis of iron overload syndromes in fish.

티크의 기내 줄기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in teak (Tectona grandis L.))

  • 이나념;김지아;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9
  • 본 연구는 티크의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ight-emitting diode (LED)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티크의 정아 절편체의 줄기 신장은 LED 혼합광(BR, 50% 청색광 + 50% 적색광) 하에서 DKW 배지 배양 시 3.2 cm로 가장 좋았고, 줄기유도는 광원 및 배지(MS 및 DKW)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A 농도 처리 시 최대 줄기 유도는 BR 광원 및 1.0 mg/L 처리구에서 2.4개, 최대 줄기 신장은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4.94 cm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영향하는 IBA 농도 효과는 정아 절편체를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배양 시 최대 발근율(93.8%)과 최대 뿌리 길이 신장(1.3 cm)을 보였고, 뿌리 수는 0.2 mg/L (3.1개/절편)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근 식물체는 상토로 이식 후 순화 과정을 거쳐 정상적은 생장을 보였다.

양돈분뇨 퇴비화공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액의 화학적처리 (Chemical Treatment of Leachate from Swine Manure Composting System)

  • 정태영;오인환;김동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5-152
    • /
    • 2002
  • Slurry type 고농도 양돈분뇨의 퇴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응집침전 방법으로 처리시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퇴비화가 주목적인 완전혼합식 진천시 소재 A양돈장 퇴비단침출수와 정화처리를 위해 침출수 배출이 주목적인 이천시 소재 B양돈장 퇴비단 침출수의 응집침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양돈장 퇴비단 침출수의 응집실험 결과, 적정 농도는 Alum 750mg/l, 양이온 폴리머는 62.5mg/l이었으며 $BOD_5$, T-N, T-P의 농도는 각각 19, 257.5, 0.4mg/l로 축산 폐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처리 효율을 보였다. 2. B양돈장 퇴비단 침출수의 응집실험 결과, 적정 농도는 $FeCl_3$, 1,500mg/l와 FO4240 l0mg/l이었으며 $BOD_5$, T-N, T-P의 농도는 각각 15.3, 829.4, 2.8mg/l로 축산폐수처리 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에는 T-N 농도가 높아 부적합하였다. 이는 침출수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개별 축산농가의 퇴비단 침출수 처리를 위해서는 침출수 내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낮을 경우 응집 침전에 의한 처리만으로도 방류수 수질기준에 도달할 수 있으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후단에 생물학적 처리 시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염화철처리 활성탄에 의한 합성지하수 중의 질산성 질소 제거

  • 정경훈;정오진;최형일;김우항;박상일;강민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24-3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염화철로 표면 처리한 염화철처리 활성탄을 사용하여 지하수중의 ${NO_3}^{-}$-/-N 제거 가능성과 그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제된 염화철 코팅 활성탄의 표면을 SEM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활성탄의 표면에 염화철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통수유속이 0.5~4 BV $hr^{-1}$/로 낮을 경우는 질산성 질소 파과시점이 비슷하였으며, 통수유속이 커질수록 활성탄의 비표면적에 접하는 시간이 짧아져서 파과시점이 짧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3) 연속컬럼 실험(3.1 L)에서 통수량 약 82 L까지는 ${NO_3}^{-}$/-N의 파과시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재생액의 농도가 0.5 M-KCl에서는 약 9 L, 1 M-KCl에서는 약 7 L의 재생액이 사용되었고, 재생 후 각각의 파과시점은 약 53 L, 59 L로 유지되었다. 1 M-KCl의 재생액을 사용하여 재생하였을 경우 두번째 재사용과 재생부터 총 질산성 질소 제거량은 약 1,531~l,357 mg/kg, 탈착량은 약 1,526~1,306 mg/kg으로 일정하였다.

  • PDF

수직 배열된 평판에서 혼합대류 열전달 (Mixed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Vertical In-Line Plates)

  • 김상영;이재신;권순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3-130
    • /
    • 1991
  • The mixed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vertical inline plates has been studied numerically by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experimentally with Mach-Zehnder interferometer. The dimensionless spacing, $s/L_1$, the relative length, $L_2/L_1$ and the dimensionless temperature ratio, ${\Phi}_2/{\Phi}_1$ are varied parametically. The lower plate mean Nusselt numbers show same values as $s/L_1$, ${\Phi}_2/{\Phi}_1$ and $L_2/L_1$ increase. The upper plate mean Nusselt numbers increase as $s/L_1$ and ${\Phi}_2/{\Phi}_1$ increase, but $L_2/L_1$ decreases. The upper plate mean Nusselt number is higher than the lower plate mean Nusselt for $s/L_1$ 1.8 at Re=100, $Gr=10^4$, Pr=0.71, $L_2/L_1=0.5$ and ${\Phi}_2/{\Phi}_1=1.0$.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show good agreement.

  • PDF

초석잠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tachys sieboldii Extract)

  • 이정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0-432
    • /
    • 2021
  • 순창군에서 재배한 초석잠을 건강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초석잠 물 추출물과 6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균, 항염, 소화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IC50)은 SAW는 5.26 ± 0.05 mg/mL, SAE는 4.34 ± 0.04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IC50)은 SAW는 6.44 ± 0.06 mg/mL, SAE는 5.05 ± 0.06 mg/mL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SAW는 106.25 ± 0.94 mgGAE/g, SAE는 124.61 ± 1.11 mgGAE/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AW는 24.4 ± 0.24 mgQE/g, SAE는 45.2 ± 3.52 mgQE/g으로 분석되었다. CAA assay를 활용한 HepG2 세포내 항산화 활성은 400 ㎍/mL의 농도에서 SAW는 53.2 ± 1.8%, SAE는 54.1 ± 0.4%로 감소되었다. SAW의 MIC는 L. monocytogenes은 100 mg/mL, S. typhimurium와 H. pylori은 125 mg/mL로 측정되었으며, MBC는 L. monocytogenes와 S. typhimurium은 325 mg/mL, H. pylori은 400 mg/mL로 측정되었다. RAW 264.7 세포에서 각 추출물 모두100 ㎍/mL 이하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추출물 100 ㎍/mL 농도에서 SAW는 44.3 ± 1.4%, SAE는 45.1 ± 1.0%로 NO 생성을 저하시켰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𝛼, IL-1𝛽 및 IL-6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Caco-2 세포에서 SAW와 SAE 추출물 모두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시켰다. 𝛼-Amylase와 protease 효소활성은 초석잠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소의 활성도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