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91

검색결과 18,348건 처리시간 0.041초

단풍고리장님노린재속(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 한국미기록종 3종에 대한 보고 (Three Species of the Genus Neolygus Knight (Hemiptera, Miridae) New to Korea)

  • 조영재;권용정;서상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5-19
    • /
    • 2011
  • 단풍고리장님노린재속 N. hakusanensis (Yasunaga, 1991), N. roseus (Yasunaga, 1991)와 N. zhugei (Yasunaga, 1991) 3종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하고, 각 종의 종 동정에 필요한 사진자료와 웅성생식기 그림 및 간략한 형태정보를 기술하였다.

Approaches to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ies of Transgenic Animals

  • Tojo, Hideaki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3-346
    • /
    • 2000
  • Transgenic animals are very useful for scientific, pharmaceutical, and agricultural purposes. In livestock, transgenic technology has been used forth genetic alteration of farm animals, the production of human proteins inlarge quantities in the milk of transgenic farm animals (Clark et al., 1989; Ebert et al., 1991; Kimpenfort et al., 1991; Wall et al., 1991; Kimpenfort et al., Well et al,m 1991; Hill et al., 1992; Velander et al., 1994; Chen et al.), and the generation of animals with organs suitable for xenotransplantation (Pinkert, 1994; Chen et al., 1999). (omitted)

  • PDF

JKACG의 제1권(1991)부터 제5권(1995)까지 발표된 논문의 검토 : (I) Bulk 단결정성장 연구를 중심으로 (Review on the papers presented in the JKACG (1991-1995) : (I) On the bulk crystal growth)

  • 오근호;심광보;임창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7-120
    • /
    • 1996
  •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결정성장학회지에 발표된 연구 내용을 토대로 국내 Bulk 단결정연구현황을 단결정성장법과 연구팀별로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

경상북도 주민의 암사망 추이 (Trends of Cancer Mortality in Gyeongsangbuk - do from 1991 to 1998)

  • 김병국;이성국;김태웅;이도영;이경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59-78
    • /
    • 2001
  • 경상북도 지역의 암사망 신고자료의 정확성을 제고하고, 질 높은 지역보건사업계획의 수립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기존의 사망신고체계에 보건소망을 추가로 이용하여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의 암사망 신고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경상북도의 전체 사망자중에서 암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1년에는 16.7%에서 1998년에는 19.3%로 증가되었는데, 남자는 1991년 19.4%에서 1998년에는 22.3%로 증가하였고, 여자는 1991년 12.4%에서 1998년에는 15.5%로 여자에서의 비율의 증가가 컸다. 암 종류별 사망자는 전체적으로는 1991년에는 위암(41.5%), 간암(28.8%), 폐와 기관지암(8.7%)순이었고, 1998년에는 위암(24.7%), 간암(22.7%), 폐와 기관지암(19.3%)순으로 순위는 같았으나 사망비율의 차이는 있었다. 남자는 1991년에는 위암(40.2%), 간암(33.7%), 폐와 기관지암(10.2%) 순이었으나, 1998년에는 간암이 25.0%, 위암과 폐 기관지암이 공히 22.8%를 차지하여 순위의 변동이 있었다. 여자는 1991년에는 위암(44.7%), 간암(16.7%), 폐와 기관지암(5.0%)순이었고, 1998년에는 위암(27.8%), 간암(18.5%), 폐 기관지암(12.7%)순이었으며, 위암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폐 기관지암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암 종류별로 보면 위암, 간암, 후두암에 의한 사망은 감소하였고, 폐 기관지암, 식도암, 췌장암, 직장암에 의한 사망은 증가하였다. 여자의 경우는 유방암에 의한 사망은 증가하였고, 자궁암은 감소하는 추세였다. 1995년도 인구를 기준으로 연도별 연령보정 표준화 사망률을 산출하였는데, 전체적으로는 1991년에는 84.25명이었으며, 1998년에는 77.67으로 감소하였다. 남자는 1991년에 119.81명에서 101.82명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여자는 1991년 48.64명에서 1998년 53.80명으로 증가하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 미만에서는 위암, 간암, 폐 기관지암, 자궁암, 식도암은 감소하고, 췌장암, 직장암과 유방암은 증가하였다. 40대 이상에서는 위암, 간암, 자궁암, 후두암은 감소하였고, 폐 기관지암, 식도암, 백혈병, 췌장암, 직장암, 유방암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상의 결과 경북지역에서는 전반적으로 폐 기관지암, 직장암, 식도암, 췌장암, 유방암 등에 의한 사망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를 고려한 지역암보건사업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전국적으로도 국가암등록사업과 사망자료의 연계를 통한 정확한 사망통계를 근거로한 국가암보건계획의 수립과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공공보건기관에서 정확한 암 사망통계의 산출을 위한 추진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주지역 30세 이상 남성의 식품과 영양소 섭취 형태 변화 (1991-1997) (Change on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Patterns of Men over Thirty Years Old in Jeon-ju Area(1991-1997))

  • 김인숙;유현희;서은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82-393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hanges on the flood and nutrient intake patterns of men over thirty years old in Jeon-Ju area.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in 1991 to January in 1992, tile second one from January to February in 1994 and the third one from July to August in 1997. The nutrition survey using 24-hour recall method was executed to 303 subjects : 89, 82, 132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Kimchi, rice, garlic and on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eaten food items. Total daily intakes of foods were 85 : 15, 81 : 19 and 81 : 19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s of foods per person were 15.7, 20.1 and 21.9 daily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and tends to increase significantly(p<0.05). The minimum numbers of foods per person were 4, 7 and 9 and the maximum numbers of foods per person were 27, 35 and 39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KDDS(Korean\`s Dietary Diversity Score) is determined by how many among the five food groups (cereals, vegetables, meats, milks, oils groups)were consumed per day. Most subjects earned the KDDS "3" ; 61, 46 and 42%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Average daily energy intakes wee 1,62㎉(72% of RDA), 2,063㎉(89% of RDA) and 1,818㎉ (79% of RDA)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Energy intake rates of cereals : total energy intake were 65, 59, and 60%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which were decreasing. Protein intakes were 58g(72% of RDA), 79g(107% of RDA) and 71g(97% of RDA), respectively and animal protein comprised 46, 53, and 59%, respectively ; which were increased. Fat intakes were 12g, 20g and 20g, respectively and animal protein comprised 38, 46, and 48% ; which were increased. Fat intakes were 12g, 20g and 20g, respectively, of which animal fat comprised 46, 53, and 59%, respectively ; which were increased, too. Malnourished (under 75% of RDA) rates were respectively 64, 34, and 47% in terms of energy ; 64, 31 and 33% in protein ; 67, 51, and 61% in calcium ; 53, 26, and 18% in iron ; 85, 74 and 84% in Vitamin A. Super-nourished(above 125% of RDA) rates were respectively 1, 13, and 3% in energy ; 1, 29, and 21% in protein ; 5, 18, and 7% in calcium ; 16, 31, and 7% in iron ; 16, 31, and 7% in Vitamin A, 42, 76, and 62% in Vitamin C. The percentages of calories from protein : fat : carbohydrate were 14 : 12 : 74, 15 : 16 : 69 and 16 : 17 : 67 in 1991, 1994 and 1997, respectively. KDDS(number of five food groups per day), Meal Balance(number of five food groups per meal), DVS(average numbers of foods per person), amount of food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ll the nutrient intakes(p<0.05). KD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protein, fat, calcium,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p<0.05)in(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