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90′s

검색결과 6,055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신세대 여성의 패션 특성에 관한 고찰 - 1990년부터 1995년까지 라이프스타일과 의복행동을 중심으로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Women′s Fashion of the New-Aged Korean - with a Life Style and a Clothing Behavior from 1990 to 1995 -)

  • 박유리;유수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1호
    • /
    • pp.14-24
    • /
    • 1998
  • This treatise, distinguishing the Korean in modern times who abruptly came to appear as newly-flowing group in the 1990 into 10, 20 and 30s respectively and giving new appellations like New kids for teenages, X-generation for 20s, Missy for 30s, is for search of their clothing phenomena. In this research, I have investigated several major factors which caused rapid developments and changes in cloths and present situation of various causes influenced by clothing phenomena, value in their life, tendencies, life style of these ranging from teenages, so-called New kids, to X-generation, forming wide scopes of clothes and to 30s, so-called Missy appearing with instigating another dimension of sensational turning-point in the field of fashion in Korea.

  • PDF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사 분야의 연구경향 (Research Trends concerning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신상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46-15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concerning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foun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LA). To do this, I reviewed the 905 articles from the journal from 1973 to 2003, from Which 104 journals were selected. In the articles, there were numerous studies on Oriental history and there was a lack of studies on Western history. Many of the oriental landscape history articles featured the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y of the Korean Choseon Dynasty. There was much difference between the 1980s and 1990s. The topics of the 1980s were usually royal palaces, villages and temples, whereas those of 1990s expanded to include confucian memorial halls, walled towns and historical landscape areas. Also the topics of the 1990s included Japanese, Chinese ,md Western landscape architecture. Nevertheless, we had almost no focus on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of historical cultural landscape sites. To solve this problem, we can find our motivation in the studies in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90~93년도 서울 지역에 출하된 돼지의 Aujeszky′s병 감염 실태 조사 (Survey on Actually Infected Condition of Aujeszky′s Disease to the Consigned Pigs in Seoul from 1990 to 1993)

  • 최준식;육동현;김성삼;문현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4
    • /
    • 1994
  • The porcine Aujeszky's disease was surveyed by Enzyme Immunodiffusion method and serologic neutralization test to the slaughtered pigs at slaughtehouse only in Seoul from March, 1990 to October, 1993. After detecting the positive by enzyme immunodiffusion method primary, we decided finally the positive by serologic neutralization test secondary.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ed; 1. The positive of Aujeszky's disease in March, 1990 was 2 of 1,000 sera. 2 positive were decided as the consigned pigs in Kalsan, Hongsung, Chungnaa 2. The positive of Aujezsky's disease in May, 1991 was decided 1 serum at Pogok, Yongin, Kyeonggi. 3. All of the positive detected by Enzyme immunodiffusion Method in 1993 were decided finally in the negative sera. 4. The positive sera detected in 1992 were decided 32 sera at Gyeonggi, 6 at Chungnam, and 1 at Gangwon. Especially, the positive sera percentage detected by Kit Latex Aujeszky Test appeared 78.04% at Gyonggi and by enzyme immunodiffusion Method appeared 11.11% at Chungnam and Gangwon.

  • PDF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Dinophyceae)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 Shin, Hyeon Ho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93-498
    • /
    • 2013
  •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in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wo sediment cores were collec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Germina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sola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are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a toxic dinoflagellate A. tamarense.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n Yeoja Bay appeared from 30 to 32 cm depth upwards (ca. 1980s), and their concentration increased around 10 to 12 cm depth (mid-1990s). Similarly, cyst concentration in Gamak Bay also increased from 40 to 44 cm depth (ca. 1990s). These results coincide with the reports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caused by A. tamarense in 1980s and 1990s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여성 잡지 의류광고 구성요소의 표현 형식과 소구유형 고찰(I) (The Type of Appeal and Constituent Unit's Expression of Apparel Advertising Appeared in Women's Magazines (I))

  • 홍성순;황춘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16-726
    • /
    • 199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ype of appeal and constituent unit's expression of apparel advertising appeared in women's magazine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for this study were: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ype of appeal between outwear and uderwear, men's and women's outwear, and formal wear and casual wear advertising ?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ype of appeal and constituent unit's expression of apparel advertising between the late of 1980's and the begining of 1990's ? "Women Sense", founded on August 1988, was used as research materials for the study. And the period of analysis was from September 1988 to March 1993. In order to reduce biases of monthly issues in magazine, the apparel advertisements for analysis were selected from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issues. A total of 348 apparel advertisements were analyzed. The data gethered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table,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motional appeal was used more often for apparel advertisements.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ypes of appeal between men's and women's outwear. Both of them frequently used emotional appeal type 3. Rational appeal and sex appeal type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underwear advertising than in outwear advertisements. 4. It was emotional appeal type that usually used in both formal and casual wear advertising, and sex appeal was employed more often in casual wear advertising than in formal wear advertising. 5. Romantic appeal was employed more aften in the late of 1980's than in the begining of 1990's. Sex appeal and rational appeal were used more often in the beginning of 1990's than in the late of 1980's. 6. Emotional (28.7%) and Assertion Propose Headlines (21.6%) were popular in the late of 1980's. 7. Brand Name Headline was shown most often in the begining of 1990's. 8. Emotional, Factual and Mixed Copies were generally used at all types of bodycopy.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ypes of bodycopy between the periods. 9. Direct Approach, that a model introduced advertising goods to consumer, was mainly used in illustr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fferent types of illustration between the periods.

  • PDF

한국 경제지리학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

  • 이원호;이승철;구양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22-540
    • /
    • 2012
  • 본 연구는 1950년대 중반 이후 나타난 한국 경제지리학의 연구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여 한국 경제지리학의 지향점과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20세기 후반 이후 경제지리학은 새로운 이슈, 이론, 방법론 등의 도입과 함께 크게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지리학도 지난 반세기 동안 연구의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본 논문은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농업지리학, 공업지리학, 상업지리학 등의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경제지리학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 경제지리학은 연구의 주제와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네 개 시기- 요람기(1950년대), 정립기(1960~1970년대), 도약기(1980~1990년대 중반), 전환기(1990년대 후기 이후) -로 구분할 수 있다. 1980년대 한국 경제지리학의 연구 관심이 공업지리학으로 옮겨지면서 농업지리학은 크게 쇠퇴하였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이후 가치사슬, 혁신 클러스터, 협력과 경쟁 네트워크, 해외직접투자, 유연적 전문화, 벤처 생태계 등과 같은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새로운 제도적 관점의 이론이 도입되면서 공업지리학은 크게 성장하였다. 상업지리학에서는 1980년대까지 정기시장, 상품 유통, 상가 구조 등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생산자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산업과 새로운 양식의 출현에 따른 소비 입지 형태와 상권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1990년대 후반 이후 신경제지리학과 관련된 많은 연구와 담론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제도적 관점, 지식과 혁신, 생산 사슬과 혁신 네트워크, 산업 클러스터와 지역혁신체제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경제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한국 경제지리학은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연구가 몇몇 특정 공간과 이슈에 집중되어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제지리학 전반에서 볼 때, 새로운 이론적 및 방법론적 관점과 접근 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연구 주제를 다양화 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연구의 공간 범위도 다층화하는 것이 앞으로 중점으로 지향해야 할 주요 연구 과제이다.

  • PDF

A research trend of occupational ergonomics in Korea

  • Lee, S.D.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5-72
    • /
    • 1990
  •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ergonmics in Korea are reviewed and organized in this paper. The recommended research directions in the near future are also discussed based upon the analyses of the potential major key industries of Korea in 1990's. Keynords: Human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Research activities in Ergonomics; Ergonomics educations

  • PDF

2010년대에 '학생운동' 말하기 -1990년대와 2010년대의 학생운동 경험 구술과 '우리'의 구성 (Speaking Student Activism in the 2010s -Experience of Student Activism in the 1990s and 2010s and the Composition of 'We')

  • 김시연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135-174
    • /
    • 2020
  • 이 글은 2010년대에 이루어진 1990년대와 2010년대의 학생운동 경험 구술을 대상으로, 각 구술에서 '우리'가 그려지는 양상의 차이와 그 차이를 만들어낸 배경으로 2010년대의 조건이 만들어낸 일상적 경험의 누적을 주목한다. 2010년대에 채록된 1990년대 학생운동 경험에 관한 구술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당시의 학생운동 문화에 대한 거리감이다. 1990년대에 대학 생활을 경험한 구술자들의 말 속에서 당시 대학의 학생운동 문화는 사적 관계를 타고 이루어지며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는데, 동시에 그 '자연스러움'은 그것이 구술되고 있는 2010년대의 맥락에서는 '부자연'스럽거나 '이상한' 것으로 이야기되며 현재의 구술자와는 일정한 거리감을 지닌 경험으로 의미화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90년대의 경험이 2010년대에 구술되고 있는 조건과 결부되어있다. 구술자들에게 과거의 경험을 구술하는 '현재'는 '촛불' 이후 이자 '강남역' 이후로 설명되었고, 그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세계인 듯 묘사되며 자신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발생케 한 계기로서 위치했다. 균질한 '우리'를 의심케 하는 이 질적 변화는 무엇보다 한국사회에서 젠더 이슈가 가장 커다란 화두였던 2010년대 중반 이후를 살며 새로이 체득된 젠더적 감각에 기반을 둔다. 2010년대의 사회운동 경험에 관한 구술에서는 '우리'의 구성이 더 이상 어떤 공통성을 공유하는 이들의 공동체가 아니라 수많은 다름에도 불구하고 결집한 개인들과 같이 이해된다. 그리하여 2010년대의 학생운동 구술은 이런 것을 이미 일상의 감각으로 체화한 이들의 경험이 드러난다. 이들이 구성한 '우리'는 사적 관계와는 무관하거나 무관해야 하는 것이었고, 동질성이 가장 두드러진 집단으로 여겨지지도 않았으며, 그래서 시위 당시와 그 자리 바깥에서까지의 '나'를 설명할 수 있는 무엇도 아니었다. 관련 경험이 내내 조심스러운 태도로 구술되었던 것도 그런 맥락에서였다. 이는 결국 '학생운동', 나아가 사회운동과 '우리'로 결집하는 감각을 새로이 질문하고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운동의 주체가 과연 '누구'인가를 묻는 일의 효용을 질문한다. 곧, 운동에서 고정된 '우리'라는 정체성을 규정하는 일의 필요성과 의미를 질문한다. 그리하여, 어떤 고정된 위치나 좌표가 과연 누군가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인가를 질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