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80년대 한국

검색결과 1,116건 처리시간 0.076초

한국농촌의학회지(韓國農村醫學會誌)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분류 및 연구동향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Research Trends of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 위유미;김석일;박향;류소연;박종;김기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31-244
    • /
    • 2000
  • 한국농촌의학회지 창간호(1976년 발행)부터 24권2호(1999년 발행)까지 총 3호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34호에 게재된 전체논문수는 337편이었고 이중 원저논문수는 240편(71.2%)이었다. 원저논문은 1970년대에 13편, 1980년대에 73편, 1990년대에 154편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2. 원저논문 240편의 저자수는 1명에서 10명까지였고 3인인 경우가 55편(22.9%)으로 가장 높았다. 공동저자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냈다. 연구기관수는 l개에서 5개까지였고 단일기관인 경우가 106편(44.2%)으로 가장 높았다. 1990년대에 오면서 3개이상의 연구기관들이 공동연구하는 양상을 뚜렷이 나타냈다. 3. 게재논문의 사용언어는 97.5%가 한글로 기술되었으며, 영어논문은 2.5%이었다. 원저논문에 연구비를 받았다고 표시된 논문은 24편(10.0%)이었다. 4. 원저논문의 연구영역별 분류에 의하면 보건 관리에 관한 논문이 105편(43.8%), 질병역학 연구논문이 96편(40.0%),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 질환분야는 39편(16.3%)으로 순이었다. 1970년대에는 질병역학 12편(92.3%), 보건관리 1편((7.7%)이었다. 1980년대에는 질병역학 33편(45.2%), 보건관리 29편(39.7%),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11편(15.1%)이었다. 1990년대에는 보건관리 75편(48.7%)으로 가장 많았고 질병역학 51편(33.1%),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28편 (18.2%) 순이었다. 5. 각 영역별 연구주제별 분류에 의하면 농촌 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논문 39편중 농약중독 8편(20.5%)으로 가장 많았고 농부증, 비닐하우스증에 관한 논문은 각각 7편(17.9%), 사고손상 및 기타중독 6편(15.4%) 순이었다. 질병역학 논문 96편중 기생충 56편(58.3%)으로 가장 많았고, 비감영성질환 16편(16.7%), 감염성질환 12편(12.5%)순이었다. 보건관리 논문 105편중 의료이용행태 25편(23.8%)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체계 18편(17.1%), 모자보건 13편(12.4%)순이었다. 연대별 다빈도 10순위 연구주제별 분포에 의하면 1970년대에는 기생충 6편(46.2%), 비감염성질환 4편(30.8%)순이었다. 1980년대에는 기생충 28편(38.4%)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체계 9편(12.3%), 의료이용행태 7편(9.6%), 모자보건 5편(6.8%), 농약중독 4편(5.5% )순이었다. 1990년대에는 기생충 22편(14.3%), 의료이용행태 18편(11.7%), 노인보건 16편(10.4%), 보건의료체계 14편(9.1%), 감염성질환 10편(6.5%), 비감염성질환 10편(6.5%) 순이었다. 6. 원저논문의 연구설계방법은 분석적연구 115편(47.9%), 기술적연구 92편(38.3%), 실험적 연구 21편(9.2%), 증례보고 6편(2.5%)순이었다. 1970년대에는 기술적연구 13편(100%)이고, 1980년대에는 기술적 연구 47편(64.4%), 분석적연구 19편(26.0%)이었으며, 1990년대에는 분석적연구 96편(62.8%), 기술적연구 32편(20.9%)으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으로는 3개 연구영역 모두 지술적통계량을 모든 논문에 시도하였고, ${\chi}^2$-검정, t-검정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농촌의학회지에 원저 논문의 게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저자수 및 연구기관수도 1990년대에 들어 증가하여 농촌의 보건의료에 관한 연구가 계속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영역을 분석한 결과 보건관리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는데 1970, 1980년대에 질병역학 논문이 가장 많았지만 1990년대에 와서 보건관리 논문이 급증한데 기인한다.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1970, 1980, 1990년대 공히 질병역학 영역에 속한 기생충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아서 그동안 우리나라 농촌에 기생충 문제가 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반영 할 수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그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앞으로 의료 이용행태, 노인보건 등 보건관리에 관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 PDF

한국 귀금속산업 활성화 방안분석(CAD/CAM을 중심으로) (About Korean Precious Metal Industrial Activation Plan Research (With a Focus on Synthetic Gem))

  • 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13-621
    • /
    • 2009
  • 1980년대 이전의 한국귀금속산업은 전통 공예와 디자인의 발달사를 제외하면 마케팅 및 사업적인 측면에서는 의의는 거의 없었다. 재화의 가치에서 장신구의 가지로 변화 되어온 국내 주얼리 시장은 1980년대 이후 해외여행자유화 및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주얼리 제조 산업에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전 제품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정밀 주조기법의 도입으로 급성장하게 된 주얼리 시장은 1990년대 이후 CAD/CAM의 도입과 함께 주얼리 제조 산업은 새롭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주얼리 제조 산업은 과거 핸드메이드라고 불리던 수 가공 작업에서 대량 생산을 위한 마스터를 기본으로 하는 정밀 주조 산업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에 마스터의 개발은 디자인 개발과 함께 주얼리 생산업체에 중요한 과제로 제시 되어 왔고 CAD/CAM의 도입으로 디자인과 마스터 개발에 다각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국내 주얼리 시장의 현주소와 CAD/CAM에 대한 이해와CAD/CAM의 장점 및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주얼리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80년대 한국 통계의 현황과 장래: 통계이론을 중심으로

  • 우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20권
    • /
    • pp.10-18
    • /
    • 1991
  • 한국통계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아 80년대의 한국통계의 현황과 장래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뜻깊은 일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통계이론에 관해 깊이 있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10주년 기념호 통계학연구에서 백운붕 박사께서 통계이론의 범위를 광의의 수리통계학으로 해석하였듯이 필자도 통계이론을 이론통계학과 같은 차원의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한국통계에서의 통계이론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현황을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자연과학이라는 학문이 그러하듯이 통계학이란 학문 자체가 외국에서 발생되어 우리나라에 도입된 학문으로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연구 교육되어온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국제적인 현황가 깊은 관계가 있으리라고 짐작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먼저 1980년대에 Annals of Statistics와 JASA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을 분류하여, 1970년대 후반기의 경향과 비교하여 1980년대의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한국 통계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국통계학회지인 통계학연구를 분석해 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한국통계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학술발표회의 논문을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81년부터 1990년까지의 통계학연구지 논문과 1985년부터 1990년까지의 춘계 및 추계 학술논문발표회의 발표 논문을 분류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 PDF

SCI 한국 의학논문 발표실적과 기여도: 1990년-1995년 (The Publication Output and Contribution Rate of SCI Korean Medical Papers: 1990-1995)

  • 이춘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7-15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SCI 학술지에 1990년에서 1995년 사이에 발표된 한국 의학논문의 수를 DIALOG의 SCISearch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 검색하여 연도별. 주제분야별, 문헌유형별로 측정하고, SCI 한국 의학논문의 수와 증가추세, 그리고 SCI 기여도와 논문생산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의학논문의 국제화, 세계화 추세를 가늠하여 보기 위하여, 1990년대 전반부의 SCI 한국 의학논문의 발표실적 및 기여도를 1980년대의 데이터에 비교하였다. 또한. 1980년대에 SCI 논문 발표실적 및 SCI 논문들에 의한 인용정도가 의학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던 화학에 비교하여 봄으로써,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의학분야가 상대적으로 많은 발전을 하였는지 검증하여 보았다.

  • PDF

연후(年候)에서 본 한국(韓國)의 기후(氣候) (The Climate of Korea in the View of the Climatic Year)

  • 강만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97
  • 본 연구는 전국의 64개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1972{\sim}1995$년의 자료를 해마다 $K{\ddot{o}}ppen$ 구분방법에 적용시켜 기후 특성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기후는 Cfa Cwa Cwb Dfa Dwa Dwb의 연후형 으로 구성되고, Cwa Dwa형의 출현빈도가 전체의 95%를 점한다. Cwa형의 출현은 대부분의 남부 지방 동사면 제주도에서 우세하고, Dwa형은 영서 경기 복동부에서, Cfa형은 울릉도에서 탁월하게 나타난다. 이런 우세지역은 안정된 기후지역을 형성하지만 다양한 기후형이 출현하는 남부 진방의 북부와 중부 지방의 남부는 C와 D형이 상접하는 경계이므로 불안정 기후지역을 이룬다. 또한 Cwa형이 가장 우세했던 1990년대 전반기에는 C D형의 경계선이 중부 내륙 지방에 위치하였고, Dwa형이 가장 탁월했던 1980년대 전반기에는 C D형의 경계선이 남부 지방의 중위에 위치하기도 하여 해에 따라서 연후지역의 범위가 변한다. 주요 연후형의 경년변화에서 Cwa형은 증가경향을 보이지만 Dwa형은 감소추세를 나타낸다. Cwa 연후지역의 확장추세는 1970년대 전반기와 1980년대 후반기 이후 최근까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1980년대 전반기에 중부지방에서 우세했던 Dwa 연후지역은 최근까지 축소되고 있다.

  • PDF

우리나라 주변 해양생태계의 장기 변동 (Long Term Changes Pattern in Marine Ecosystem of Korean Waters)

  • ;이충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198
    • /
    • 2012
  • 겨울철 해표면 수온 및 한국 주변역 생태계의 장기 변화 특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후 및 해양환경의 변화와 동반된 어획강도의 변화는 1970 년대 이후 어획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한국 주변역의 겨울철 SST는 1980년대 후반 기후체제변환 시점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저수온에서 고수온으로 변화되었다. 평균영양단계(MTL)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하위영양단계 어류의 어획량 증가가 중요 변수로 작용하였다. 통합생태계 기반 자원평가 방법중 한가지인 FIB 지수는 1970년 초부터 1970년 후반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중간영양단계에 위치하는 멸치와 정어리의 개체수 변화는 1970년대 초 이후 MTL 변화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였다.

범람원과 삼각주 (Floodplain and Delta)

  • 이의한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3
    • /
    • 2011
  • 한국의 범람원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1960년대 후반에 발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한국의 범람원과 삼각주에 관한 연구는 권혁재(고려대학교 명예교수)와 조화룡(경북대학교 명예교수)에 의해 주도되었다. 권혁재는 그러한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조화룡은 충적지형을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990년대 이후, 범람원과 삼각주에 관한 연구는 정체 상태로 접어들었다.

도서관 소요공간에 따른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Program Based on the Library Facility Program)

  • 고재민;조현양;고흥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9-379
    • /
    • 2015
  • 1980년대에 79개관에 불과했던 전국 공공도서관이 2013년 말 기준으로 885개관에 이르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 건립된 도서관이 전체 도서관의 60%를 넘어서고 있을 정도로 도서관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상당한 양적팽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른 질적 측면도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공간구성에 대한 이용자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디지털열람실과 문화교육실의 증가는 2000년 전 후의 변화에 따른 시사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 공간구성 비율에서 벗어나 시대에 적합한 도서관 공간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1980~1990년대 준공된 공공도서관과 2000년 이후 설립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대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형태를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장서보존과 열람 기능이 강조되었던 1980~1990년대와 이용자의 측면을 고려하여 문화영역 기능이 확대된 200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의 소요시설별 면적비율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현시점의 도서관 공간의 중요 고려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시대요구와 부합할 수 있는 면적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최종연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