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6~17세기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한글 간찰(簡札)의 상투적(常套的) 표현(表現) 고찰(考察))

  • Jeon, Byeong-yong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37
    • /
    • pp.279-306
    • /
    • 2009
  • This study is purposed to observ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eul Ganchal had set a pattern from 16th century to 17the century after establishing its regular form. It is mainly found in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of the letters. Especially, they are concretely shown at an address form and greeting in the former, a farewell and the close in the latter. Generally, a native tongue was often used in address form at Suncheon Kim's Eongan in 16th century and Hyun-Poong Kwak's Eongan in 17th century. However, a Chinese character was commonly found in the introduction at Jingbo-Eongan-Dok in 19th century. Specifically, in case of respons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read your letter' was added in greeting part. In Suneon of 16th century, this type was gradually established to the form, and in Hyuneon of 17th century, a native tongue set a pattern. However, Jingeon of 19th century, a Chinese character was mainly used instead of a native tongue. The changing form of farewell and the close showed similar pattern as the aspect of greeting form. They seemed to be more simple and repetitive in Hyuneon compared with the form of Suneon. Furthermore, a Chinese character was dominated in the conclusion of letters in Jingeon. Consequently, the paper examined the two types of letter between Hangul letters and Chinese character letter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s research will be coped with next study.

현대패션에 응용된 후프(Hoop)에 관한 연구

  • 정경희;배수정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7-7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후프(hoop)의 기원 및 변천과정을 고찰해보고 시대별로 후프의 유형을 분류한 후,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더욱 다양해진 후프가 현대패션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후프의 역사적ㆍ미적 가치를 재인식하여 오늘날 복식디자인에 창조의 영감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를 제시하는데 있다. 후프가 발생하였던 르네상스시대에는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사고가 변화하면서, 복식에 있어서도 인간의 신체미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인체의 실루엣을 과장ㆍ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속옷의 중요성과 역할에 따른 심미적인 기능이 복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였고, 뿐만 아니라 기교적인 면에서 속옷에 요구되는 장식성은 어느 시대보다 절실하였다. 그 결과 겉옷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속옷도 인체를 크게 보일 수 있는 후프가 고안되었다. 후프는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철사나 고래뼈 등을 세공하여 만든 테를 넣은 속치마를 말한다. 16세기 중엽 스페인에서 유행한 종형의 파딩게일(farthingale)을 시초로,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드럼형의 휠 파딩게일(wheel farthingale)과 오쓰뀌(hausse col)가 유행하였다. 17세기 초기에는 후프를 착용한 16세기 복식이 유행하였으나, 1625년 이후 슬림한 스타일의 17세기 복식이 유행하자 후프의 착용은 점차 쇠퇴하였다. 18세기에는 파니에(panier)가 유행하여 옆을 부풀린 스커트의 실루엣을 형성하였고, 19세기에는 크리놀린(crinoline), 벗슬(bustle)이 유행하였다.

  • PDF

기계역학의 역사

  • 양보석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6
    • /
    • pp.551-558
    • /
    • 1991
  • 기계역학은 자연과학에 속하는 역학을 아버지로, 기계와 이를 탄생시킨 실제적기술(technical arts)을 어머니로 하는 두 가지의 계보를 갖는다. 극히 최근까지 과학과 기술은 전혀 별개로, 다른 계층에 의해 담당되어 왔다. 약 100수십년 전까지는 과학은 기술에 힘입은 부분이 많았다. 이들이 합쳐진 것은 겨우 19세기 초, 그리고 기계역학이 학문으로서 형태를 갖춘 것은 19세기 후반부 터이다. 동역학을 포함한 기계역학의 형성과 발전의 흐름은 시대적으로 다음의 3단계로 크게 분류된다. (1) 제1기 : 자연학의 시대(~5세기) (2) 제2기 : 역학=자연철학의 시대(16~18세기) 역학의 탄생(16세기)$\rightarrow$역학원리의 형성 (17세기)$\rightarrow$역학원리의 전개와 완성(18세기) (3) 기계역학=공학의 시대(19세기~) 공학의 탄생 (19세기 전반)$\rightarrow$체계화의 시대(19세기후반)$\rightarrow$ 방법의 시대(20세기)

  • PDF

"21세기에도 빛날 20세기 책들"

  •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9
    • /
    • pp.16-17
    • /
    • 1999
  • 새로운 세기를 앞둔 이즈음 세상에는 희망과 불안이 교차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지성사적인 공황은 다가올 21세기를 한층 어둡게 만들고 있다. "출판저널"은 21세기에도 여전히 그 빛을 발할 20세기의 고전을 뽑아 21세기로 가는 길목을 밝히는 가로등으로 삼고자 한다. 국내 각 분야 지식인 100인에게 비전공 분야를 포함한 15종씩 추천받았다. 3번 이상 중복추천된 양서 94선, 2번 이상 추천된 국내서 36선, 모두 130선을 소개한다. 한 저자의 책이 여러 종 추천된 경우 2회 이상 추천된 책만을 소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국내 번역된 책은 번역된 제목을 우선으로 했고, 미번역작은 원제를 달았다.

  • PDF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Curriculum of Chosun-Sanhak in the 17th to 18th Century (17-18세기 조선산학의 교육과정적 특징 고찰)

  • Choi, Eun Ah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3
    • /
    • pp.409-42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curriculum of Chosun-Sanhak(朝鮮算學), the mathematics of Chosun Dynasty in the 17th to 18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of Chosun-Sanhak in the 17th to 18th century had not changed since the 15th century. Second, the changes in the field of the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contents were observed. Chosun-Sanhak in that time was higher in the hierarchy than in the 15th to 16th century. The share of the equation and geometry had increased and various topics of mathematics had been studied as well. Third, in the field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ontents, the influx of European mathematics and the uniqueness of Chosun-Sanhak had been observed. In conclusion, The 17th to 18th century was the time when Chosun-Sanhak had pursued the identity escaping from the effects of Chinese-Sanha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