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S rRNA Pyrosequenc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Pyrosequencing을 이용한 하수처리시설 생물반응기의 세균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Wastewater Treatment Bioreactors Using 16S rRNA Gene-Based Pyrosequencing)

  • 김택승;김한신;권순동;박희등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2-358
    • /
    • 2010
  • 서로 다른 처리공정으로 운영되는 4개의 하수시설을 대상으로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pyrosequencing을 이용해 활성슬러지 하수처리 생물반응기의 세균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활성 슬러지에는 Rhodocyclales, Burkholderiales, Sphingobacteriales, Myxococcales, Xanthomonadales, Acidobacteria group 4, Anaerolineales, Methylococcales, Nitrospirales, Planctomycetales 목에 속하는 염기서열이 전체의 54-68%를 차지해, 소수의 세균 분류군이 활성슬러지 세균군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 소수 세균 분류군의 조성은 처리장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하수처리장의 운전조건 및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활성슬러지는 매우 다양한 세균 종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Chao1 richness estimate: 1,374-2,902 operational taxonomic units), 대부분의 다양성은 희귀 종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리막으로 운영되는 하수처리시설에서 높은 다양성을 나타내었는데, 처리공정이 매우 긴 고형물체류시간으로 운영되어 느리게 성장하는 다양한 세균이 서식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High-throughput pyrosequencing 기술을 이용하여 활성슬러지 세균군집을 처리장별로 비교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생태학적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고 하수처리공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실규모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Archaeal Communities in Full-Scale Anaerobic Digesters Using 454 Pyrosequencing)

  • 강현진;김택승;이영행;이택준;한금석;최영준;박희등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9-217
    • /
    • 2011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통해 혐기성 소화조에 존재하는 다양한 아케아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 그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Methanococc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가 소화조에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화조의 운전조건은 아케아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규모 6개 혐기성 소화조를 대상으로 11개 소화 슬러지 시료를 채취해,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아케아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아케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측정된 observed operational taxanomic units (OTUs)는 13-55 OTUs이었으며(3% cutoff), 이는 Chao1 richness estimate로 계산된 값의 29-89%에 해당하였다. 소화조에는 메탄생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Methanomicrobiales, Methanobacteriales, Methanococcales, Methanosarcinales, Methanocell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 뿐만 아니라, Thermoproteales, Thermoplasmatales, Desulfurococcales목에 속하는 아케아도 함께 발견되었다. 이 중 수소를 기질로 해서 메탄을 생성한다고 알려진 Methanoacoccales가 전체 염기서열의 51.8-99.7%를 차지해 가장 많이 발견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Heat map 분석결과 각 시료들의 아케아 군집구조는 1개 시료를 제외한 나머지 10개 시료가 매우 비슷한 군집구조를 가지고 있었다(Pearson 상관지수=0.99). 또한, 아케아 군집구조와 환경변수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를 통해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환경변수는 소화조의 온도와 총고형물 제거율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화조의 운전조건은 아케아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고 사료된다.

16S rRNA 유전자의 454 파이로서열 분석을 이용한 해삼(Apostichopus japonicas)과 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장내 세균의 다양성 연구 (Bacterial Diversity in the Guts of Sea Cucumbers (Apostichopus japonicus) and Shrimps (Litopenaeus vannamei) Investigated with Tag-Encoded 454 Pyrosequencing of 16S rRNA Genes)

  • 노은수;김영삼;김동현;김경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7-244
    • /
    • 2013
  •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454 파이로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해삼(Apostichopus japonicus)과 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장내 세균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해삼의 경우, 대부분의 서열은 두 개의 속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Fusobacteria 문의 Propionigenium 속이며, 다른 하나는 Bacteroidetes 문의 Flavobacteriaceae 과에 속하는 미분류 속이었다. 새우는 해삼에 비해 다양한 속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Lactococcus, Leuconostoc, Prochlorococcus, Vibrio 속들과 Flavobacteriaceae, Rhodobacteraceae, Desulfobulbaceae, Helicobacteraceae 과와 Mycoplasmatales 목에 속하는 미분류 속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해삼과 새우의 속들의 절반 이상이 환경에서 비배양적으로 얻어진 서열만 존재하는 미분류된 속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용량 454 파이로서열 분석법을 통하여 해삼과 새우의 장내 세균의 다양성을 밝힐 수 있었으며, 그 결과 해삼과 새우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는 새로운 미생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easonal Changes in Cyanobacterial Diversity of a Temperate Freshwater Paldang Reservoir (Korea) Explored by using Pyrosequencing

  • Boopathi, Thangavelu;Wang, Hui;Lee, Man-Duck;Ki, Jang-Seu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424-437
    • /
    • 2018
  • The incidence of freshwater algal bloom has been increasing globally in recent years and poses a major threat to environmental health. Cyanobacteria are the major component of the bloom forming community that must be monitored frequently. Their morphological identities, however, have remained elusive, due to their small size in cells and morphological resemblances among species. We have analyzed molecular diversity and seasonal changes of cyanobacteria in Paldang Reservoir, Korea, using morphological and 16S rRNA pyrosequencing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at monthly intervals from the reservoir March-December 2012. In total, 40 phylotypes of cyanobacteria were identified after comparing 49,131 pyrosequence reads. Cyanobacterial genera such as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and Synechocystis were predominantly present in samples. However, the majority of cyanobacterial sequences (65.9%)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of uncultured origins, not detected morphologically. Relative abundance of cyanobacterial sequences was observed as high in August, with no occurrence in March and Decemb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yrosequencing approach may reveal cyanobacterial diversity undetected morphologically, and may be used as reference for studying and monitoring cyanobacterial communities in aquatic environments.

고성 심해에서 수심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Water Columns of Goseong Deep Seawaters)

  • 강용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2-285
    • /
    • 2013
  • 강원도 고성군 근해에서 수심 300 m와 500 m의 심층수에 서식하는 해양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심해미생물을 16S rRNA genes pyrosequenc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00 m 심층수 시료에서 얻은 19,474 reads에서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가 각각 57.41%와 38.85%의 분포 비율을 보였다. 심해 500 m의 시료에서 얻은 82,806 reads에서는 Gammaproteobacteria가 99.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심 300 m에서는 Rhodobacterales (57.31%)가 우점하였고, 수심 500 m에서는 Alteromonadales (45.65%)와 Oceanospirillales (34.61%)가 우점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s와 diversity indexes (Shannon과 Simpson)를 기준으로 할 때 해양미생물의 다양성은 수심 500 m지역이 수심 300 m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Fecal microbiota analysis of obese dogs with underlying diseases: a pilot study

  • Park, Hyung Jin;Lee, Sang Eun;Kim, Hyeun Bum;Kim, Jae Hoon;Seo, Kyoung Won;Song, Kun Ho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05-208
    • /
    • 2015
  • Ten dog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o healthy dogs, two obese dogs without other medical issues and six obese dogs with underlying diseases including pemphigus, chronic active hepatitis, hyperadrenocorticism, narcolepsy, otitis media and heartworm infection.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to explore the gut bacterial diversity revealed that distal gut bacterial communities of samples from patients with pemphigus, otitis media and narcolepsy consisted primarily of Firmicutes, while the major phylum of the distal gut bacterial communities in patients with chronic active hepatitis and hyperadrenocorticism was Fusobacteria. Proteobacteria were the dominant phylum in heartworm infected obese patients.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alo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sheep by 454 pyrosequencing analysis

  • Wang, Jin;Fan, Huan;Han, Ye;Zhao, Jinzhao;Zhou, Zhiji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호
    • /
    • pp.100-110
    • /
    • 2017
  • Objective: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sheep contain complex microbial communities that influence numerous aspects of the sheep's health and develop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he microbiot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ections (rumen, reticulum, omasum, abomasum, duodenum, jejunum, ileum, cecum, colon, and rectum) of sheep. Methods: This analysis was performed by 454 pyrosequencing using the V3-V6 region of the 16S rRNA gen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healthy, small tailed Han sheep aged 10 months, obtained at market. The bacterial composition of sheep gastrointestinal microbiota was investigated at the phylum, class, order, family, genus, and species levels. Results: The dominant bacterial phyla in the entire gastrointestinal sections were Firmicutes,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In the stomach, the three most dominant genera in the sheep were Prevotella, unclassified Lachnospiraceae, and Butyrivibrio. In the small intestine, the three most dominant genera in the sheep were Escherichia, unclassified Lachnospiraceae, and Ruminococcus. In the large intestine, the three most dominant genera in the sheep were Ruminococcus, unclassified Ruminococcaceae, and Prevotella. R. flavefaciens, B. fibrisolvens, and S. ruminantium were thre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sheep gastrointestinal tract.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show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ies from each gastrointestinal section could b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imilarity of community composition: stomach (rumen, reticulum, omasum, and abomasum), small intestine (duodenum, jejunum, and ileum), and large intestine (cecum, colon, and rectum).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characterize the entire gastrointestinal microbiota in sheep by use of 16S rRNA gene amplicon pyrosequencing, expanding our knowledge of the gastrointestinal bacterial community of sheep.

Characterization of the Fecal Microbial Communities of Duroc Pigs Using 16S rRNA Gene Pyrosequencing

  • Pajarillo, Edward Alain B.;Chae, Jong Pyo;Balolong, Marilen P.;Kim, Hyeun Bum;Seo, Kang-Seok;Kang, Dae-Ky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584-591
    • /
    • 2015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fecal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30-week-old Duroc pigs, which are known for their excellent meat quality. Pyrosequencing of the V1-V3 hypervariable regions of the 16S rRNA genes generated 108,254 valid reads and 508 operational taxonomic units at a 95% identity cut-off (genus level). Bacterial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as measured by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reported previously using denaturation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thus, this study provides substantial information related to both known bacteria and the untapped portion of unclassified bacteria in the population. The bacterial composition of Duroc pig fecal samples was investigated at the phylum, class, family, and genus levels.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predominated at the phylum level, while Clostridia and Bacteroidia were most abundant at the class level. This study also detected prominent inter-individual variation starting at the family level. Among the core microbiome, which was observed at the genus level, Prevotella was consistently dominant, as well as a bacterial phylotype related to Oscillibacter valericigenes, a valerate producer. This study found high bacterial diversity and compositional variation among individuals of the same breed line, as well as high abundance of unclassified bacterial phylotypes that may have important functions in the growth performance of Duroc pigs.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 분해세균의 분리 및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and isolation of aromatic compounds utilizing bacteria from humus layer of oak forest)

  • 한송이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75-18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리그닌 polymers) 분해세균을 분리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밝히고, pyrosequencing 계통분석을 통해 부식층 내 주요 세균군집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향족 화합물(p-anisic acid, benzoic acid, ferulic acid 및 p-coumaric acid)을 이용하는 세균 42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계통해석한 결과, Rhizobium, Sphingomonas, Burkhorlderia, Pseudomonas 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방향족화합물 분해세균 중 Burkhorlderia 계통군은 전체 분리균주의 8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부식층시료로부터 7,862개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유의성 97% 수준에서 1,821 OTUs와 다양성 지수 6.76가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세균군집은 총 22개 문(phylum)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세균군집으로 확인된 ${\beta}$-proteobacteria 계통군은 Burkholderia, Polaromonas, Ralstoria, Zoogloea, Variovorax를 포함하는 15개 속으로 세분류 되었다. 이들 세균 중 약 50%가 Burkholderia 속으로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우점군집으로 밝혀진 Burkholderia 계통군은 산림 생태계에서 리그닌 분해 대사 과정에 중요한 미생물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발성 치근단 치주염을 갖는 감염근관에서 증상유무에 따른 세균분포의 pyrosequencing 분석 (Microbial profile of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teeth with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by pyrosequencing)

  • 임상민;이태권;김은정;박준홍;이윤;배광식;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6호
    • /
    • pp.498-505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원발성 치근단 치주염(primary apical periodontitis)을 갖는 치아에서 임상증상 유무에 따른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species level까지 분석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발성 치근단 치주염을 갖는 6개의 표본에서 pysequencing을 시행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해 얻어진 small-subunit ribosomal RNA의 초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amplicon을 이용하여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적으로 무증상군 및 증상군에서 각각 10,639 및 45,455개의 16S rRNA sequence을 얻었으며 평균길이는 440bases였다. Ribosomal Database Project Classifier을 이용한 분석결과 142종의 genera 및 13종의 phylum 수준에서의 세균종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13개의 phyla 가운데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Firmicutes, Fusobacteria, Proteobacteria, Spirochetes, and Synergistetes 종이 상대적으로 호발하였으며, genus 수준에서는 Pyramidobacter, Streptococcus, Leptotrichia이 무증상의 근관의 50%를 차지하였으며, Neisseria, Propionibacterium, Tessaracoccus 균종은 증상이 있는 근관의 69%를 차지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s (3%)로 나눈 결과 증상이 없는 치아에서 450개, 증상이 있는 치아에서 1,997개의 species가 발견되었다. 증상이 있는 치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많은 수의 세균이 검출되었다(p < 0.05). 결론: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기법을 통해 원발성 감염근관에서 이전에 검출하지 못했던 다양한 근관내 분포세균을 검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