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0^{\circ}C$

검색결과 4,038건 처리시간 0.032초

융제법에 의한 RIG 단결정 육성 (Growth of RIG Single Crystals by Flux Technique)

  • 김성현;이석희;정수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9-470
    • /
    • 1989
  • Single crystals of rare-earth iron garnets were grown from solutions of molten lead oxide, lead fluoride, baric oxide, iron oxide, and the oxides of yttrium, samarium orgadolinium. The crystals were grown by slow cooling technique. A convenient composition was 41.8mol% PbO, 20.59mol% PbF2, 8.23mol% B2O3, 20.00mol% Fe2O3 and 10.00mol% R2O3 where R is Y, Sm or Gd. For this experiment, platinum crucibles of size 20, 30cc and a vertical siliconit tube furnace were used.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of YIG was observed in the range of 115$0^{\circ}C$-112$0^{\circ}C$ and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in this experiment were determined. The nucleation rate was controlled by the holding time after the fast colling, the growth rate by the slow cooling conditiions. The form of the grown YIG crystals showed a combination of {110} and {211}, and the size of the crystals grown in this experiment was up to about 9mm under the conditions of holding time 16hour, cooling rate 2$^{\circ}C$/hr. and temperature range 115$0^{\circ}C$-90$0^{\circ}C$. The precipitatin temperature of SmIG was observed in the range of 105$0^{\circ}C$-98$0^{\circ}C$ and the size of the crystals grown in this experiment was up to about 5mm under the conditiions of holding time 16hours, cooling rate 2$^{\circ}C$/hr. and temperature range 100$0^{\circ}C$-80$0^{\circ}C$.

  • PDF

항온조건에서 긴등기생파리 [Exorista japonica (Townsend)] (Diptera: Tachinidae) 온도별 발육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the Parasitoid Fly, Exorista Japonica (Townsend) (Diptera: Tachinidae))

  • 박창규;서보윤;최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45-452
    • /
    • 2016
  • 야외에서 채집된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유충 및 번데기로부터 우화한 기생파리를 NCBI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16S, 18S, 28S 그리고 CO I)와 비교하여 긴등기생파리(Exorista japonica)로 동정하였다. 긴등기생파리의 알부터 성충우화까지 발육 기간을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5~6령 유충을 숙주 곤충으로 하여 7개 항온조건(16, 19, 22, 25, 28, 31, $34{\pm}1^{\circ}C$)에서 조사하였고 온도에 따른 발육율과 발육완료 모델들의 매개변수들을 추정하였다. $34^{\circ}C$를 제외한 다른 항온 조건에서 알부터 성충우화까지 발육이 가능하였다. 알부터 번데기까지 발육 기간을 보면 $16^{\circ}C$(23.4일)에서 가장 길었고 $34^{\circ}C$(8.3일)에서 가장 짧았으나, 번데기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28^{\circ}C$(7.3일)에서 가장 짧았다. 알부터 성충우화까지 전체 발육 기간은 $31^{\circ}C$에서 16.3일로 가장 짧았고 $16^{\circ}C$에서 45.4일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육기간은 짧아졌다. 선형 발육율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알부터 성충우화까지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7.8^{\circ}C$, 370.4DD 였다. 4개 비선형 발육율 모델(Briere 1, Lactin 2, Logan 6, Performance) 중에서는 Briere 1 모델($r^2_{adj}=0.96$)이 가장 높은 해석력을 보여주었다. 동일 연령 집단의 발육완료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3개 모델(2-parameter Weibull, 3-parameter-Weibull, Sigmoid)은 모두 같은 결정력($r^2_{adj}=0.90$)을 보였다.

물을 함유한 아크릴 중합체의 용융 및 용유점도 거동 (Melting and Melt Viscosity Behavior of Wet-PAN Systems)

  • 오세천
    • 유변학
    • /
    • 제5권2호
    • /
    • pp.136-143
    • /
    • 1993
  • PDSC(pressurize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물 또는 물 -DMF(N,N-dimethylformamide) 혼합물을 함유한 아크릴로니크릴 중합체(wet-PAN)의 융점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wet-PAN 용융체의 점도측정에 적합한 모세관형 점도계를 제작하여 전단속도 및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를 고찰하였다. 물에 의한 wet-PAN의 융점 및 용융점도 는 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근적으로 감소하여 25wt%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물(25wt% 기준)의 일부를 DMF로 대체하였을 경우에는 융점이 감소하였다. 한편 wet-PAN의 용융점도는 power-law 거동에 준하였으며 물계에서는 power-law 지수(n)가 0.16(19$0^{\circ}C$)~0.18(17$0^{\circ}C$)인데 비하여 물(95)~DMF(5) 혼합물계에서는 0.24(175$^{\circ}C$)~0.25(16 5$^{\circ}C$)로서 점도의 전단담화거동이 약해졌으나 흐름의 활성화에너지는 다소 증가 하였다.

  • PDF

멸치액젓의 가온숙성중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Anchovy Sauce Prepared by Heating Fermentation)

  • 김동수;소천천추;정보영;조길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69-475
    • /
    • 1994
  • 멸치를 원료로 하여 상법에 따라 젓갈을 제조하고 $20^{\circ}C$$37^{\circ}C$에서 숙성하면서 숙성중 분리되는 액젓의 지질함량과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한바 숙성중 총지질(TL), 중성지질(NL) 및 인지질(PL)의 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총지질중 차지하는 중성지질의 비율은 점차 증가한 반면 인지질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액젓의 주요지방산은 saturated fatty acid의 경우 16:0, 18:0 및 14:0이였고 monoenoic acid는 18:1n-9, 16:1n-7 및 18:1n-7이였으며 polyenoic acid는 22:6n-3, 20:5n-3 및 20:4n-6으로 나타났고 숙성중에는 TL과 NL의 경우는 16:0의 증가와 22:6n-3의 감소현상이 두드러졌고 PL은 16:0 및 22:6n-3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 반면 18:1n-9, 18:1n-7 및 22:5n-3의 경우는 TL이나 NL에 비해 거의 변화가 없거나 소량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7^{\circ}C$ 가온숙성의 경우 $20^{\circ}C$에 비해 숙성중 지질의 량 특히 인지질의 량은 급속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숙성 120일의 경우 0.13g/100g으로 원료에 비해 $72.3\%$, 숙성초기와 비교해서는 $62.9\%$ 정도 감소하였고 $20^{\circ}C$의 경우는 각각 $66.0\%$$54.3\%$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지방산조성을 보면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비롯한 각종 지방산의 급속한 감소현상이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숙성중 지질의 량은 감소하지만 지방산의 조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 PDF

약용단자 균류 영지가 생산하는 Amylase의 효소학적 성질 (Properties of Amylase produced from Higher Fungi Ganoderma lucidum)

  • Do, Jae-Ho;Kim, Sang-Da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3-178
    • /
    • 1985
  • Ganoderma lucidum (영지)의 액체 배양물로부터 전분을 강력하게 분해하는 amylase를 조정제하여 이 효소의 기본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이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각각 5.5, 5$0^{\circ}C$였고 pH 및 열처리에 상당히 불안정한 효소였으며 activation energy는 7.06Kcal/mole이였다. M $n^{++}$, $Ca^{++}$ 및 C $u^{++}$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증가되었으나 H $g^{++}$ A $g^{+}$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저해되었으며 여러 가지 chemical reagents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Soluble starch, amylose, amylopectin 및 glycogen에 대한 Km 치는 0.16, 0.37, 0.19 및 0.16mg/$m\ell$ 였으며 각종기질에 대한 분해능력을 조사한 결과 열처리를 받은 전분류는 분해할 수 있었으나 생전분은 그 분해속도가 느렸다. Maltose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저해되었으며 maltose의 저해양상은 competitive inhibition을 나타내었다.

  • PDF

절연용 유리장섬유의 정전기 대전완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static Electrification Relaxation Properties of Glass Filament for Insulation)

  • 이성일;이원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837-842
    • /
    • 2015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 attenuation in plain shape glass filament sample (0.29 mm thickness, cross section of $12.25cm^2$, $16cm^2$, $20.25cm^2$) for insulator has been measured at temperature of $5^{\circ}C{\sim}38^{\circ}C$, humidity of 50%~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e of samples that the cross section is $12.25cm^2$, $16cm^2$, $20.25cm^2$ at humidity of 50%~90%, it found that the electrification voltage of electrostatic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ith a return to decrease at $20^{\circ}C$. In case of samples that the cross section is $12.25cm^2$, $16cm^2$, $20.25cm^2$ at temperature of $5^{\circ}C{\sim}38^{\circ}C$, it found that the electrification voltage of electrostatic decreased with increasing humidity. In case of the sample at temperature of $20^{\circ}C$ and humidity of 65%, 75%, it found that the electrification voltage of electrostatic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 section. In case of the sample at humidity of 65% and cross section of $12.25cm^2$, the time that it takes to reduce electrification voltage of electrostatic in half decreased to 0.912s, 0.736s, 0.673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o $10^{\circ}C$ $20^{\circ}C$, $30^{\circ}C$.

수삼의 수확시기, 크기 및 저장조건에 따른 호흡특성 (Effects of Picking Season, Size and Storage Conditions on Respirat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김은정;서자영;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29-533
    • /
    • 2005
  • 채굴시기, 등급, 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수삼의 호흡특성을 조사하였다. 채굴시기별 수삼의 호흡률은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는$0^{\circ}C$에서 7.88 mL$CO_2/kg{\cdot}hr$로 최고값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삼의 주채굴시기인 10월, 11월 및 익년 3월에 채굴한 수삼의 호흡계수는 $1.03\~l.07$ 범위로 채굴시기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개체 당 중량이 $20.1\~90.0\;g$ 범위인 수삼을 4 등급으로 나눠 호흡률을 비교하였던 바 중량이 클수록 호흡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0월과 11월에 채굴한 수삼의 온도에 따른 호흡률은$0^{\circ}C$에서 각각6.27, 4.94mL $CO_2/kg{\cdot}hr$이었고 $20^{\circ}C$에서는 $0^{\circ}C$에 비해 각각 약 $5\~6$배 정도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추세는 채굴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10월 및 11월에 채굴한 수삼의 경우$0^{\circ}C$에서 $10^{\circ}C$로 품온 상승 시 채굴시기에 따라 $Q_{10}$ 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circ}C$에서 $20^{\circ}C$로 상승 시 $Q_{10}$ 값은 각각 2.16, 1.77로 11월에 채굴한 수삼의 $Q_{10}$값이 10월 채굴한 것에 비하여 낮았다. 한편 저장 기간에 따른 호흡률을 조사한 결과 $0^{\circ}C$에서 90일 저장한 후에는 초기 값의 $50\%$ 미만을 나타내었다.

Microwave 열처리에 의한 원유의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Aspects of Raw Milk by Microwave Heating)

  • 신병홍;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81-198
    • /
    • 1998
  • 원유를 $50^{\circ}C$, $55^{\circ}C$, $60^{\circ}C$, $65^{\circ}C$$70^{\circ}C$에서 30분간 microwave 열처리(MW)하고 $65^{\circ}C$에서 30분간 water bath(WB)에서 열처리 하였을때의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인 성상의 변화와 $5^{\circ}C$의 냉장상태에서 10일간 보존하면서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인 변화상태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료유를 MW와 WB 열처리를 실시하였을 때에는 유지방, 유단백질, 유당, 및 총고형분 함량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원료유의 pH와 산도는 각각 6.75 및 0.16%이었으며, MW와 WB가열시의 pH와 산도는 6.75~6.50 및 0.16%~0.19%이었으며, phosphatase 시험결과는 $61^{\circ}C$에서 20분, $62^{\circ}C$에서 15분, $63^{\circ}C$에서 10분, $64^{\circ}C$에서 5분, $65^{\circ}C$에서 5분 이후의 MW가열과 $65^{\circ}C$ 30분간 WB가열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3. 가열처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whey protein의 항량은 감소하였으며, proteolytic activity는 MW가열에서 94%이었으며, $65^{\circ}C$, 30분간 WB가열에서는 44%로 낮게 나타났다. 4. 원유의 총균수는 $2.8{\times}10^5CFU/m{\ell}$로서, MW $65^{\circ}C$ 가열에서 $2.8{\times}10^3CFU/m{\ell}$, $70^{\circ}C$에서 $2.4{\times}10^3CFU/m{\ell}$, WB $65^{\circ}C$ 가열에서 $3.0{\times}10^3CFU/m{\ell}$로 나타났으며, $65^{\circ}C$$70^{\circ}C$ 30분간 MW가열과 $65^{\circ}C$, WB가열시에 저장 10일 동안 미생물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아 보존성이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1^{\circ}C$, $62^{\circ}C$, $63^{\circ}C$, $64^{\circ}C$, $65^{\circ}C$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MW가열시에 총균수가 5분 이후에 크게 감소하였다. 5. 원료유의 대장균수는 $2.6{\times}10^3CFU/m{\ell}$이었으며, $55^{\circ}C$, $60^{\circ}C$, $65^{\circ}C$$70^{\circ}C$에서 MW가열과 $65^{\circ}C$, WB가열시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61^{\circ}C$, $62^{\circ}C$, $63^{\circ}C$, $64^{\circ}C$$65^{\circ}C$에서 5~30분 동안 MW가열시에 5분 이후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6. 원료유의 내열성균수는 $5.2{\times}10^4CFU/m{\ell}$이었으나, MW $65^{\circ}C$ 가열에서 $2.0{\times}10^3CFU/m{\ell}$, $70^{\circ}C$에서 $1.9{\times}10^3CFU/m{\ell}$, WB $65^{\circ}C$ 가열에서는 $2.2{\times}10^3CFU/m{\ell}$로 나타났고, $65^{\circ}C$$70^{\circ}C$ 30분간 MW가열시와 $65^{\circ}C$ WB가열시에 저장 10일 동안 미생물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아 보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1^{\circ}C$, $62^{\circ}C$, $63^{\circ}C$, $64^{\circ}C$, $65^{\circ}C$에서 5분 간격으로 30분 동안 MW가열시 총 균수가 5분 이후에 크게 감소하였다. 7. 원료유의 내냉성 미생물수는 $2.8{\times}10^5CFU/m{\ell}$이었으나, MW $65^{\circ}C$ 가열에서 $2.0{\times}10^1CFU/m{\ell}$, $70^{\circ}C$에서 $2.0{\times}10^1CFU/m{\ell}$, WB $65^{\circ}C$ 가열에서는 $3.0{\times}10^1CFU/m{\ell}$로 나타났고, $65^{\circ}C$$70^{\circ}C$ 30분간 MW가열시와 $65^{\circ}C$ WB가열시에 저장 10일 동안 미생물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아 보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1^{\circ}C$, $62^{\circ}C$, $63^{\circ}C$, $64^{\circ}C$, $65^{\circ}C$에서 5분 간격으로 30분 동안 MW가열시 총균수가 5분 이후에 크게 감소하였다.

  • PDF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 남녀의 피부온 비교 (A comparision study on the variation of skin temperature on the adult male. female at environmental temperature)

  • 심부자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9-59
    • /
    • 1997
  •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gning male's and female's clothes, healthy males and females(five each)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temperature($20{\pm}1.0^{\circ}C$, $28{\pm}1.0^{\circ}C$, $32{\pm}1.0^{\circ}C$) in the nude. Their adaptation of skin temperature, physiological responses( rectal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rates) and psychological reactions(thermal, comfort and perceptive sweaty sensations)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subjects's skin temperature had a similar look of adaptation, but the stability of skin temperature differed at tha $20{\pm}1.0^{\circ}C$ and at the $28{\pm}1.0^{\circ}C$ Males had higher skin temperature at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but females showed a higher temperature change at the $20{\pm}1.0^{\circ}C$ and $28{\pm}1.0^{\circ}C$ and males at the$32{\pm}1.0^{\circ}C$ Thus females were more resistant to the cold, while males were more resistant to the heat. As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rectal temperature and pulse rates also grew up. Females turned higher in rectal temperature and lower in blood pressure, but both sexes had a normal range of physiological reactions. Even though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were same changes in thermal sensation at $28{\pm}1.0^{\circ}C$and in perceptive sweat sensation at $32{\pm}1.0^{\circ}C$, two sexes had the same response in comfort sensation at the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 PDF

김치액의 색상에 의한 배추 김치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by Instrumentally Measured Color Values of Kimchi Juice)

  • 노홍균;이명희;이명숙;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70
    • /
    • 1992
  • 김치의 숙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김치의 숙성과정 중 자연적으로 유출되는 김치액의 색상 변화를 색차계를 이용해서 측정하고, 또한 이들 결과를 성분분석과 관능적인 평가와 비교 조사하였다. 성분분석과 관능검사 결과는, 16$^{\circ}C$에서 숙성 3일째 김치의 숙성 적기 pH인 4.3에 달하였으며 이때 비타민 C 및 carotenoids 함량도 거의 최고치에 달하고 신맛과 조직감도 적당하였다. 숙성온도 4$^{\circ}C$에서는 숙성 6일후에도 미숙단계에 있었다. 숙성온도 16$^{\circ}C$에서 김치액의 $L^{*}$ 값은 숙성기간 중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a^{*}$ 값은 숙성 4일까지는 상승하다가 이후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b^{*}$ 값은 숙성 3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김치액량, pH 및 산도는 김치액의 $L^{*}$ 혹은 $b^{*}$ 값과, carotenoids 함량은 다만 $a^{*}$ 값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김치액의 색상으로 김치의 숙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a^{*}$ 혹은 $b^{*}$ 간을 지표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즉, $a^{*}$ 값이 담금 초기와 비교해서 동등 혹은 낮은 값을 나타내거나 $b^{*}$ 값이 거의 변화가 없을 때는 과숙기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었다. 김치의 적숙기를 예측하는 한 방법으로 $a^{*}$$b^{*}$ 의 비( $a^{*}$ / $b^{*}$ )를 이용할 수 있었다. 즉, $a^{*}$ / $b^{*}$ 의 비값이 1이상 흑은 1에 가까울 때는 미숙기, 0.8 부근 일때는 적숙기, 0.8보다 작아 질수록 적숙기에서 과숙기로 점차 옮아감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