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dB

검색결과 2,434건 처리시간 0.036초

Anti-Melanogenic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us and Its Active Components via Protein Kinas e A/Cyclic Adenos ine Monophosphate-Responsive Binding Protein-an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ediate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Downregulation

  • Bohyun Yun;Ji Soo Kim;Jung Up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4-104
    • /
    • 2022
  • Dendropanax morbiferus H. Lev has been reported to have some pharmacologic activities and also interested in functional cosmetics. We found that the water extract of D. morbiferus leaves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induced B16-F10 cells. D. morbiferus reduced melanogenesis-related protein levels, such as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RP-1, and TRP-2, without any cytotoxicity. Two active ingredients of D. morbiferus, (10E)-9,16-dihydroxyoctadeca-10,17-dien-12,14-diynoate (DMW-1) and (10E)-(?)-10,17-octadecadiene-12,14-diyne-1,9,16-triol (DMW-2) were identified by testing the anti-melanogenic effects and then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alysis. DMW-1 and DMW-2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ogenesis by the suppression of protein kinase A (PKA)/cyclic AMP (cAMP)-responsive binding protein (CREB) and p38 MAPK phosphorylation. DMW-1 showed a better inhibitory effect than DMW-2 in α-MSH-induced B16-F10 cells. D. morbiferus and its active component DMW-1 inhibited melanogenesis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cAMP, p-PKA/CREB, p-p38,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 morbiferus and DMW-1 may be useful ingredients for cosmetics and therapeutic agents for skin hyperpigmentation disorders.

  • PDF

수중코오너리프렉터의 초음파반사특성에 관한 연구 (Ultasonic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ater Corner Reflector)

  • 이대재;신형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1983
  • 레이다에서 전파반사표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코오너리프렉터를 수중 초음파반사표지로 응용하기 위하여, 코오너리프렉터의 수중초음파반사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28,50,75K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았고, 반사지향성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예리하였다. 2. 직경이 150mm이고, 코오너각이 15$^{\circ}$, 30$^{\circ}$, 45$^{\circ}$, 60$^{\circ}$, 90$^{\circ}$인 코오너리프렉터의 최대반사강도는 각각 -25.0dB, -17.2dB, -15.2dB, -13.4dB, -11.0dB로서, 코오너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주엽 수는 코오너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3. 직경이 80mm이고, 코오너각이 90$^{\circ}$인 코오너리프렉터를 2,3,4,5,6,7개씩 음속축을 중심으로 간격없이 평면배열한 경우에 있어서, 반사강도는 각각 -18.2dB, -16.5dB, -15.4dB, -14.3dB, -13.4dB, -12.9dB로서, 이론치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코오너리프렉터수의 평방근에 비례하였다. 4. 직경이 80mm인 코오너리프렉터의 방향각(0,$\theta$sub(a))이 0$^{\circ}$, 2.5$^{\circ}$, 5$^{\circ}$, 7.5$^{\circ}$, $10^{\circ}$, 12.5$^{\circ}$인 경우, 반사강도는 각각 -21.2dB, -21.9dB, -23.4dB, -26.0dB, -30.0dB, -36.8dB로서, 방향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사강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이중공진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ual-Frequency Microstrip Patch Antenna)

  • 장준영;김준모;윤영중;엄순영;전순익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15-52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위성통신에서 단일 안테나로 송수신하기 위하여 12.5 GHz와 14.25 GHz 대역에서 각각 동작하 는 이중공진 안테나를 껄계 제작하고 특성을 살며보았으며, 이중 급천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기폰의 단일 급전 방 식 이중공진 안테나의 문제점인 송수신 신호의 분리 및 단일 편파 특성율 보완하였다. 이중급전 안테나의 방사소 자 경우 방사체의 폭과 길이는 각각의 단일 공진 안테나의 길이가 되고, 급전선의 청합의 경우에는 상대 급천선 에 의한 임피던스의 변화를 최소화시켰다. 또한 이를 배열 안테나로 확장시 공간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 이크로스트립선로와 동축선로를 혼합한 급전방식을 사용하여 이차원 $2\times2$ 배열 안테나를 껄계 제작하고 방사때 턴 및 주파수 특성 동을 측정하여 두 공진 주파수로 각각 사용 가능함올 확인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살펴보면 공진주파수는 셜계치에서 1.44 % 이하의 오차를 보였으며, 반사손실의 경우 -21 dB 이하의 값올 나타냈으며, 두 포트간 격리도는 또한 -21 dB 이하의 값올 나타냈다. 측정된 방사때턴으로부터 계 산된 directivity는 12.23 dBi를 나타냈으며, 사이드로브 레벨은 elevation 명면은 -12 dB 이하, azimuth 명면 은 -15 dB를 이하의 값을 나타냈다. 또한 교차 편파특성의 경우 elevation 명면과 azimuth 평면 모두 -17 dB 이하의 값을나타냈다.

  • PDF

0.35um-CMOS 저잡음 VGA (A 0.35um-CMOS low noise VGA)

  • 정규영;한건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197-200
    • /
    • 2000
  • This paper proposes a CMOS low noise VGA. It describes the noise optimization method of the proposed VGA. The designed VGA provides of a 0 to 21.30dB gain variation and its bandwidth of 49MHz. The input reflected noise voltage is 4.84nV/sqrt-hz at 1MHz and noise figure is 14.53dB(Rs=50 Ω). The VGA was fabricated using a 0.35-${\mu}{\textrm}{m}$ CMOS technology.

  • PDF

30 GHz 세라믹 패키지의 제작 및 측정

  • 서재옥;김진양;박성대;이우성;강남기;이해영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2년도 추계기술심포지움논문집
    • /
    • pp.147-151
    • /
    • 2002
  •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 millimeter-wave ceramic package in a frequency range from 6 to 40㎓ using the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Technology and TRL(Thru-Reflect-Line) calibration method. From these measurement results, the fabricated feed-through structure achieved 0.5 dB, 14 dB of the insertion loss and the return loss at 30 GHz respectively. This ceramic package will be useful for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odules.

  • PDF

Dentatins: Sesquiterpene Glucosides from lxeris dentata

  • Chung, Ha-Sook;Woo, Won-Sik;Lim, Sook-J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7권5호
    • /
    • pp.323-326
    • /
    • 1994
  • Three new sesquiterpene lactone glucosides named dentatins A, B and C were isolated from lxeris dentata and the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3{\betha}, {\;}8{\betha}-dihydroxy-(1{\alpha}, 5{\alpha})guainan-10(14)-ene-6{\alpha}, {;\}12-olide-3-O-{\betha}-D-giucopyuranoside{\;}(1), {\;}3{\betha}, {\;}8{\betha}-dihydroxy-(1{\alpha}, {\;}5{\alpha})-guaian-4(15), {\;}10(14)-diene-6{\alpha}, {\;}12-plide-3-O-{\betha}-D-glucopyranoside{\;}(3)$,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spectral evidence.

  • PDF

2차원 전기영동 영상의 단백질 반점 정합을 위한 비대칭 확산 모형 (Asymmetric Diffusion Model for Protein Spot Matching in 2-DE Image)

  • 최관덕;윤영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6호
    • /
    • pp.561-574
    • /
    • 2008
  • 2차원 전기영동 영상 분석 프로그램의 반점 검출 단계는 영상 분할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겔 영상을 반점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반점 영역을 반점 형태 모형에 정합하여 다음 단계에 필요한 반점 정보를 정량화한다. 현재 영상 분할 알고리즘으로는 분수령 기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반점 형태 모형으로는 가우스 모형, 확산 모형이 있다. 확산 모형이 가우스 모형보다 실제의 반점 형태에 좀 더 가깝기는 하지만, 반점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x-축과 y-축에 대해서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인다. 반점이 비대칭적 형태인 이유는 2-DE 처리가 통상 이상적인 환경 하에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단백질이 완전히 확산되지 못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대칭 확산 모형을 제안한다. 비대칭 확산 모형은 초기에는 단백질이 하나의 원으로부터 확산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x-축과 y-축에 대해서 비대칭적으로 확산된다고 가정한 모형이다. 실험으로서 19개의 겔 영상에 대해서 세 모형별로 반점 정합을 수행하고 세 모형의 비교를 위해서 SNR의 평균을 구하였다. 실험결과인 SNR의 평균은 가우스 모형이 14.22dB, 확산 모형이 20.72dB, 비대칭 확산 모형이 22.85dB이었다. 실험결과로써 비대칭 확산 모형이 가우스 모형과 확산 모형에 비해서 반점 정합에 보다 더 효율적이며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Highly Linear Wideband LNA Design Using Inductive Shunt Feedback

  • Jeong, Nam Hwi;Cho, Choon Sik;Min, Seungwoo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00-108
    • /
    • 2014
  • Low noise amplifier (LNA) is an integral component of RF receiver and frequently required to operate at wide frequency bands for various wireless system applications. For wideband operation, important performance metrics such as voltage gain, return loss, noise figure and linearity have been carefully investigated and characterized for the proposed LNA. An inductive shunt feedback configuration is successfully employed in the input stage of the proposed LNA which incorporates cascaded networks with a peaking inductor in the buffer stage. Design equations for obtaining low and high impedance-matching frequencies are easily derived, leading to a relatively simple method for circuit implementation. Careful theoretical analysis explains that input impedance can be described in the form of second-order frequency response, where poles and zeros are characterized and utilized for realizing the wideband response. Linear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because the inductor located between the gate and the drain decreases the third-order harmonics at the output. Fabricated in $0.18{\mu}m$ CMOS process, the chip area of this wideband LNA is $0.202mm^2$, including pads. Measurement results illustrate that the input return loss shows less than -7 dB, voltage gain greater than 8 dB, and a little high noise figure around 6-8 dB over 1.5 - 13 GHz. In addition, good linearity (IIP3) of 2.5 dBm is achieved at 8 GHz and 14 mA of current is consumed from a 1.8 V supply.

평행 결합선로 이론에 근거한 새로운 집중 소자형 방향성 결합기 (Novel Lumped Element Backward Directional Couplers Based on the Parallel Coupled-Line Theory)

  • 박준석;송택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036-1043
    • /
    • 2003
  • 본 논문은 평행 결합 선로의 집중 소자형 등가회로를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 설계 이론을 제안하였다. 이 등가 회로는 단지 자기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만을 가지며 이로 인해 정확한 집중 소자형 등가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평행 결합선로의 등가회로와 등가 파라미터 추출식은 평행 결합 선로와 이 등가회로의 우$.$기 모드 특성의 등가관계를 이용하여 유도하였고, 본 논문에서 제시된 평행결합선로의 각 집중소자 등가회로 모델로 3 dB, 10 dB 방향성 결합기를 설계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LTCC 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다층구조을 갖는 칩형태의 2 GHz대 집중소자형 방향성 결합기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등가회로 구조를 사용하여 설계하고, 상용 전자장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설계 결과를 검증하였다.

남성 성악가의 음도고정시 강도 변화와 강도고정시 음도 변화의 공기역학 및 성대접촉율의 변화 (Changes in Aerodynamic Function and Closed Quotient with the Variable Pitch and Loudness in Male Classic Singers)

  • 남도현;백재연;김재옥;박선영;최홍식
    •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3-33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aerodynamic functions (mean airflow rate MFR, subglottal pressure Psub) and closed quotients (CQs) in the fixed pitch (C3, E3, G3, C4) with the variable loudness (70 and 80 dB) as well as in the fixed loudness at 70 dB and 80 dB with the variable pitch (C3, E3, G3, C4) in five classic male singers (Baritone). Results showed that MFR significantly increased at C3, E3, and G3 and Psub significantly increased at C4 when the loudness increased from 70 to 80 dB. At 70 dB, MFR and Psub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Q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pitch increased from C3 to C4. At 80 dB, MFR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pitch increased from C3 to G3. However, Psub showed the significant decrease with the pitch increased at 80 dB. In conclusion, as the loudness increases, the aerodynamic loss is getting higher and vocal efficiency becomes lower at low pitch than at higher pitch. At a low loudness level, the main mechanism to control loudness is the amount of medial compression of the vocal folds rather than the aerodynamic function. In addition, the aerodynamic function and medial compression of the vocal folds have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the loudness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