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th Science textbook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sim}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Illustrations of Science Textbook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Biology Section of 3rd-6th Grades)

  • 정충덕;오홍식;최진석;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39-644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해 양국 교과서에 나타난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삽화의 종류를 분석하고 각각의 삽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한국과 미국 교과서에서 모두 삽화의 종류로는 사진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 그림, 만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사진 자료 다음으로 그림 삽화가 많았고, 만화를 중간에 삽입하여 아동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도록 하였다. 반면 미국 교과서에서는 사진 자료 다음으로 도해가 많아 한국에 비해 교과 내용에 대한 설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삽화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3-6학년 모두에서 자료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동기유발, 실험안내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사진 위주의 삽화 보다는 더 다양한 형태 삽화를 제시하는 것이 교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삽화의 역할에 있어서도 자료 제공 뿐만이 아니라 동기 유발과 실험 안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의 다양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범주별 분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on Category)

  • 구수정;최돈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7
    • /
    • 1992
  • ln this study, we analyzed 5 science textbooks currently used for the 7th graders quantitatively by using the science textbook rating system of Collette and Chiappetta(1986), making meta-analysis of the results of 17 graduate school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ating system consists of 11 categories with detailed items respectively : content, organization, reading level, instruction approach, illustrations, end-chapter teaching aids, laboratory activities in text and/or accompanying manual, teacher aids, indices and glossaries and mechanical makeup of text. Each item in the checklist is to be given between one and five points and the total number of possible points in this rating system is 290. It was shown that 5 science textbooks currently used for 7th-year-students were all "poor" in terms of total points and had, at large, uniformed results especially in 10 items; 7 items concerning mor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science, vocabulary lists, accompanying laboratory manual, annotated editions for test, supply list for laboratory program, student workbook and glossary with low points, while 3 items concerning facilities needed for laboratory activities, activities relevant to the content and textbook size with high points. A Science teachers could get a broad view with a correct impression of the books usefulness in making an evaluation of available textbooks.

  • PDF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끓는점 측정 방법 분석 및 개선점 제안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Method of Boiling Point Measurement describ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노을;장낙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446-456
    • /
    • 2015
  • 2009 개정 7학년 과학 1 교과서에 제시된 끓는점 실험을 할 때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방법의 오류를 확인한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2009 개정 7학년 과학 1 교과서 9종에 제시된 끓는점 측정 실험을 분석하여 끓는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았더니 온도계의 종류, 가열 도구, 마개 밀폐 여부, 온도계의 위치, 가열 용기의 모양, 물질과 가열용기의 부피비와 같은 6종류의 요인을 확인하였다. 물질의 끓는점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할 때, 둥근바닥 플라스크의 10%만 물질로 채운 후 MBL 온도 센서를 가지 부근에 위치하게 하고, 마개를 막아 핫플레이트로 가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9 개정 7학년 과학 1 교과서 9종과 비교하였더니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수정되어야 할 점이 많은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끓는점 측정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이해도를 높이고 오개념을 방지하기 위해 과학 1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실험들이 보다 정확하게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과 탄자니아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삽화 비교 연구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Tanzania)

  • 강정문;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47-3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inserting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enforced in all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erences in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in Tanzania and Korea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 of producing illustrations. There are not only some differences in rate of the kinds and role of the illustrations in grades, but also in both countries. In Korea textbooks, Photographs were mainly used to guide the students into experiments and to train the students in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In contrast, the Tanzania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pictures to enhance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and understand. The Korea textbooks have to place more various illustrations instead of photos but the Tanzania textbooks should place more photos.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ore diverse forms of illustr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topic should be considersd in future Korea and Tanzania textbooks.

한국과 핀란드 초등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ystem and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 권치순;조한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4-141
    • /
    • 2011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and contents in the 3rd-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The analysis of the types and illustrations in the Korean and Finnish textbook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of both counties provide many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so as to deliver data mainly in the form of realistic illustration. In Korean textbooks, photographs were mainly used to guide the students into experiments and to train the students in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In contrast, the Finnish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pictures and photographs to enhance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and understand. The Korean textbook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pictures in order to encou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nterest and understand.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ore diverse forms of illustr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topic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textbooks.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유지연;이지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53-561
    • /
    • 2011
  • In this study, the illustrations in 16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gender-role stereotyping,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frequencies of male and female who appeared on textbook illustrations were counted, and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characters of them were analyzed. Most pupils were found to be active, and female pupils appearing in the textbooks were more than male pupils. In all types of activities for pupil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le and female pupils were illustrated in learning activities with almost equal frequencies, but male pupils were still more frequently represented than female pupils in other activities. Gender difference in adults wa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houseworks was not large, but the difference in outdoor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jobs of adults were illustrated as male-centered, and scientists appearing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were also mostly male.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Analysis of Inquiry Tasks in Earth Unit of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 김정률;김명숙;박예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01-510
    • /
    • 2005
  •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학습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탐구 과제가 제7차 교육 과정의 목표에 따라 제시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11종 과학 교과서의 기본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탐구 과제의 유형과 기본 탐구 기능, 통합탐구 기능, 탐구 활동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제시된 탐구 기능과 활동이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제는 평균 24.0개가 제시되었으나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고 제시하는 유형이 달랐다. 탐구 활동의 빈도는 교과서마다 달랐고 제시된 것보다 더 많이 분석되었으며 통합적인 활동으로 제시되지 않고 하나의 탐구 기능처럼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탐구 기능은 $77.2\%$로 기본 탐구 기능 $22.8\%$보다 많은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 기본 탐구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의 분포 비율은 각각 $45.6\%$$56.4\%$로 조사되었다. 각 탐구 기능 중에서는 추리$(49.5\%)$와 자료해석$(68.7\%)$이 가장 많이 있었고,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일반화 등의 탐구 요소는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본질적 의미와 일치하지 않거나 협소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교육 과정이 탐구,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조작적 수준으로 제시하고, 탐구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에 대한 개념과 물질변화에 대한 개념 분석 (The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Basic Unit of Matter Properties and Matter Change in Science Textbooks)

  • 류오현;백성혜;김동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3-6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 중 분자에 대한 개념과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로 대변되는 물질변화 개념의 변천을 과학사적으로 고찰하여 특징적인 관점의 변화에 따라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를 과학사적 변천에 따라 5가지 관점으로 유목화하였다. 그리고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의 정의는 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3가지 관점으로 유목화하였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 그리고 대학교 일반화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을 분석한 결과, 분자의 정의와 물질 변화의 정의 안에는 이러한 여러 시대의 정의들이 혼재된 상태로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술 자체에 논리적 모순점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제 4차 과학 교육과정에서부터 제 7차 과학 교육과정까지의 과학 교과서에서 지속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II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 분석: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 on 8 Science Practices)

  • 전영;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59-68
    • /
    • 2016
  • 최근 과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소양의 함양은 과학 지식이 형성되는 일련의 탐구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연구회(NRC)의 차세대과학기준(NGSS)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과정 경험과 이해를 돕기 위하여 8가지 과학 실천(8 Practices of Science)을 제안하였고, 8가지 과학 실천 각각에 대하여 학년 군별 세부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II교과서 4종에 포함된 탐구 활동을 8가지 과학 실천과 9-12학년군 세부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4종의 화학II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은 총 173개 이고 분석된 과학 실천은 총 678개 이었다. 4종 화학II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은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가 가장 많았고,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의사소통하기’등은 상대적으로 그 기회가 부족하였으며,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와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물질 영역의 발문 유형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 최미숙;김용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47-357
    • /
    • 2012
  • The focus of this dissertation i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dissertation a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closed questions than open questions in thes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oth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Cognitive-memory ques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asked in all grade levels. In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Convergent thinking questions presented with higher rate than the 7th Curriculum.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and evaluative thinking questions was presented with a relatively lower rate than the 7th Curriculum. Question types were appl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rather than on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