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0 ml salin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5초

Nucleotides가 세포막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Nucleotides on the Membrane Permeability)

  • 이중우;정성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1호
    • /
    • pp.13-21
    • /
    • 1989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 the action of various nucleotides on membrane permeability of rat red blood cell and hepatocyte for $Na^{+}$ and $Rb^{+}$ ii) the characteristics of purinoceptors on these cell membranes. Blood from Sprague-Dawley rats was obtained by carotid arterial cannulation. Red blood cells were then washed 3 times with saline at $4{\circ}C$. Hepatic parenchymal cells were isolated from rat livers by using a modification of the Berry and Friend (1969) method. For the $Na^{+}$ influx studies, isolated RBC and hepatocyte were incubated in incubation medium containing $^{22}Na^{+}0.2\;{\mu}Ci/ml$ at $37^{\circ}C$. After various time intervals samples were removed from the incubation flask and washed out 3 times with ice-cold washing solutions. Cells were destroyed by adding Triton X-100 and TCA solution.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s were assayed for $^{22}Na^{+}$ by gamma counter. $^{86}Rb^{+}$ was used to simulate $K^{+}$ in these $K^{+}efflux$ studies. Isolated hepatocytes were incubated for 60 min in the loading solution containing $^{86}Rb^{+}\;10\;{\mu}Ci/ml$ at $37^{\circ}C$. After loading, the cells washed out 3 times by centrifugation with washing solution. The cells were incubated in buffer solution at $37^{\circ}C$. At intervals thereafter, samples were removed and centrifuged. The supernatants were analyzed for $^{86}Rb^{+}$ by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1) ATP and ATPP increased in both $^{22}Na^{+}$ influx and $^{86}Rb^{+}$ efflux in the red blood cell. Although AD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RBC membrane permeability for $^{22}Na^{+}$ and $^{86}Rb^{+}$,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2) The Significant changes in $^{22}Na^{+}$ and $^{86}Rb^{+}$ flux by ATP were also demonstrated in hepatocyte. ATPP and AD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hepatocyte membrane permeability for both ions. 3) Other nucleoside triphosphates-ITP, GTP and CTP-did not change in membrane permeability for $^{22}Na^{+}$ and $^{86}Rb^{+}$ in RBC and hepatocyte. In conclusion, not only ATP but also ATPP activate purinoceptors and change in membrane permeability for $Na^{+}$ and $K^{+}$. In order to activate purinoceptors on the cell membrane, the nucleotides have to possess intact adenine moiety and three phosphates or more in its molecule.

  • PDF

Safety and Efficacy of a Mouth-Rinse with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Patients with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 Wang, Lin;Huang, Xin-En;Ji, Zhu-Qing;Liu, Meng-Yan;Qian, Ting;Li, 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413-418
    • /
    • 2016
  • Objective: To assess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 mouth-rinse with G-CSF (JiSaiXin, produced by NCPC Biotechnology Co., Ltd) in treating patients with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CIM). Method: A consecutive cohort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s and CIM were treated with mouth-rinse G-CSF. All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s was adopted from regimens suggested by NCCN guidelines. The mouth-rinse with G-CSF at a dose of 150-300ug plus 100ml-500ml normal saline was started from the time of oral mucositis was confirmed and continuously used for at least 7 days as one course. After at least two courses of treatment, safety and efficacy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7 female and 7 male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nd CIM recruited into this study, including 5 with colorectal, 2 with lung, 1 patient with gastric, 1 with cervical and 1 with pancreatic cancer, as well as 2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s, 1 with nasopharyngeal and 1 with gastric cancer. The median age was 57 (41-79) years. Grade 1 to 2 myelosuppression was observed in 3/14 patients, and Grade 4 myelosuppression in 1/14. Adverse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re documented in 5/14 patients, and were Grade 1 to Grade 3. No treatment related death was documented. Regarding CIM, the median response time to mouth rinse of G-CSF was 2 (1-5) days, and all patients with CIM demonstrated a positive response. Conclusions: Mouth-rinse with G-CSF proved to be safe and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s and CIM. However,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with other lesions.

조절 T세포에 미치는 치자(梔子)의 효과 (Research on the Effect of Gardeniae Fructus on Regulatory T Cell Stimulation)

  • 서산;정희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200
    • /
    • 2010
  • Objectives : Regulatory T cells can reduce inflammation and allergic reactions through their inhibitory functions. Gardeniae Fructus(GF) is a Heat-clearing herb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a wide range of studies on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are being carried out.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 that Gardeniae Fructus has on regulatory T cells. Methods : The authors screened 14 herbs for their effects on regulatory T cells. 100mg of each herb were separately dissolved in 1ml of sterile saline and the supernatant was harvested after 10 minutes of centrifuge at 15,000 rpm.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0.2 ${\mu}m$ syringe filter, and the resulting stock was refrigerated at $4^{\circ}C$. The stock was diluted before testing and used at a final concentration of $0.01{\mu}g/ml$. CD4+CD25+ T cells from healthy BALB/c spleens were used as natural regulatory T cells (nTreg), and CD4+CD25- T cells were used as reactive T cells. CD4+CD25+ and CD4+CD25- T cells were activated with anti-CD3e ($10{\mu}g/m{\ell}$)/anti-CD28 ($1{\mu}g/m{\ell}$) and cultured. IL-10 from supernatant of the culture medium was measured by IL-10 cytokine ELISA. The percentages, cell numbers, phenotype and function of CD4+CD25+ Treg cells were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Results : Gardeniae Fructus was shown to be the most potent herb among the 14 herbs tested for suppressing CD4+CD25-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by stimulating CD4+CD25+ natural regulatory T cells. Gardeniae Fructus induces IL-10 secretion increase by stimulating CD4+CD25+ natural regulatory T cells, and indirectly suppresses CD4+CD25-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creasing CD25 (IL-2 receptor $\alpha$) expression and thus promoting bonding with IL-2. Gardeniae Fructus did not directly affect CD4+CD25-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s : Gardeniae Fructus suppressed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ing increases in IL-10 secretion and CD25 (IL-2 receptor $\alpha$) expression.

도축장 유래 산양난자의 단위 발생 유기 방법에 따른 체외 발달 ($In$ $Vitro$ Development of Goat Parthenogenetic Oocytes Derived from Different Activation Methods)

  • 윤윤진;박경진;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2
    • /
    • 2012
  • Efficient oocyte activation is a key step for the success of nuclear transfer in cloning. Ionomycin sequentially combined with 6-DMAP is now widely used to activate normal oocytes for analytical studies of oocyte activation and to activate reconstructed oocytes after nuclear transf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ources of oocytes, duration of ionomycin and 6-DMAP, laser and electric stimulation in goat oocyte activa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protocols. Goat ovaries were collected in individual abattoirs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were delivered to the laboratory within 6 h in saline with 100 IU/ml streptomycin and 0.05 mg/ml penicillin. The oocytes were denuded from the cumulus cell by pipetting with 0.2% hyaluronidase in PBS at 20~22 hr post maturation. Oocytes with the polar body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four groups for parthenogenetic activ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duration of ionomycin treatment, oocytes after 20~22 hr of maturation were treated with 2.5 uM ionomycin for 1 or 5 min times and then cultured in 2 mM 6-DMAP for 2 or 4 hr. The activated oocytes were cultured in mSOF at $38.5^{\circ}C$ in $CO_2$ 5%, $O_2$ 5% and $N_2$ 90% multi incubator.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was observed at 48 hr and day 8 of culture $in$ $vitro$, respectively. Activation rates of oocytes exposed to ionomycin for 1 min(86.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treated for 5 min(74.3%) duration. This indicated that 1 min ionomycin treatment was most suitable for activation of goat oocytes. The duration of 6-DMAP treat duration was in 2 mM 6-DMAP for 2 hr after 1 min exposure to 2.5 uM ionomycin. The activation rate of oocytes incubated in 6-DMAP for 2 hour(82.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ocytes treated with 4 hr(75.5%).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에 의한 브로콜리의 검은썩음병 (Black Rot of Broccoli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 이승돈;이정희;김선이;김용기;이용훈;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34-138
    • /
    • 2006
  • 2003년부터 2004년 평창 지역의 브로콜리 포장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유묘 감염이 되었을 때 떡잎의 주위로부터 검게 변색되기 시작하여 결국 떡잎이 떨어지고 유묘는 죽었다. 성체에서는 잎 가장자리로부터 엽맥을 타고 진전되어 V 자 또는 U 자형의 노란색 병반을 형성하였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 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 한후 3 주 동안 자란 브로콜리, 양배추, 배추, 케일, 무에 가위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 및 16S rDNA 염기서열를 이용하여 분리세균 SL4797 과 SL4800 을 대조균주 X. campestris pv. campestris NCPPB528 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유사하였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브로콜리의 검은썩음병 최초 보고이다.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예후인자 (The Predictors of Effectiveness on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into Loculated Pleural Effusion.)

  • 송기산;방제소;곽승민;조철호;박찬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21-628
    • /
    • 1997
  • 연구배경 : 흉막의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 흉막의 혈관 및 임파관의 투과성의 증가로 인한 혈장단백질의 유입으로 인해 흉막 비후와 격막의 형성으로 인하여 소방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 있어 흉막강내 섬유소용해 치료의 하나로 유로키나제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효과 예측을 위한 지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생화학적 지표들과 초음파검사상의 격막의 정도를 이용하여 유로카나제 치료효과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4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인하병원에서 소방이 형성된 흉막삼출액 소견을 보인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 초음파검사와 흉막삼출액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1개의 경피적 도관을 삽입하여 배액량이 100ml/day 이하로 감소되면 유로키나제를 주입하였고 배액량이 50ml/day 이하로 측정되면 유로키나제 주입을 중단하였다. 흉부단순촬영 추적검사에서 50% 이상의 폐실질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효과군으로, 50% 미만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실패군으로 분류하여, 각군들에 대한 초기 흉막 삼출액의 당, 단백질, LDH, ADA, pH, 백혈구 수와 초음파 상의 격막 정도를 무에코형, 선상 격막형, 벌집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35명중 치료효과군은 27명 (77.1%)이었고, 치료실패군은 8명(22.9%)였으며, 성과 연령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었다. 2) 치료효과군과 치료실패군 사이의 증상발현 기간에 있어서 치료실패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유로키나제 주입치료 기간중의 배액량도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치료효과군에서 $89.7{\pm}35.9mg/dl$, 치료실패군에서 $41.2{\pm}47.1mg/d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LDH는 치료효과군에서 $878.7{\pm}654.3IU/L$, 치료실패군에서 $2711.1{\pm}973.1IU/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P<0.05), 단백질, pH, ADA, 백혈구수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경피적 도관 삽입을 통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증상발현 기간이 길수록, 흉막삼출액의 당이 낮을수록, LDH 의 수치가 높을수록, 초음파 검사상 격막의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가 어려운 것을 나타내는 예측인자임을 추정할수 있었다.

  • PDF

Glomerular Filtration Rate 검사방법 및 가이드라인 (Glomerular Filtration Rate Test Methods and Guidelines)

  • 박민호;이하영;류화진;유태민;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2권2호
    • /
    • pp.97-100
    • /
    • 2018
  •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검사는 사구체의 여과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신장기능과 그 기능의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다. 사구체의 혈액 여과 작용은 신장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여과 장벽을 구성하여 체내에 필요한 혈구와 단백질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크기가 작은 물질이나 수분, 노폐물은 자유롭게 통과시킨다. 하지만 사구체의 여과기능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혈뇨 및 단백뇨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사구체의 기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 급성 사구체 신염, 만성 사구체 신염 등 신장질환이 발생하게 되고 GFR검사를 통해 사구체 기능의 정도를 판단하고 있다. GFR검사는 $^{51}Cr$-EDTA으로 방사선의약품을 만들어 정맥주사를 하고 경과시간에 따라 EDTA Tube에 채혈하여 Plasma 내 방사능을 측정하여 결과 값을 도출해 낸다. 따라서 진료과 및 병동에 통보하여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PET-CT, Bone Scan과 혈액에 영향을 주는 투석 및 수혈은 GFR검사와 병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통보하고 있다. 검사방법으로는 먼저 $^{51}Cr$-EDTA 2 mL와 생리식염수 5 mL를 잘 혼합하고 혼합된 용액 중 5 mL로 환자에게 주입 할 방사성 의약품을 만든다. 먼저 주사 전 주사무게를 측정하고 환자의 정맥에 주사를 시행하고 난 뒤 주사 후 주사무게를 측정한다. 채혈은 총 2번 시행되고 성인의 경우에는 주입 후 3시간, 5시간 뒤, 소아의 경우 주입 후 2시간, 5시간 뒤 EDTA Tube에 5 mL채혈한다. 채혈 된 검체는 3300rpm에 5분간 원심분리 시키고 Plasma $500{\mu}L$를 Test tube에 분주하여 Sample rack에 준비해 둔다. Standard용액 제조방법은 200 mL Volumetric flask에 표시된 눈금까지 Diluent water를 채워주고 난 후 $500{\mu}L$을 버리고 $^{51}Cr$-EDTA $500{\mu}L$를 주입한 후 잘 혼합해준다. 제조 된 Standard 용액은 2개의 Test tube에 각각 $500{\mu}L$씩 분주하고 측정대상인 환자의 Plasma와 함께 Gamma Counter로 계측한다. 계측으로 얻은 CPM과 환자의 신장, 체중, 주사 전 후 무게 등을 GFR함수식에 입력하여 결과 값을 도출해 낸다. Reference range는 남성은 $119.5{\pm}30.3ml/min/1.73m^2$ 이고 여성은 $125.2{\pm}28.2ml/min/1.73m^2$ 설정되어 있지만 본원에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97.0ml/min/1.73m^2$ 이상일 경우 신장이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GFR검사 결과 값에 따라 신장기능의 정도가 반영 되기 때문에 병행하지 않아야 할 검사들과 주의사항을 준수한다면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단기간의 당섭취 증가가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tely Increased Glucose Uptake on Insulin Sensitivity in Rats)

  • 김용운;마인열;이석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53-66
    • /
    • 1997
  • 인슐린 저항성이란 인슐린의 생물학적 효과가 감소하는 상태를 말하며 당뇨병의 중요한 병리기전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적인 요인이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제까지 가장 잘 알려진 인슐린 저항성의 유발인자로는 고혈당과 고인슐린증이 있다. 장기간의 고혈당이나 고인슐린증은 가장 중요한 인슐린의 작용조직인 골격근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결합능을 감소시키고 당섭취에 필요한 제 4형 당수송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인자는 모두 골격근에서 당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인슐린 저항성은 말초조직이 세포내로의 과도한 영양소 섭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시키는 조절기전일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당섭취 증가가 더 이상의 당섭취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흰쥐에서 2시간 동안 다양한 조건으로 당섭취를 유도하고 1 시간의 휴식기간을 가진 후 인슐린 예민도를 측정하고 골격근을 분리하여 인슐린 수용체와 제 4 형 당수송체를 분석하여 당섭취량과 인슐린 감수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인슐린 수용체 결합능과 제 4형 당수송체량을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전에 시행한 당섭취의 조건으로써 5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제 I 군은 대조군으로 생리식염수만 주입하여 기초상태의 인슐린 농도와 혈당을 유지하였으며, 제 II 군은 somatostatin과 포도당을 주입하여 정상 인슐린농도와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며, 제 III 군은 포도당을 주입하여 고인슐린증과 고혈당을 유지하였고, 제 IV 군은 인슐린(100 mU/kg/min)과 포도당을 주입하여 초고인슐린증(${\sim}4000{\mu}U/ml$)과 정상혈당(~100 mg/dl)으로 유지하였으며, 그리고 제 V 군은 인슐린과 포도당을 주입하여 초고인슐린증과 고혈당(~200 mg/dl)을 유지하였다. 체중, 공복시 혈당 및 인슐린 농도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전에 주입한 포도당의 총량(gm/kg)은 제 II 군이 $1.88{\pm}0.151$, 제 III 군이 $2.69{\pm}0.239$, 제 IV 군이 $3.54{\pm}0.198$, 그리고 제 V 군이 $4.32{\pm}0.621$이었다.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의 평형상태 당제거율(mg/kg min)은 제 I 군이 $16.9{\pm}1.74$, 제 II 군이 $13.5{\pm}0.53$, 제 III 군이 $11.2{\pm}0.52$, 제 IV 군이 $13.2{\pm}0.92$, 그리고 제 V 군이 $10.4{\pm}0.41$로 전체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각 군간의 비교에서 제 II, III, IV, V 군의 값이 제 I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전체 실험동물에서 포도당 주입량과 당제거율 사이에 역상관관계 (r=-0.701, p<0.001)를 보였다. 인슐린 수용체 결합과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제 4형 당수송체량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단기간의 당섭취 증가가 더이상의 당섭취를 억제할 수 있으나 인슐린 수용체 결합과 제 4형 당수송체의 숫적 감소없이 발생하였다.

  • PDF

간세포 지향성 Galactosylated Chitosan 화합물의 표지 수율 향상 및 세포 독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abeling Efficiency and Cytotoxicity of Hepatocyte-targeting Galactosylated Chitosan Compounds)

  • 김대응;정환정;김은미;김세림;강윤희;김민우;김창근;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78-283
    • /
    • 2005
  • 목적 :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99m}Tc$-GC을 합성해 생체내 분포를 확인했다. 그 결과 GC은 고도의 간 특이성을 보였으며, 간 특이 영상을 위한 방사성 의약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99m}Tc$-GC는 표지 수율과 안정성 면에서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GC를 메틸화하는 방법과 HYNIC의 도입을 통해 표지수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 그와 함께 이 화합물들의 세포 독성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합성한 GC, GMC, GCH를 $^{99m}Tc$로 표지하고 상온과 사람 혈청에서 표지 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6시간까지 시행하였다. 각 화합물을 0, 0.5, 1, 1.25, 5, 10, 25, 100 ${\mu}g/ml$ 농도로 첨가한 HeLa와 HepG2 세포를 18시간동안 배양한 뒤 세포 생존능을 MTT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결과 : 표지 후 실온에서의 안정성 실험을 한 결과 이동상으로 아세톤을 사용한 경우 $^{99m}Tc$-GC는 15분에 96%, 1시간에 88%였고, $^{99m}Tc$-GMC는 15분, 1시간. 6시간에서 각각 100%, 97%, 89%의 향상된 표지율을 보였고 $^{99m}Tc$-GCH는 6시간까지 95% 이상을 보여 안정성이 보다 더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동상으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한 경우 $^{99m}Tc$-GC는 15분, 1시간에 73.9%, 72%를 보였고, $^{99m}Tc$-GMC의 경우 15분, 1시간, 6시간에서 96.3%, 95.8%, 75.6%의 표지율을 보였다. $^{99m}Tc$-GCH는 90% 이상의 표지 안정성을 보였고, 사람 혈청에서 6시간까지 95.7%의 표지율을 보였다. MTT를 시행한 결과. 각 화합물을 처리한 세포주의 생존능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저자들은 GC를 메틸화하는 방법과 HYNIC의 도입을 통해 새로운 간세포 특이적 지향성을 갖는 키토산 화합물을 합성하였고, 이 화합물들은 $^{99m}Tc$으로 표지할 때 향상된 표지 수율과 뛰어난 표지 안정성을 보였다. 그리고 각 화합물들의 세포 독성 역시 원래 키토산과 의의있는 차이가 없이 매우 낮은 정도임을 증명하였다.

죽력(竹瀝)과 천축황(天竺黃)이 Streptozotocin으로 당뇨가 유발된 백서의 혈당강하 및 말초신경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Bambusae concretio silicae on Blood Sugar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Peripheral Nerve Function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박수곤;배길준;이욱재;김선종;정민영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3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Bambusae concretio silicae on blood sugar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peripheral nerve function in diabetic rat models. Methods Diabetic rat models induced by streptozotocin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e fed experimental group I of rats basal diet and administered normal saline (3 ml, 1 time/1 day) for 6 weeks. We fed experimental group II of rats basal diet and administered Bambusae caulis in liquamen (100 mg/kg, 1 time/1 day) for 6 weeks. We fed experimental group III, IV, V of rats basal diet and administered Bambusae concretio silicae (100 mg/kg, 200 mg/kg, 400 mg/kg once a day) for 6 weeks. We investigated weight and glucose level of rats, and carried out touch test, hot plate test, sensory &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test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after 48 hours, 2 weeks, 4 weeks and 6 weeks. Results 1. The weight of all experimental group was gradually decreased. An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III, IV, V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 Especially experimental group II, IV, V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II. 2.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touch test and hot plate test, mechanical pain threshold and heat pain threshol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 Especially experimental group II, IV, V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II. 3. In the sensory an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test, sensory an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 Especially experimental group II, IV, V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II. 4. In the substance P immunohistochemical study, experimental group II, IV, V showed strong immune response in spinal cord. Conclusions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Bambusae concretio silicae were probably useful to treat patients with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