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5T

검색결과 22,061건 처리시간 0.054초

자기공명영상에서 자장세기와 시퀀스에 따른 아티팩트 변화 (Metal Artifact Caused by Magnetic Field Strength and Sequence on T1WI-MRI)

  • 고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02-308
    • /
    • 2010
  •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체내 금속물에 의한 강자성 인공물(Ferromagnetic artifact)이 발생하여 많은 영상의 왜곡을 초래 한다. 본 연구는 T1 강조영상의 자장 세기와 시퀀스에 따른 수술시 인체 내에 사용되는 금속물의 왜곡을 분석하여 영상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퀀스와 금속물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SIEMENS사의 1.5T와 3.0T를 이용하였고, Ti+Al, Stainless, Nitinol 금속물을 팬텀 내에 각각 위치시켜 시퀀스별 SE(Spin Echo), TSE(Turbo Spin Echo), VIBE, Flash T1 강조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을 통해서 금속물질 주변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 정도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임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금속물에서 강자성 허상이 발생 하였는데, 그 중 TSE 시퀀스와 Nitinol 금속물에서 가장 작은 아티팩트가 발생하였다. TSE 시퀀스와 Nitinol이 사용된 1.5T 영상에서 면적 0.97 cm2, 장축 0.76 cm, 단축0.72 cm로 왜곡 정도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금속을 체내에 삽입한 환자의 검사를 위해서 3.0T 보다 1.5T 자기공명영상 장비를 사용하고, TSE 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이 T1 강조영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사료조성 차이가 돼지 생산 및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eeding Dietary Difference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in Finishing Pigs)

  • 진상근;김일석;송영민;하경희;이성대;김회윤;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5
    • /
    • 2003
  • 비육후기 돼지(LY $\times$ D, 90 kg 전후) 사료에 C는 대조구로 우지 5%, T1은 우지 3%에 들깨유를 2%우지 대체하였으며, T2는 T1에 비타민 E($\alpha$-tocopheryl acetate)를 250 ppm 첨가하였다. T3는 우지 3%에 오징어유를 2% 우지 대체하였으며, T4는 T3에 비타민 E를 250 ppm 첨가하였다. T5는 우지 3%에 CLA 2% 우지 대체 첨가 급여한 돼지의 생산 및 도체형 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 증체량은 T2와 T3가 다른 구들보다 높았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T2와 T3가 각각 3.71, 3.80으로 다소 양호하였다. 생체에서 등지방두께는 개시 체중시에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출하체중 시에는 C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두꺼워 개시체중 대비 출하체중 시의 등지방두께 증가폭 역시 C가 넓었다. 배최장근 단면적은 개시체중 시나 출하체중 시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증가면에서는 T5가 T2에 비해서 약 2배 정도인 13.35 $\textrm{c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혈액 중 Triglyceride함량은 C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으며, T3, T4, T5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콜레스테롤 대비 HDL-콜레스테롤 비율은 비타민 E를 첨가하지 않은 구보다 첨가한 구들이 높게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AI: Atherogenic index)는 T3가 가장 높고 T2가 가장 낮았으며, 들깨유와 오징어유에 비타민 E 첨가로 낮아졌다. 도체형질에서 지육율과 등지방두께 및 등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등급에 있어 T2는 4.67, C와 T3는 4.29, T1과 T5는 4.00 수준이었다.operational requirements and typical plasma parameters have been determined. Large arrays of individual tiny sources can be used to form large-area, atmospheric-pressure plasma sources. The simplicity of the method and the capability of operation without the need for the usual vacuum system and its associated limitations, provide a highly attractive option for new approaches to many different kinds of plasma applications, including plasma surface modification technologies. Here we review the background work that has been carried out in this new research field.row$물엿으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red에 가까웠다. b값(Yellowness)은 전처리한 동아 300g에 물 1$\ell$, 물엿 475$m\ell$을 넣고 5시간 동안 제조한 군이 가장 높아 yellow에 가까웠고 전체적으로 물엿$\longrightarrow$설탕과 꿀$\longrightarrow$물엿과 설탕으로 제조한 정과의 순으로 yellow에 가까웠다. 5. 관능검사에서 단단하다고 평가된 정과가 색도에서 적색도가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색이 좋다고 평가된 정과가 색도에서 붉은 빛과 황색을 나타냈다. 관능검사의 단단한 정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wss)은 기계검사의 Texture인 최대절단력(Maximum

버섯잔사 첨가급여가 육성기 한우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nt Mushroom Substrates Addition on Eating Behavior of Growing Hanwoo)

  • 이상무;황주환;윤용범;곽완섭;김영일;문상호;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7-118
    • /
    • 2008
  • 본 실험은 NDF 및 ADF 함량이 높은 버섯폐배지(버섯잔사)에 대한 볏짚 대체 가능성을 채식 행동 관점에서 검토할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사료인 농후사료+볏짚(Control: 5.32kg+자유채식), 농후사료+버섯폐배지+볏짚(T1 : 5.32kg+0.82kg+자유채식) 및 농후사료+버섯폐배지+ 볏짚 (T2 : 5.32 kg+1.64 kg+자유채식)를 급여하여 채식 행동 조사를 하였다. 공시가축은 평균체중 357.0+2.9kg인 한우 18두를 이용하였으며, 사료급여에 있어서는 농후사료와 버섯페배지는 1일 2회로 반량씩 급여하였으며 볏짚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볏짚 채식량은 Control구가 2.66kg으로서 가장 높게, T2구가 2.03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 총채식량 및 NDF 채식량은 T2 > T1 > Control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채식시간은 Control구가 289.3분, T2구가 290.5로 비슷했고 T1구가 236.0분으로 가장 적었다(p<0.05). 반추시간에 있어서는 버섯폐배지 첨가량을 0%(0.0kg), 15%(0.82kg) 및 30%(1.64kg)로 증가 시켜줌에 따라 반추시간은 451.0분에서 359.5분으로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는 버섯폐배지의 사료입자 크기가 매우 작았던 것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1일 저작시간, 식괴수, 저작회수와 식괴당 저작수 및 사료가치지수는 볏짚을 급여한 대조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식괴당 반추시간은 T2(69.4분)에서, 분 당 식괴수는 T1구(1.07번)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성에 있어서는 버섯폐배지 첨가 급여구(T1, T2)가 무첨가 급여구(Control)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채식량과 버섯폐배지의 작은 입자도가 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군 행동은 모든 구(Control, T1 및 T2)에서 농후사료 급여시에 통일된 행동을 보였고, 반추 및 휴식에 있어서 군 행동은 처리 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육성우 배합사료에 버섯폐배지 15% 및 30%를 첨가 급여함으로서 반추시간, 식괴수, 저작수 및 FVI치는 다소 낮은 결과치를 보였으나, 채식행동에 큰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며, 오히려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에 있어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첨가구가 높았던 점을 감안 할 때 한우 육성우 조사료원으로서 대체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우 수송아지에 대한 황토, 일라이트, 올리고당, 활성탄 및 크롬 급여가 성장발육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wangto, Illite, Oligosacharides, Charcoal powder and Chromium picolinat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Eary Weaned Hanwoo Calves)

  • 강수원;조창연;김준식;안병석;정하연;서국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31-540
    • /
    • 2002
  • 한우 수송아지에 대한 육성기 항병력 증진물질 투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75일령에 이유된 한우수송아지 30두를 대상으로 사료내 항병력 증진물질 첨가 종류에 따라 6개 처리(T1: 관행사육, T2: 황토 2%첨가, T3: Illite 2% 첨가, T4: Oligosacharides 0.04% 첨가, T5: Charcoal powder 2% 첨가, T6: Chromium picolinate 0.1% 첨가)를 두어 3개월령부터 7개월령까지 12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 처리구별 일당 증체량은 T3, T6, T4, T5, T2 및 T1이 각각 0.92, 0.90, 0.90, 0.88, 0.83 및 0.82kg으로 Illite 및 크롬은 이유직후 송아지의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쳤으나 가공되지 않은 황토급여는 성장발육에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육성기 120일간 1일 평균 농후사료 섭취량 및 체중대비 섭취비율은 각각 3.91${\sim}$4.15kg, 평균 4.03kg 및 3.1${\sim}$3.31%, 평균 3.21%였고, 1kg 증체에 소요된 TDN 량은 3.20${\sim}$3.57kg, 평균 3.35kg으로 T5, T3, T6, T4, T2 및 T1 순으로 우수하였다. 송아지의 혈청 내 IgG 농도는 처리구별로 10.2${\sim}$11.6mg/$m\ell$ 내에서 변화하여 정상 축에서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었지만, T3 및 T5는 개시시에 비해 각각 6.9 및 2.8% 증가하였으며, 질병발생은 처리구별로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로 볼 때, 점토광물인 Illite는 다른 항병력 증진물질과 마찬가지로 어린 송아지의 발육 및 사료이용성을 증진시키지만 가공되지 않은 황토의 급여는 발육 및 사료이용성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accharomyces cerevisiae partially to completely ameliorates the adverse effects of aflatoxin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buffalo diet

  • Singh, Ram;Koo, Jin Su;Park, Sungkwon;Balasubramanian, Balamuralikrishn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1호
    • /
    • pp.73-81
    • /
    • 2021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Saccharomyces cerevisiae ameliorates the adverse effects of aflatoxin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In this study, five groups (T1: Control [basal feed]; T2: T1 + 300 ppb aflatoxin B1 [AFB1] and T3, T4, and T5: T2 with 0.05, 0.1, and 0.2% of S. cerevisiae, respectively) were prepared and incubated in vitro. The results revealed that truly degradable dry matter (TDDM), gas production (GP), microbial biomass production (MBP), truly degradable organic matter (TDOM), partitioning factor (PF), total volatile fatty acids (TVFA), acetate (A), propionate (P) and butyrate (B) values in the control group (T1) were higher (p < 0.05) than those of the AFB1 fed group (T2). The A : P ratio in the control group (T1) was reduced (p < 0.05)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T2 group. The TDDM, TDOM, GP, TVFA, A, P, and B values of T3, T4, and T5 improve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S. cerevisiae; however, the values of group T5 were lower (p < 0.05)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values of MBP, A : P ratio and PF in group T5 were statist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the inclusion of S. cerevisiae (0.05 to 0.20%) to the AFB1 (300 ppb) contaminated feed partially to completely ameliorated the adverse effects of AFB1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木瓜片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이지연;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6-39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st favorable recipe for Mokwapyun. The ingredients were changed in a variety aspects. The kind and amount of sugar and starch are following: white sugar, brown sugar, honey(4T, 5T); white sugar and honey, brown sugar and honey(2T+2T, 3T+1T, 3T+2T). There are potato starch and mungbean starch. In this, the amount of starch to water are 4t to 3t and 5t to 3t. The moisture content of Mokwa was 76.2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41~50%, and the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38~47%. The pH of Mokwa juice was 3.15~3.43. The brix of Mokwa juice was 5.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43.1~45.9%, and the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was 40.1~46.5%. Mokwapyun tasted the best when it was made of potato starch(starch to water=4t to 3t) mixed white sugar(3T) and honey(1) than that of made of one kind of sugar, and was higer evaluated the texture.

  • PDF

$\delta$$^{15}$ N을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 중의 질산염 오염원 조사 (Estimation of Nitrate Sources in Cheju Island Groundwater using $\delta$$^{15}$ N)

  • 송영철;고용구;유장걸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7-110
    • /
    • 1999
  • 제주도 지하수중 질산염농도가 높은 지점을 선정하여 1995년부터 1996년까지 4차에 걸쳐 질소안정등위원소의 자연존재를 측정하고. 오염원별 기여율을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학비료에 의한 영향이 뚜렸하게 나타나는 지점은 T-3, L-1. O-1∼O-4. F-2∼F-5. G-2의 11개소로써 화학비료 질소성분이 지하수 질산염농도 중 약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동물성 유기물질에 의한 영향이 많은 지하수는 T-4, T-5. G-2지점 3개소이며, T-4, T-5지점은 생활하수에 의한 영향으로, G-2지점은 쓰레기매립장 침출수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또한. 화학비료와 동물성 유기물질에 의한 영향을 비슷하게 받는 지하수는 T-1, T-2. L-2. F-1지점 4개소로 조사되었다.

  • PDF

우모를 이용한 taurine 강화 계란 생산

  • 이승민;임희석;백인기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9-120
    • /
    • 2003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feather meal(FM) and its digest on the taurine content and performance of laying hens.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810 78-wk-old ISA-Brown layers for 5wk. The experiment consisted of nine dietary treatments ; T1 ; control(basal diet), T2;Tl + feather meal(FM) 6 % diet, T3;T2 + pyridoxin(21 mg/kg) supplemented diet, T4; T1 + H$_2$O$_2$treated FM 6%, T5; T4 + pyridoxin(21 mg/kg) supplemented diet, T6; T1 + cystine(0.25 %) supplemented diet, T7; T6 + pyridoxin(21 mg/kg) supplemented diet, T8; T1 + synthetic taurine supplemented(0.25%) diet, T9; T1 + synthetic taurine supplemented(0.5 %) diet.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caloric and to meet NRC(1994) requirements of essential nutriente. Birds in treatments T3 showed significantly higher(P<0.01)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egg weight, haugh unit and eggshell strength than those fed other treatments. Supplementation of FM. H$_2$O$_2$treated FM and cystine with or without pyridoxi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taurine content of egg yolk. Only synthetic taurine supplemented diets(T8 and T9) linearly increased(P<0.01) taurine content of egg yolk.

  • PDF

Inhibitory Effect of Dihydroartemisinin, An Active Ingredient of Artemisia annua, on Lipid Accumulation in Differentiating 3T3-L1 Preadipocytes

  • Jang, Byeong-Churl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
    • /
    • 2020
  • Objectives: Artemisinin and its derivatives extracted from Artemisia annua, a Chinese herbal medicine, have variable biological effects due to structural differences. Up to d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dihydroartemisinin (DHA), a derivative of artemisinin,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adipogenic and lipolytic effects of DHA o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Oil Red O staining and AdipoRed assay were used to measure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TG) content in 3T3-L1 cells, respectively. Cell count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ytotoxicity of 3T3-L1 cells. Western blot and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protein and mRNA in 3T3-L1 cells, respectively. Results: DHA at 5 μM marked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reduced TG content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with no cytotoxicity. Furthermore, DHA at 5 μM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α (C/EBP-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fatty acid synthase (FAS), and perilipin A as well as the phosphorylation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3 (STAT-3)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Moreover, while DHA at 5 μM had no effect on the mRNA expression of adiponectin, it strongly suppressed that of leptin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However, DHA at 5 μM had no lipolytic effect on differentiated 3T3-L1 cells, as assessed by no enhancement of glycerol release.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HA at 5 μM has a strong anti-adipogenic effect o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through the reduced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C/EBP-α, PPAR-γ, FAS, perilipin A, and STAT-3.

단파 및 혼파초지에서 Orchargrass ( Dactylis glomerata L. ) 품종의 방목반응 II. 목초이용율 , 일반성분함량 및 식생구조 변화 ( Response of Orchargrass ( Dactylis glomerata L. ) Vatieties to Grazing Monocultures and Mixed Pastires II. Changes of herbage utili

  • 신재순;서성;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5-222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spons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rneruta L.) varieties to grazing at the condition of monocultures and mixed pastures on the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at Suwon from Sep. 1989 to Oct. 1991. The varieties of orchardgras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otomac, Hallmark and Syn. No. 2 as a early maturing type, and Lidacta, Rancho and Syn. No. 10 as a late maturing typ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Herbage utilization of mixture with Hallmark variety(T2) was the highest as 78.2% and that with Rancho variety(T5) was the lowest as 70.2%. but there was no difference(P>0.05). Mixtures with early maturing varieties(T1, T2 and T3) were higher as 77.4% than those with late varieties(T4, T5 and T6) as 72.9% in herbage utilization. In monocultures Rancho variety(T5) was the highest as 68.6% and Lidacta variety(T4) was the lowest as 58.8%, and mixtures with early maturing varieties(T1, T2 and T3) as 66.6% were higher than those of late(T1, 72 and 73) as 64.6%. 2.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of 6 mixed pastures ranged from 19.7% to 22.8%, and those of ether extracts, crude fiber, crude ash and nitrogen free extract were 6.6 to 7.5%, 24.9 to 26.2'76, 1 1.5 to 1 1.9% and 33.6-35.4 8, respectively, But there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P>0.05). In monocultures, significant difference by variety was observed in crude protein content(P<0.05). 3. In botanical composition, there was just a little different among 6 mixtures, having 90% or more in grass percentage. The percentages of each orchardgrass varieties were decreased, but those of perennial ryegrasses were increased as grazing sesson was progressed in all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