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5T

검색결과 22,094건 처리시간 0.042초

뇌졸중 환자의 기능평가에 대한 연구 -Modified Barthel Index 및 PULSES Profile에 의한 평가성적을 중심으로- (A Study of Functional Evaluation in Stroke Patients)

  • 안중국;임혜현;안소윤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4권1호
    • /
    • pp.43-57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980 to March, 9991 to the 40 subjects who were admitted to Kosin Medical Center and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discharged under the impression of stroke. The objectives are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activites of daily living and comprehensive function and find the statu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by Modified Barthel Index and PULSES Profile when first requested or rehabilitation treatment(T1), at 2 weeks after rehabilitation treatment(T2), at discharge(T3) and at the time of ambulatory treatment after 2 weeks(T4). The study materials were clinical charts and functional evaluation shee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21 subject$(52.5\%)$ were male, 19 subjects$(47.5\%)$ were female, and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19 to 70 in age, the average age was 52.7. By the classification of diagnosis, 21 subjects$(52.5\%)$ were cerebral hemorrhage, 8 subjects$(20.2\%)$ were cerebral thrombosis, 6 subjects$(15.0\%)$ were cerebral embolism, and 5 subjects$(12.5\%)$ were cerebral infarction. The Barthel Index scores were 35.7, 54.5, 71.8, 88.7 on the average at T1, T2, T3, T4 respectively. The PULSES scores were 16.4, 13.7, 11.4, 8.7 on the average at T1, T2, T3, T4 respectively. Regard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arthel Index scores and the PULSES scores, it was -0.7991(P>0.001) at T1 and -0.8986(P>0.001) at T3, then beth of correlations were very high.

  • PDF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다층 네트워크를 확장한 확률 기반의 IoT 관리 모델 (Probability-based IoT management model using blockchain to expand multilayered networks)

  • 정윤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3-39
    • /
    • 2020
  • 최근 LTE보다 빠른 속도와 안정을 가진 5G 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5G 통신 보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5G는 현재까지 이질적인 영역이 서로 포함되어 있어서 보안 영역에 대한 문제들을 아직 완벽하게 지원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은 5G 환경에서 IoT 장치의 인증을 블록체인에 적용한 확률 기반의 IoT 관리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IoT 장치의 인증을 확률적 이론과 물리적 구조를 효율적으로 융합하기 위해서 n 계층의 IoT 사용자를 n+1 계층과 n-1 계층의 관리자가 쌍방향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2개의 랜덤키를 역으로 사용한다. 제안 모델은 5G 환경의 IoT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확률적 기반으로 IoT 정보를 계층화시킨 후 IoT 정보를 가중치에 적용하여 그룹핑된 IoT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안 모델은 5G 네트워크를 계층화된 다층 네트워크로 분할하기 때문에 기존 블록체인보다 향상된 기능을 가진다.

STUDY ON THE TENSOR PRODUCT SPECTRUM

  • Lee, Dong Hark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06
  • We will introduce tensor product spectrums on the tensor product spaces. And we will show that ${\sigma}[P(T_1,T_2,{\ldots},T_n)]=P[({\sigma}(T_1),{\sigma}(T_2){\ldots},{\sigma}(T_n)]={\sigma}(T_1,T_2{\ldots},T_n)$.

  • PDF

농경학적(農耕學的) 입장(立場)에서 본 서기(西紀) 2,000년(年)까지의 비료수요(肥料需要) 전망(展望) - 종합고찰(綜合考察) - (Prediction of fertilizer demands up to the year of 2,000 from agronomic view points - Review and Discussion -)

  • 홍종운;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1-220
    • /
    • 1976
  • 서기(西紀) 2000년(年)까지의 비료(肥料) 소요량(所要量)을 농경학적(農耕學的) 측면(側面)에서 예측(豫測) 하기 위하여 작물(作物) 영양생리(營養生理) 면(面)에서의 예측치(豫測値),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면(面)에서 본 예측치(豫測値), 그리고 경지(耕地)의 내외연적(內外延的) 확대(擴大)에 따르는 비료(肥料) 소요량(所要量)의 변동(變動) 예측치(豫測値)들을 종합(綜合)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농업경제연구소(農業經濟硏究所)의 식량경제(食糧經濟) 문제(問題)의 종합적(綜合的) 분석(分析)에서 제시(提示)한 2000년(年)까지의 식량(食糧) 생산량(生産量) 예측치(豫測値)에 준(準)한 작물(作物) 생산(生産)을 위(爲)해 필요(必要)한 작물(作物)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 흡수량(吸收量)을 근거(根據)로 예측(豫測)한 값은 1980년(年) 1.162천(千)톤(N ;554.1천(千)톤, $P_2O_5$; 360.1천(千)톤, $K_2O$;247.8천(千)톤) 1900년(年) 1,471.4천(千)톤 (N; 694.8천(千)톤, $P_2O_5$;465.4천(千)톤, $K_2O$;311.2천(千)톤), 2000년(年) 1,764천(千)톤(N;812.5천(千)톤 $P_2O_5$; 592.3천(千)톤, $K_2O$;359.2천(千)톤)이였다.${\cdots}{\cdots}$ (제(第) I 안(案)) 2) 최근(最近)의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수량(收量) 변동(變動) 추세(趨勢)로부터 2000년(年)까지의 작물별(作物別)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수량(收量)을 예측(豫測) 하고 이들 수량(收量)을 올리는데 필요(必要)한 비료(肥料)의 증가율(增加率)을 작물(作物) 수량(收量) 증가율(增加率)과 같게 취하면서 경지(耕地) 면적(面積)의 내외연적(內外延的) 확대(擴大)를 고려(考慮)한 2000년(年)까지의 비료(肥料) 소요량(所要量) 예측치(豫測値)는 1980년(年) 1,149.3천(千)톤(N; 603.7천(千)톤, $P_2O_5$; 305.5천(千)톤, $K_2O$; 240.1천(千)톤) 1990년(年) 1,551.1천(千)톤(N; 814.7천(千)톤 $P_2O_5$; 412.3천(千)톤, $K_2O$; 324.0천(千)톤), 2000년(年) 2,253.8천(千)톤 (N;1,183.8천(千)톤, $P_2O_5$; 586.4천(千)톤, $K_2O$;470.9천(千)톤)이였다(II안(案)) 3) 최근(最近)의 작물별(作物別) 단위(單位) 면적당(面的當) 수량(收量)과 단위(單位) 면적당(面的當) 시비량(施肥量)의 변동(變動) 추세(趨勢)를 동시(同時)에 고려(考慮)한 2000년까지의 비료(肥料) 소요량(所要量) 예측치(豫測値)는 1980년(年), 1,287.6천(千)톤 (N; 677.1천(千)톤, $P_2O_5$: 342.0천(千)톤 $K_2O$; 268.5천(千)톤) 1990년(年) 2,085.6천(千)톤(N; 1,096.7천(千)톤 $P_2O_5$; 553.9천(千)톤, $K_2O$;435.0천(千)톤), 2000년(年) 3,380.6천(千)톤(N; 1,777.8천(千)톤) $P_2O_5$;897.8천(千)톤 $K_2O$; 705.0천(千)톤) 이었다. (III 안(案)) 4) 제(第)I안(案)은 장차(將次) 쌀에 대(對)해서만 자급율(自給率) 100%를 도모(圖謀)하고, 여타(餘他) 작물(作物)에 대(對)하여는 대략(大略) 50%의 자급율(自給率)을 기대(期待) 할 때 실제(實際)와 가까운 가능성(可能性)이 있으나 이 같은 상황(狀況)은 바람직한 것은 아닌 것 같다. 5) 식량(食糧)의 자급율(自給率)을 최대한(最大限) 높이기 위(爲)하여 경지(耕地)의 내외연적(內外延的) 확대(擴大),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의 광범(廣範)한 보급(普及)이 따를 경우, 비료(肥料) 효율 증대(增大)를 위한 여러가지 기술(技術)들이 개발보급(開發普及)되면 제(第)II안(案)이 실현성(實現性)이 높고, 그 같은 기술(技術)의 보급(普及)이 미진(未盡)할 때는 제(第)III안(案)이 현실(現實)에 가까울 가능성(可能性)이 높다.

  • PDF

X-선에 대한 마우스의 내력 (Studies on Tolerance of Mice to X-rays)

  • 김정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5
    • /
    • 1963
  • A total of 220 adult male mice (18-20g) of the S.M. strain were divided into t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total-body X-ray irradiation doses used were 50 r, 100r, 200r, 400r, 600r, 800r, 1,000r, 1,200r, 1,400r, and1,600r. The respiratory arrest (mortality) caused by each irradiation doses were observed for 30 days. Relationships between irradiation doses and survival time and percentage of response were examined. From this experiment, a formula was obtained to express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factors, which may be presented as follows : {{{{{{{{P= { 10} over { SQRT { 2 pi } } INT _{ - INF }^{ p'} e-{(p'-50)^2 } over {200 }dp···(a) p'=100 LEFT { t^0.3- LEFT ( { { 16.9965} over {D-60 } } RIGHT ) ^{ { 1} over {2.5 } } } / LEFT { LEFT ( { 26372.43} over {D-81.86 } RIGHT ) ^{ { 1} over {2.5 } } -( { { 16.9965} over {D-60 } } RIGHT ) ^{ { 1} over {2.5 } } ···(b) p= { (D-60) t^0.75-16.9965} over {0.2186 t^0.75 +263.55434 }····(c) }} {{{{P= { 10} over { SQRT { 2 pi } } INT _{ - INF }^{ p'} e-{(p'-50)^2 } over {200 }dp···(a) p'=100 LEFT { t^0.3- LEFT ( { { 16.9965} over {D-60 } } RIGHT ) ^{ { 1} over {2.5 } } } / LEFT { LEFT ( { 26372.43} over {D-81.86 } RIGHT ) ^{ { 1} over {2.5 } } -( { { 16.9965} over {D-60 } } RIGHT ) ^{ { 1} over {2.5 } } ···(b) p= { (D-60) t^0.75-16.9965} over {0.2186 t^0.75 +263.55434 }····(c)

  • PDF

Quantitative T1 Mapping for Detecting Microvascular Obstruction in Reperfus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omparison with Late Gadolinium Enhancement Imaging

  • Jae Min Shin;Eui-Young Choi;Chul Hwan Park;Kyunghwa Han;Tae Ho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8호
    • /
    • pp.978-986
    • /
    • 2020
  • Objective: To compare native and post-contrast T1 mapping with 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imaging for detecting and measuring the microvascular obstruction (MVO) area in reperfus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 patients with acute MI who had undergone 1.5T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CMR) after reperfusion therapy. CMR included cine imaging, LGE, and T1 mapping (modified look-locker inversion recovery). MI size was calculated from LGE by full-width at half-maximum technique. MVO was defined as an area with low signal intensity (LGE) or as a region of visually distinguishable T1 values (T1 maps) within infarcted myocardium. Regional T1 values were measured in MVO, infarcted, and remote myocardium on T1 maps. MVO area was measured on and compared among LGE, native, and post-contrast T1 maps. Results: The mean MI size was 27.1 ± 9.7% of the left ventricular mass. Of the 20 identified MVOs, 18 (90%) were detected on native T1 maps, while 10 (50%) were recognized on post-contrast T1 maps. The mean native T1 values of MVO, infarcted, and remote myocardium were 1013.5 ± 58.5, 1240.9 ± 55.8 (p < 0.001), and 1062.2 ± 55.8 ms (p = 0.169), respectively, while the mean post-contrast T1 values were 466.7 ± 26.8, 399.1 ± 21.3, and 585.2 ± 21.3 ms, respectively (p < 0.001). The mean MVO areas on LGE, native, and post-contrast T1 maps were 134.1 ± 81.2, 133.7 ± 80.4, and 117.1 ± 53.3 mm2, respectively. The median (interquartile range) MVO areas on LGE, native, and post-contrast T1 maps were 128.0 (58.1-215.4), 110.5 (67.7-227.9), and 143.0 (76.7-155.3) mm2, respectively (p = 0.002).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MVO area between LGE and native T1 maps, LGE and post-contrast T1 maps, and native and post-contrast T1 maps were 0.770, 0.375, and 0.565, respectively. Conclusion: MVO areas were accurately delineated on native T1 maps and showed high concordance with the areas measured on LGE. However, post-contrast T1 maps had low detection rates and underestimated MVO areas. Collectively, native T1 mapping is a useful tool for detecting MVO within the infarcted myocardium.

강낭콩을 첨가한 탁주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akju(Rice Wine) Added with Kidney Bean)

  • 박상순;윤진아;김제중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5-581
    • /
    • 2010
  • 강낭콩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탁주의 이화학적 물성변화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산의 경우, $T_{-5}$에서 산도가 0.70%로 가장 높았고, $T_{-6}$에서 0.50%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p<0.05). pH는 발효 종료 후 $T_{-1}$에서 3.82에서부터, $T_{-2}$에서 4.19로 주세법상 탁주 pH 범위인 3.8~4.7에서 벗어나지 않았다(p<0.05). 환원당의 경우, 발효 2일째 전체적으로 환원당 함량이 $T_{-1}$ 4.96에서 2.00%로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발효 종료 후 환원당 함량의 분포를 살펴보면 $T_{-1}$ 0.49에서부터 $T_{-7}$ 0.59%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고(p<0.05), 발효 6일째부터 12일째까지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알코올 생산량은 발효 직후 $T_{-1}$에서 17.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_{-2}$에서 13.83%로 가장 낮았다(p<0.05). 항산화 효과는 $T_{-1}$ 40.0%, $T_{-2}$ 57.0%, $T_{-3}$ 50.1%, $T_{-4}$ 47.0%, $T_{-5}$ 47.1%, $T_{-6}$ 46.0% 그리고 $T_{-7}$ 45.0%의 항산화 활성을 보이고 있으며, 강낭콩 함량이 높은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측정 결과, 단맛, 신맛, 조직감 그리고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각 시료간의 유의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강낭콩으로 담금한 탁주가 백미로 담금한 탁주에 비해 조직감과 선호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새로운 제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 펄스시퀀스을 이용한 1.5T와 3.0T MRI의 화학적 이동 인공물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hemical Shift Artifacts at 1.5T and 3.0T MRI using Gradient Echo Pulse Sequence)

  • 권대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531-537
    • /
    • 2016
  • 물과 지방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이동의 인공물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MRI parameter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MRI의 1.5T와 3.0T에서 parameter와 bandwidth 및 부호화 변화에 따른 영상을 스캔하여 SNR, CNR을 비교하였다. MRI 영상에서 물과 기름의 화학적 이동의 인공물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고, 3.0T보다 1.5T에서의 영상이 인공물이 비교적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ndwidth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인공물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MRI검사에서 화학적 이동의 인공물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주 자장의 세기가 약하고, bandwidth의 폭을 넓히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 광 혈전 뇌경색 모델에서 줄기세포 추적을 위한 자화강조영상 (Susceptibility Weighted Image for Stem Cell Tracking in Rat Photothrombotic Infarction)

  • 하본철;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49-256
    • /
    • 2010
  • 사람 중간엽 줄기세포(hMSCs)를 초상자성산화철(SPIO)로 표지하여, 체외에서 세포 농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알아보고, 흰쥐 광 혈전 뇌경색 모델에 이식하여 자기공명영상 기법 중, T2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 그리고 자화강조영상의 줄기세포 검출능을 분석하고, 병리 소견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체외실험은 SPIO(Feridex I.V.$^{(R)}$)로 표지한 줄기세포 $1.56{\times}10^4$, $3.13{\times}10^4$, $6.25{\times}10^4$, $1.25{\times}10^5$, $2.5{\times}10^5$, $5{\times}10^5$ 개/$m{\ell}$, SPIO로 표지 하지 않은 $5{\times}10^5$ 개/$m{\ell}$의 세포를 Control로 준비하여 $0.5m{\ell}$튜브에 담아 T2WI, $T2^*WI$, SWI sequence로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체내실험은 8마리의 흰쥐를 대상으로 정수리점(bregma)에서 우측으로 2.5mm, 뒤쪽으로 2.5mm 부위에 광 혈전 뇌경색을 만들고, SPIO-hMSC $2.5{\times}10^5$ 개/$m{\ell}$, $1m{\ell}$을 꼬리 정맥에 주입하여 실험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주입 전과 주입 후 1, 3, 7 그리고, 14일째 T2WI, $T2^*$WI, SWI 영상을 얻고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자기공명영상검사 후 흰쥐는 조직검사를 위해 희생시켰다. 체외실험 결과 CNR은 SWI, $T2^*WI$, T2WI 순으로의 높게 나왔고, 세포 농도에 따라서는 $2.5{\times}10^5$ 개/$m{\ell}$의 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체내실험에서 normal, infarction, SPIO 상호간의 CNR을 분석해본 결과 normal-infarction의 CNR은 T2WI가 가장 높게 나왔고, normal-SPIO 그리고 infarction-SPIO에서 CNR은 SWI, $T2^*WI$, T2WI순으로 나왔다. 따라서 흰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T2WI sequence는 infarction을 잘 표현해 주고, SWI는 SPIO로 표지한 줄기세포를 normal과 infarction으로 부터 잘 구별해 주었다. 현재 임상에서 SWI는 출혈, 석회화 병변등을 쉽게 찾아내는 sequence로 사용 되고 있지만 향후에 줄기세포 치료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주요방안으로 자리 잡을 때에도 이식된 줄기 세포를 관찰 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

한우 인공수정시 rbST 투여가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bST Administrations at Artificial Insemination on Conception and Parturition Rates in Hanwoo)

  • 한만희;최선호;최연호;김현종;조상래;최창용;류일선;손동수;연성흠;우제석;권응기;윤기영;장병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4
    • /
    • 2005
  • 본 연구는 정상 및 저수태 한우에 rbST를 투여하였을 때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축은 성빈 한우 383두와 임상적으로는 정상이나 3회 이상 수정시켜도 수태가 되지 않는 저수태 한우 79두, 총 462두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구 배치는 5개의 처리구, 즉 T1(무처리, 2ml의 생리 식염수), T2(rbST 250mg 수정시 1회 미근부에 투여), T3(rbST 250mg: 수정시 및 수정후 $10\~14$일째 2회 투여), T4(rbST 500 mg: 수정시 1회 투여) 및 T5(rbST 500mg: 수정시 및 수정후 $10\~14$일째 2회 투여)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호르몬과 병행 처리구는 Day 0일에 GnRH 100 ug/cow를 견갑부에 피하주사하고 Day 7일째 $PGF_2{\alpha}\;25mg/cow$를 주사하여 황체를 퇴행시키고, Day 9일째 GnRH 100ug/cow를 주사하여 배란 동기화를 유도하여 시험에 공시하였다. 1. 정상 한우에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처리하였을 때,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52.4\pm9.72\%)$에 비하여 $T2(67.5\pm18.48\%)$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수태우에서는 대조구$(39.3\pm12.89\%)$보다 $T4(63.3\pm5.77\%)$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다.(p<0.05). 또한, 정상 한우의 분만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수태우에서는 $T4(46.7\pm11.5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p<0.05). 2. Ovsynch 방법으로 발정을 유기하여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처리하였을 때,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T2에서 $12.5\%$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수태우에서는 $T4(80.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 율을 나타냈다(p<0.05). 3. 정상 한우에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각기 처리하였을 때, 임신 기간은 평균 $282.7\~284.8$일이었고, 또한 생시체중의 비교는 평균 $25.1\~25.9kg$으로서 처리 구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송아지의 암수 성비는 T4 처리구(18두 vs. 9두)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저수태 한우의 평균 임신 기간은 $280.4\~289.3$일로서 정상우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생시 체중의 조사 결과에서도 평균 체중이 $23.0\~26.6kg$으로서 각 처리구간에도 유의성은 없었다. 송아지의 암$\cdot$수의 성비는 T4 처리구(2두 vs. 8두)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저수태 성빈 한우에 rbST를 투여한 후 수태율과 분만율을 조사한 결과 인공수정시 정상우에서는 rbST를 250mg 1회 투여, 그리고 저수태 한우에 있어서는 rbST를 500mg을 인공수정시 1회 투여하였을 때가 다른 처리구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공수정시 일정량의 rbST투여는 한우의 수태 및 분만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