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형 당뇨병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36초

1형 당뇨병 청소년의 섭식장애 예측요인 (Predictors of Eating Disorders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 박혜련;주현옥;유재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49-45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eating disorders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with the goal of providing data in suppor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ir health. Methods: A total of 136 adolescents aged 13-18 years with type 1 diabetes completed the Diabetes Eating Problem Survey-Revised,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x^2$ test,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23.0 for Windows. Results: The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s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was 39%. Four significant predictors of eating disorders were identified; absence of body satisfaction (odds ratio [OR]=3.87, 95% confidence interval [CI]=1.55~9.65), depression (OR=2.87, 95% CI=1.13~7.28), female gender (OR=2.67, 95% CI=1.09~6.54), and glycosylated hemoglobin type A1c levels (OR=1.47, 95% CI=1.10~1.97).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eating disorders among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programs for managing adolescents' depression and improving their body satisfaction should be developed. Futhermore, more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s programs aiming to prevent eating disorders in female adolescents.

제2형 당뇨병 환자의 D-chiro-inositol의 혈당강하 효과와 당뇨 자가관리 및 삶의 질: 경로분석 (Effect of Glucose Control, SDSCA and Quality of Life of D-chiro-inositol(DCI)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Path Analysis)

  • 강영미;김현진;이태용;구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43-253
    • /
    • 2018
  • 본 연구 목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D-chiro-inositol(DCI)의 혈당강하 효과, 당뇨 자가관리(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SDSCA) 및 삶의 질(SF-36 Version 2.0, Korean)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에 내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에서 3제의 경구 혈당강하제를 12주 이상 투여 했음에도 불구하고 당화혈색소 7.0% 이상인 환자를 2015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24주간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으로 총 46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DCI 투여 이후 당화혈색소 $8.75{\pm}0.79%$(베이스라인), $8.36{\pm}1.03%$(투여 12주), $8.65{\pm}0.81%$(투여 24주)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대조군과의 변화량은 차이가 없었다. 흥미롭게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당뇨 자가관리 점수가 높아졌으며, 특히 실험군 변화량에서의 하부영역인 혈당검사 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삶의 질은 투여 전 $73.05{\pm}16.85$점에서 투여후 $82.74{\pm}10.68$점으로 향상되었다. DCI 투여에 따른 실험군에서의 요인간 경로분석에서 공복 혈당 변화량은 당뇨 자가관리 변화량이 높을수록(${\beta}=-0.505$, t=-2.743) 높다고 확인되었다. 삶의 질 변화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공복 c-펩타이드 변화량이 높을수록(${\beta}=-0.445$, t=-2.668), 당뇨 자가관리 변화량이 높을수록(${\beta}=0.411$, t=2.024)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DCI 투여는 투여 12주차에 혈당 강하 효과를 보이고, 24주차에는 없었지만, 혈당강하 효과는 환자의 당뇨 자가관리를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결과적인 지표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는 삶의 질에 대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제2형 당뇨병환자의 아연 영양상태와 당뇨병성 합병증 보유상태와의 관련성 (Relations between Zinc status, Diabetic Complication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 윤진숙;이정희;오현미;윤지영;이희자;이인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41-141
    • /
    • 2003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아연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당뇨병성 합병증 보유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구지역 33-69세의 제 2형 당뇨병환자 80명과 정상인 77명을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상태 및 신체계측, 생화학적 분석을 하였다. 당뇨병군의 평균 연령은 57.3세이었으며, 유병기간은 평균 8.7$\pm$6.4년이었다. 유병기간은 합병증 보유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 합병증 보유수가 1가지인 경우 평균 유병기간이 가장 길었고(16년), 다음으로 4가지 합병된 경우(약 11년), 2가지 합병된 경우(약 10년)의 순서였다. (중략)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하부요로증상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송효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71-7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n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LU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ethods: The cross sectional study was us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181 T2DM patients and their clinical data from a university hospital diabetes clinic from October 2010 to April 2012. LUTS were measured using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depression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from the clinical data. Results: Of all patients with T2DM, the mean IPSS of LUTS was $9.34{\pm}6.86$. Concerning the reported severity of LUTS, 53.6% of the subjects were in the moderate and severe group. In each symptom score of LUTS (range 0-5), nocturia was the highest 2.04, weak stream 1.62, and frequency 1.45. LUTS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HbA1c and depression, and 14.3% of the variance in LUTS was explained. Conclusion: HbA1c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LUTS in T2DM patients.

한국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변화, 체지방, 혈압 및 C-peptide/혈당 비 (Past and Present Obesity, Parameters of Body Fat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 박혜자;이인옥;김세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34-1043
    • /
    • 2001
  •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ast and present obesity among patients with NIDDM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body fat, blood pressure and C-peptide/glucose ratio according to obese diabetic patients (BMI$\geq$25 kg/$m^2$) and nonobese (BMI<25 kg/$m^2$). Also the final factor is to observe the anthrometric change patterns in the study. Method: The weight at 20 years-old, previous maximal body weight, and acute weight loss were queried. Current height, body weight, BMI, waist & hip circumferences, waist-hip ratio, skinfold thicknesse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and fasting C-peptide were measured in one hundred sixty-seven NIDDM patients. The differences of the parameters ccording to obese and nonobese, and three anthropometric change patterns were analyzed. Result: Results were as follows: 1. 66.5 % of the NIDDM patients had a history of past obesity as assessed by their maximum weight, while only 33.2% of them were currently obese (p's < 0.001). 2. The waist & hip circumferences, skinfold thicknesses, systolic, diastolic &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 obese patien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nonobese patients (all p's < 0.001). 3. The waist and the hip circumferences, and skinfold thicknesses (subscapula & triceps) were highest among the obese-obese group. WHR and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in the obese-obese and obese-nonobes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nobese- nonobese group. Systolic & diastolic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s in the obese-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obese-nonobese and nonobese-nonobese groups(all p's < 0.005). 4. The abdominal and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es in female diabetic patien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male patients (all p's <0.0001). Conclusion: Although most Korean NIDDM patients were previously obese, many of them were not obese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Greater central and upper body adiposicity and higher blood pressure was shown in obese diabetic patients. Also, greater central and upper body adiposicity was demonstrated in female diabetic patients.

  • PDF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군에 따른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 (Complications and Perinatal Factors According to the Birth Weight Groups in the Infants of Diabetic Mothers)

  • 손경란;백희조;조창이;최영륜;송태복;박천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5호
    • /
    • pp.447-453
    • /
    • 2003
  • 목 적 : 당뇨병 산모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거대아, 대사성 합병증, 선천성 기형 및 분만 손상 등의 주산기 유병률이 높아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에 따른 주산기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입원하였던 단태 임신의 당뇨병 산모와 그 신생아 중, 부당 경량아와 재태 연령 30주 미만의 환아를 제외한 301례를 대상으로 하여 산모에서는 체중과 신장, 분만력, 당화 혈색소치, 당뇨병의 분류 및 치료를, 그리고 신생아에서는 대사성 합병증, 분만 손상 및 심기형을 포함한 선천성 기형에 대해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아를 부당 중량아군(1군, 162명)과 적정 체중아군(2군, 139명)으로 나누어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대사성 합병증은 저마그네슘혈증(37.5%), 황달(21.3%), 저혈당증(11.0%) 및 저칼슘혈증(7.0%) 순이었으며, 분만 손상은 59명(19.6%), 동반된 선천성 기형은 동맥관 개존을 포함하여 75명(24.9%)이었고 심기형이 가장 많았다. 부당 중량아군(1군)과 적정 체중아군(2군) 두 군간의 주산기 합병증을 비교해 본 결과, 1군에서 2군에 비해 황달의 빈도(27.7% vs. 16.7%, P<0.05)와 저혈당증 빈도(15.6% vs. 7.4%, P=0.02), 빈호흡의 빈도(10.6% vs. 3.6%, P<0.05) 및 분만 손상의 빈도(24.1% vs. 14.5%. P<0.05)가 의의 있게 높았으며, 심실 중격이 두터웠다($5.5{\pm}3.1mm$ vs. $4.7{\pm}1.1mm$, P<0.05). 당뇨병 산모아의 출생 체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산기 인자를 비교해 본 결과, 1군에서 산모의 키와 임신 전 체중 및 임신 기간 중 체중 증가가 의의 있게 컸고(모두 P<0.01), 산모가 임신 기간 동안 임신성 당뇨를 인지하지 못했던 경우가 더 많았다(21.7% vs. 6.6%, P<0.01). 결 론 :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군에 따른 주산기 합병증은 부당 중량아군에서 적정 체중아군에 비해 황달, 저혈당증 및 분만 손상의 빈도가 의의 있게 높았고 심실 중격 두께가 두터웠으며, 산모의 키가 더 크고 임신 전 체중 및 임신 기간 동안 체중 증가가 컸으므로, 부당 중량아를 분만할 수 있는 고위험 임산부에 대한 주의 깊은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비타민 C 보충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및 항산화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tamin C Supplementation on Blood Sugar and Antioxidative Status in Types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 박형숙;이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0-178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al vitamin C supplements on blood sugar and antioxidative status in Types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Method: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June 24 to August 31, 2001. Participants(31) took 1g/day vitamin C for 4 weeks, after a 1 - week taking no Vitamin C, followed by Vitamin C 3g/day for 4 weeks. A baseline blood sample was obtained following a 12hour overnight fast and at the end of each 4week Vitamin C administration.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 fasting blood sugar, HbA1c,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for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dose(F=3.316, p=.043). Fasting blood sugar and HbA1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dose(F=13.192, p=.000; F=11.995, p=.000).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dose(F=486.138, p=.000; F=177.704, p= .000).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egadose vitamin C supplementation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on both glycemic control and antioxidant status. Thus dietary measures to increase plasma vitamin C may be an important health strategy for reducing the compliance of diabetic patients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Regulation of Blood Glucose in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 강희은;김선주;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93-502
    • /
    • 2012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가 인식하고 있는 구강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당화혈색소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제시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전신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2012년 1월 9일부터 2012년 3월 9일까지 만 40세 이상 제2형 당뇨병을 가진 환자 174명에게 설문지 조사와 $In2it^{TM}$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문제를 파악한 결과 구강점막질환 증상 중 '입 안 점막에 염증이 있다'와 '입 안 점막이 아프다', 치주질환 증상 중 '칫솔질 시 잇몸에서 피가 난다', 구강건조증 증상 중 '평상시 내 입 안은 마른다고 느낀다'를 가장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특히 당뇨병 유병기간이 길수록 입안점막질환과 치주질환의 증상 및 구강건조증 증상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혈당 조절을 위한 건강행동에 따라 당화혈색소 수준을 분석한 결과, 규칙적인 식사를 잘 실천하는 집단에서 당화혈색소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4.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라 당화혈색소 수준을 분석한 결과, '혀에 타는 듯한 느낌이 있다', '칫솔질 시 잇몸에서 피가 난다', '잇몸이 치아 뿌리 쪽으로 내려갔다' 및 '입에서 나쁜 냄새가 난다'를 인식한 집단에서 당화혈색소 수준이 더 높았다(p<0.05). 또한 구강건조증 증상 중 '나는 목이 말라 자다가 일어나 물을 마신다'에 응답한 집단에서 당화혈색소 수준이 더 높았다(p<0.05). 특히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치주질환 증상은 당화혈색소와 3번째로 강한 연관성을 보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혈당조절 정도는 다양한 구강건강문제와 관련성이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을 더욱 강화하고, 의료인력의 협진을 통해 구강 내 당뇨합병증을 최대한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치수 치근단 병소의 전구 위험요인으로서의 제 2 형 당뇨의 역할에 관한 소고 (THE ROLE OF TYPE 2 DIABETES AS A PREDISPOSING RISK FACTOR ON THE PULPO-PERIAPICAL PATHOGENESIS: REVIEW ARTICLE)

  • 김진희;배광식;서덕규;홍성태;이윤;홍삼표;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69-176
    • /
    • 2009
  • 당뇨(Diabetes Mellitus)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에 장애를 야기하는 질환으로 인슐린 의존성 여부에 따라 제 1 형과 제 2 형으로 분류된다. 본 종설은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제 2 형 당뇨가 치수 치근단 병소의 병인 과정에 전구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 하고자 문헌고찰을 통해 당뇨의 병인 과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에 관해 알아보고, 부가적으로 제 2 형 당뇨 쥐 모델에서 인위적인 치수 감염 후 얻은 치근단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제 2 형 당뇨 쥐에서 대조군에 비해 치수 치근단 병소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치수 염증 반응도 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당뇨 자체가 숙주를 감염에 취약한 상태로 만드는 전구 위험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첫째, 당뇨 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혈관 내 죽상 침착(atheromatous deposits)에 의해 혈관내벽의 두께가 두꺼워져 미세 순환의 장애는 물론 탐식 세포의 기능 저하, 면역 세포의 혈류 이동이 차단되어 치수 감염 시 쉽게 치근단 병소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고, 둘째 치수 혈관에서 특징인 측부 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의 부재에 따른 살균성 다형핵 백혈구의 활동 억제를 포함한 미세 혈관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치수 조직의 재생능이 저하되어 추가적인 감염원의 공격에 대한 방어 및 치유 저하를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제 2 형 당뇨 환자의 수복치료 시 치과의사는 당뇨조절 하에서 치수 조직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심한 처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