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형 당뇨병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5초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흡연여부에 따른 당화혈색소와 당뇨병성 만성합병증 (Glycated Hemoglobins and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based on the Smoking Statu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송민선;이미향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46
    • /
    • 2016
  • Purpose: This research seek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glycated hemoglobin (HbAlc) levels, and aspects of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in type 2 diabetes.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the 1st to the 15th of February in 2016, on 263 in patients. Patients'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used to identif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HbAlc, and chronic diabetic complications. Chi-square test, ANOVA, ANCOVA, and the Cochran-Mantel-Haenszel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ased on smoking status, such as age, and education level;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abetes. Smoking statu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HbAlc level. In term of chronic diabetic complica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observed for diabetic nephropathy, based on smoking status. Conclusion: Patients who had a history of smoking, but were not currently smoking, were likely to display higher HbAlc levels and diabetic nephropathy. Therefore, there is need for regular checkups for diabetic complications among patients with a history of smoking and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smoking cessation.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The Anxiety, Diabetes-Related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Parents Who Have Child with Type 1 Diabetes)

  • 김미영;강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57-2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의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와 각 변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술적 조사 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4일부터 29일까지 1형 당뇨 인터넷 카페에서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졌고 77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측정변수는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이었다. 통계분석은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가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높았고(p<.05), 자녀의 연령이 6세 미만인 경우(p<.05), 저혈당 경험이 있는 경우(p<.05)와 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p<.05) 부모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았다. 그 외의 변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불안과 스트레스가 정적 상관관계(r=.684, p<.001), 불안과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부적 상관관계(r=-.401, p<.001; r=-.327, p<.05)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상후 성장은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중재와 불안과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교육 프로그램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당대사와 지질대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ucose Metabolism and Lipid Metabolism, Self-efficacy in NIDDM Patients)

  • 박형숙;이윤미;최연옥;배은숙;나정현;김미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5-17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ucose Metabolism(blood sugar, HbA1c) and Lipid Metabolism(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high density lipoprotein), Self-efficacy in non-insulin 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study design was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March 12 to June 19, 2001. Sixty-two research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36) and control(26) group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t-test by spsswin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level of glucose metabolism than control group(FBS ; t=-3.317, p=.002, HbA1c; t=-4.956, p=.000). 2. Level of lipid metabolism were partly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Triglyceride ; t=-2.108, p=.039). 3.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efficacy score than control group(t=4.651, p=.000). In conclusion, the study supported the effects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metabolism an d self-efficacy. Further study with a longitudinal design is suggested to verify the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in NIDDM and standardiz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대체 요법 [인슈몬]의 효과 및 안전성 (Effect and Safety of Replacement Therapy with Insum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 홍억기;김재수;박준홍;박세정;장학철;한인권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35-339
    • /
    • 2003
  • 전반적인 유효율은 1차 유효성 평가항목인 당화혈색소가 0주 평균 7.0$\pm$1.1%에서 8주간 인슈몬 투여후 6.7$\pm$0.9%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0.0202), 특히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당화혈색소 7.0% 초과(기저치)군에서도 0주 평균 8.1$\pm$0.8%에서 4주 투여후 7.7$\pm$0.7%로, 8주 투여 후 7.5$\pm$0.8%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71). 당화혈색소 7%이하인 군에서도 유의차는 보이지 않으나 0주 평균 6.2$\pm$0.3%에서 8주 투여 후 6.2$\pm$0.6%로 다소 감소하여 당화혈색소가 7% 이하로 잘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당뇨병 관리를 목적으로 의약품이 아닌 기능성 식품의 대체요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 전례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천연식물 추출물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인 인슈몬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노팔 복합물이 II형 당뇨생쥐에서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on Lipid Metabolism in the db/db Mouse)

  • 윤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61-868
    • /
    • 2013
  • 유전적으로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 db/db 생쥐에 OF를 5% 수준으로 4주간 급여한 결과 지방 대사를 개선시켜, 혈장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p<0.05)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총콜레스테롤의 감소는 간에서 HMG-CoA-R의 감소에 의한 콜레스테롤의 생성이 줄어든 것이고, 또한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으로 합성하는 CYP7A1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의 형태로 배설시켰기 때문이다. 이 결과 분변 중 담즙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는 LDL-콜레스테롤을 세포로 이동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LDL-R의 증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db/db mice에서는 비만뿐 아니라 심각한 지방간이 유발되는데 OF의 급여로 AST와 ALT를 낮추어 간세포의 파괴를 완화시켰으며, 간 조직의 H&E 염색 소견에서도 지방간의 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으로 C57 생쥐에게 5% 수준으로 OF를 급여한 결과 OF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OF를 급여한 실험군의 혈장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AST와 ALT 함량의 차이가 없었으며, 간조직 관찰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OF는 당뇨병이 유발되지 않은 정상혈당의 생쥐에서는 지질대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제2형 당뇨병인 db/db mice의 당뇨병 합병증인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OF의 어떤 성분이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냈는지 보다 구체적인 성분 분석과 세부적인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s)

  • 최은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8-30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glycemic control among Korean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A total of 215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82 male and 133 female) were recruited (mean age = $59.0{\pm}9.7$ years). The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elderly (PASE). Fasting blood glucose (FBG), Hemoglobin A1c ($HbA_1c$), and 2 hours post-prandial glucose (2hrPG) were measured. Results: The highest PASE score was housework-related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 amounts of walk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ood FBG level (Z = 1.39, p=.041) and the amounts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n good HbA1 and 2hrPG level than in the poor glycemic control group (Z = 2.29, p<.001; Z = 1.99, p=.001).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tients with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 the top quartile more likely presented with good glycemic control in $HbA_1c$, OR=3.84 (95% Confidence Interval (CI) = 1.65~8.95) and in 2hrPG, OR=4.06 (95%CI = 1.77~9.27), compared to patients in the lowest quartile. Conclusio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s effective for controlling the glucose levels, especially $HbA_1c$ and 2hrPG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It is suggested that health providers need to more focus on providing aggressive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considering physical activity patterns by individuals.

당뇨병 환자의 혈당 변동에 대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ystem Dynamics Model for the Variation of Plasma Glucose Leve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최은옥;곽찬영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9권1호
    • /
    • pp.155-17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 dynamics model for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disorders that demonstrate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insulin and plasma glucose levels over the time. The model was developed to 1) represent the physiology of glucose metabolism for an normal adult subject, 2) to draw causal loop diagram that demonstrate feedback systems of glucose regulation in normal condition and pathologic condition of the type 2 diabetes, 3) to develop an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model for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disorde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plasma glucose level for normal persons varied from 75 to 140 which was consistent with clinical findings. As an example for patients we selected a case which varied from 110 to 310. Two types of interventions were chosen to review the model; meal control and insulin administration.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ose cases also matched well with clinical findings. The developed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for patients to develop healthy lifestyle choices. The results also provide a blueprint for health providers to maintain normal blood glucose levels in diabetes patients.

  • PDF

발효홍삼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 김혜옥;박민정;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96-703
    • /
    • 2011
  •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을 Bifidobacterium longum H-1으로 발효시켜 인삼사포닌을 체내에서 흡수가 잘 되는 형태로 변화시킨 발효홍삼을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아침과 저녁 식전에 한 캡슐씩 하루 780 mg을 섭취하였다. 위약군은 동량의 cellulose를 실험군과 동일하게 제조한 후 같은 방법으로 섭취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약물이나 식사로만 치료하는 총 38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로 발효홍삼군 20명(남자 12, 여자 8), 위약군 18명(남자 11, 여자 7)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군의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 발효홍삼을 섭취한 군에서의 공복혈당은 $136.29{\pm}16.45$ mg/dL에서 $127.71{\pm}17.74$ mg/dL로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며, 당화혈색소 역시 $7.36{\pm}1.02%$에서 $6.96{\pm}0.93%$로 감소하였다. 특히 당화혈색소가 8% 이상인 고당화혈색소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 저항성은 대조군에서는 유의적 변화가 없는 반면, 발효홍삼군에서는 섭취 전 $3.11{\pm}1.13$ mmol/L에서 섭취 후 $2.23{\pm}0.71$ mmol/L로 유의한(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지질 변화는 없었으며, LDL-콜레스테롤도 발효홍삼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간 기능 지표인 AST, ALT, ${\gamma}$-GTP와 신장기능 지표인 BUN, creatinine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정상범위에 속하여 발효홍삼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 발효홍삼은 혈당 및 당화혈색소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체 안전성 지표인 간 및 신장 기능도 정상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개선을 통해 합병증지연 또는 예방에 있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소운동이 제1형 당뇨쥐의 췌장 세포질 GAPHD 및 미토콘드리아 Mn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upon Cytosolic GAPHD and Mitochondrial MnSOD Activity of Pancreatic Cells in the Type 1 Diabetic Rats)

  • 이상학;윤진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3호
    • /
    • pp.437-445
    • /
    • 2012
  • 이 연구는 유산소운동이 1형 당뇨쥐의 체장세포질 GAPDH 및 미토콘드리아 Mn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실험동물로는 SD계열 흰쥐를 대상으로 strepzotosine을 주입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수영운동을 8주간 적용시켰다. 실험 종료 후 췌장조직을 적출하여 시료를 분리한 다음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여 GAPDH와 MnSOD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결과 췌장세포질 GAPDH의 그룹 간 활성정도는 정상 대조군(CON)과 당뇨군(D.M) 및 당뇨 운동군(D.M-Ex)의 MnSOD 활성 정도는 각 그룹 간 유의한 활성차이를 나타냈다[F(3, 27) = 57.9, P = .000].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당뇨그룹의 활성은 나타났으며, 당뇨운동그룹 또한 대조군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 당뇨운동그룹은 당뇨그룹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췌장의 미토콘드리아 MnSOD 활성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여 이들 또한 각 그룹 간 유의한 활성차이를 나타냈다[F(3, 27) = 572.472, P = .000].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산소운동에 의한 GAPDH와 MnSOD 활성증가는 당뇨병 병소와 관련된 다양한 경로의 활성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회복에 긍정적인 영양을 미쳐 당뇨병 발병의 진행을 막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운동이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노인의 Irisin, 신체조성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Irisin, Body Composition and Glucose Metabolism in Obese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하수민;김정숙;하민성;김보성;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68-1280
    • /
    • 2019
  •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85세 이하의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 후 irisin, 신체조성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합운동군(n=20), 대조군(n=16)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야외 걷기 운동과 탄성 밴드 운동을 12주간 주 3회, 1회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야외 걷기 운동의 운동강도는 중강도(RPE 5~6)로 수행되었으며, 탄성 밴드 운동은 1~4주는 저강도(OMNI-RES 3~4), 5~8주는 중강도(OMNI-RES 5~6), 9~12주는 고강도(OMNI-RES 7~8)로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증가시켰다. 그 결과 복합운동군의 irisi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골격근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당 대사 관련 인자 중 HbA1c(p=.020), 혈당(p<.0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OMA-β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Irisin의 변화는 체지방률의 변화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23, p=.010), 유산소성 지구력 변화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r=.355, p=.034). 또한, HbA1c(r=-.351, p=.036)와 혈당(r=-.424, p=.010)의 변화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HOMA-β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11, p=.013).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의 실천은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노인의 혈중 irisin의 수준을 증가하고, 신체조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당화혈색소, 공복혈당 및 인슐린 분비능을 개선하여 당 대사 조절 능력에 도움을 주어 당뇨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효과적인 운동으로 권장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