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점법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Mean Velocity Computation from Vertical Velocity Distribution Measurements using Flow Meter and ADCP (회전식유속계와 ADCP를 이용한 연직유속분포 측정 및 평균유속 산정에 관한 연구)

  • Kang, Ki-Ho;Bae, Young-Dae;Lee, Se-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44-448
    • /
    • 2007
  • 자연하천에서 단위구간(측선)의 연직선상 평균유속산정을 위한 일반적인 측정방법으로는 표면유속법, 1점법, 2점법, 3점법, 4점법, 5점법, 6점법, 연직 유속분포법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지난 1년간 낙동강유역 이안, 신풍, 성덕(무계), 성덕(보현)지점에서 회전식유속계로 측정한 유속자료를 이용하여 측선별 연직분포곡선을 작성한 후 측정지점 횡단면상 수심이 얕은 양안과 상류 제약조건(수풀 또는 돌출된 바위 등)으로 인해 측선의 흐름이 왜곡되는 지점을 제외한 측선별 연직유속분포곡선을 평균하여 지점별 대표 연직유속분포곡선을 작성하였다. 지점별 대표 연직유속분포 곡선을 작성하여 평균유속을 산정한 값을 기준으로 하천유량 측정시 일반적 평균유속 산정방법인 1, 2, 3점법 및 표면유속법에 대한 변동계수를 분석한 결과 1점법은 0.064, 2점법은 0.027, 3점법은 0.043, 표면유속법은 0.126으로 1, 2, 3 점법에서는 지점별 변화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며 표면유속법에서는 유량측정 지점별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동지점에서 ADCP를 이용한 유량측정시 수집된 측선별 연직유속분포자료를 이용, 측정지점의 유량별 대표 연직유속분포 곡선을 작성, 실제 하천유량측정에 널리 쓰이고 있는 평균유속 측정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점법에서는 평균유속대비 1.076, 2점법에서는 1.026, 3점법에서는 0.051로서 2, 3점법이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며 이는 Hulsing 등의 연직유속분포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한 1점법에서 1.020, 2점법, 1.010, 3점법 1.015의 결과 추세와도 일치하였다.

  • PDF

A Proposal for Simplified Velocity Estimation for Practical Applicability (실무 적용성이 용이한 간편 유속 산정식 제안)

  • Tai-Ho Choo;Jong-Cheol Seo; Hyeon-Gu Choi;Kun-Hak Ch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2
    • /
    • pp.75-82
    • /
    • 2023
  • Data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streams ar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water resources, and many experts are conducting research to make more accurate measurements. Especially, in Korea, monsoon rains and heavy rains are concentrated in summer due to the nature of the climate, so floods occur frequ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flow rate most accurately during a flood to predict and prevent flooding. Thus, the U.S. Geological Survey (USGS) introduces 1, 2, 3 point method using a flow meter as one way to measure the average flow r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average flow rate with the existing 1, 2, 3 point method alone.This paper proposes a new 1, 2, 3 point method formula, which is more accurate, utilizing one probabilistic entropy concept. This is considered to be a highly empirical study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Data and Flume data were used in the number of holesman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the proposed formul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Flume Data, the existing USGS 1 point method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 was 7.6% on average, 8.6% on the 2 point method, and 8.1% on the 3 point method. In the case of Coleman Data, the 1 point method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5%, the 2 point method 5.6% and the 3 point method 5.3%.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formula using the concept of entropy reduced the error rate by about 6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Flume Data averaging 4.7% for the 1 point method, 5.7% for the 2 point method, and 5.2% for the 3 point method. In addition, Coleman Data showed an average error of 2.5% in the 1 point method, 3.1% in the 2 point method, and 2.8% in the 3 point method, reducing the error rate by about 5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This study can calculate the average flow rate more accurately than the existing 1, 2, 3 point method, which can be useful in many ways, including future river disaster management, design and administration.

Measurement and Computing Method of the Average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공동주택의 조도측정 및 평균조도 산출방법)

  • Joo, Keun-Tak;Choi, An-S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5
    • /
    • pp.1-8
    • /
    • 2006
  • The Five Point Method of KS and Four Point Method of IES are generally used to measure and compute the average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Such methods of measurement should be used exac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computation methods of the average illuminance in terms of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with simulated ones. The Five Point Method of KS is very closed to evaluate task illuminancefor appreciating activities at the center while the Four Point Method of IES is very closed to a concept of the average illuminance over the space excluding the possible maximum and minimum illuminance values.

Uncertainty Analysis about the Change of Partial Section of Discharge Measurement (유량측정에 따른 측선수 변화에 대한 불확도 분석)

  • Kim, Jung-Nam;Lee, Jae-Hyug;Jeon, Byung-Hark;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88-688
    • /
    • 2012
  • 불확도의 요인은 유속-면적법에 적용되는 방정식의 일반화된 형태를 고려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하천에 대한 불확도, 수심에 대한 불확도, 점 유속의 결정에 대한 불확도, 평균유속의 예측과 유량에 대한 불확도가 불확도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유량측정을 실시할 때 불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속에 비례하여 측선수를 조절함이 좋은 등급을 확보하기에 성과의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천의 현장지점에서 실시간 수위를 확인하며 유속을 측정하였고, 측정 성과를 이용하여 유량과 불확도를 산정, 비교 분석하였다. 유량측정에 있어 측정 기기로는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전식 유속계(PriceAA)를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방법으로는 도섭법을 기준으로 1점법, 2점법, 3점법에 이르게 다양한 성과를 실측하여 측정한 결과에 적용된 측선수에 따른 불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0.5 m/s 이하의 유속과 $1.5m^3/s$ 의 유량에서는 그림 2에서 제시하였듯 30개 이상의 측선수를 확보하므로 5 % 미만의 2등급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림 3은 9개의 지점 28회의 측정 결과를 측선수별 평균 불확도를 산정하여 유속 0.5m/s ~ 0.7m/s의 범위에서는 30개 미만의 측선수를 확보하여도 2등급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는 유속과 측선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따라서 측정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2등급 이상을 얻기 위해서는 국제기준(ISO 748)에 따른 측선수를 적용하되 현장지점의 특성에 따라 유속을 고려한 측선수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Transfer Capability based on Load Supplying Capability Calculation using Nonlinear Primal-Dual Interior Point Method (비선형 주.쌍대내점법을 이용한 부하공급능력의 산정에 기반한 전력수송능력의 평가)

  • Jeong, Min-Hwa;Lee, Byeong-Jun;Song, Gil-Ye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 /
    • v.49 no.4
    • /
    • pp.161-167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ology that can evaluate transfer capability of composite power systems from the adequacy point of view in power system planning stages. First of all, to evaluate practical load supplying capability, nonlinear optimization problems of maximum load supplying capability(MLSC) and economic load supplying capability(ELSC) are formulated and solved by nonlinear primal-dual interior point method. Here, physical constraints considered in the optimization problems are the limits of bus voltage, line overloading, and real & reactive power generation. Also, an evaluation method of transfer capability is presented based on margins calculated by the MLSC and ELSC. Especially, to evaluate transfer capability flexibly, simple indices such as expected MLSC, transfer capability margin, and power not supplied are respectively proposed by considering (N-1) line outage probability. Numerical results on IEEE RTS 24, IEEE 118, and IEEE 300 bus system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effective and useful for power system planning stage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discharge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averse direction sideline angle (횡단방향 측선각도 변화에 따른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실험 연구)

  • Lee, Jae-Hyug;Seok, Su-Won;Shim, Eun-Jeung;Kim, Sung-Hoo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0-334
    • /
    • 2011
  • 자연하천의 유량값은 일반적으로 횡단면의 면적과 이를 통과하는 유속의 곱으로 산정된다. 유량측정 방법은 하천의 형태와 저 평수기 및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도섭법, 교량법, 부자법 및 보트를 이용한 ADVM 측정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현장 여건에 따라 흐름에 직각이 아닌 사교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면적의 오차를 포함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횡단면의 측선 각도에 따라 각보정을 실시해야 한다. 현재 사교에서 유량 측정을 실시하는 경우, 흐름의 직각을 기준으로 처짐각을 측량하여 각 측선에 $cos{\theta}$를 적용하여 단면적을 보정하고 있는데, 이 처짐의 정도가 유량의 참값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왕숙천에 위치한 퇴계원 지점에서 실시간 수위에 따른 유속을 측정하였으며, 횡단면에 직각인 측선을 기준값으로 제시하고, 처짐각의 정도를 $10^{\circ}$, $20^{\circ}$, $30^{\circ}$, $40^{\circ}$, $50^{\circ}$까지 늘려 산정된 유량값을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쓰인 측정기기는 Price AA 유속계이고, 측정방법으로는 유량의 흐름 방향을 기준하여 직각으로 수면에서 0.6d 지점의 유량측정방법(1점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유량의 흐름 방향을 기준하여 직각인 경우 $1.39m^3/s$의 유량에서 보정 전 각 $10^{\circ}$의 유량 $1.36m^3/s$, $30^{\circ}$의 유량 $1.49m^3/s$, $50^{\circ}$의 유량 $2.25m^3/s$로 각이 클수록 단면적이 크게 나타나며 유량 역시도 과대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섭법을 이용한 유량측정이나 사교에서의 교량법 등을 적용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할 경우 유량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유량을 산정하되 부득이한 경우로 사교에서의 측정이 이루어 졌을 시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각도를 측정하여 크게 나타나는 단면적에 처짐각을 보정하여 유량을 산정함이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 생산의 방법이 라 할 수 있겠다.

  • PDF

Chaotic Response and Stability Analysis for Multi-input Nonlinear Systems (다주파수 입력을 갖는 비선형 시스템의 안정성 및 Chaos 해석)

  • 김영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1
    • /
    • pp.123-131
    • /
    • 1995
  • 다주파수 입력을 갖는 강한 비선형 시스템의 유사주기 (quasi-periodic) 해를 해석하기 위하여 개선된 고정 점법(FPA:Fixed Point Alogrithm)을 개발하였다. 안정성 및 천이 특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Floquest 지수인 해석적 자코비언을 구하기 위하여 Poincare 맵상에서 이산 적분법을 새로이 고안, 사용하였다. 본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2개의 주파수 입력을 갖는 선형 시스템과 비선형 시스템을 예로 사용하였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비선형 시스템에서 발생한 복잡한 chaos 현상을 체계적으로 해석하였다.

  • PDF

Assessment of Uncertainty for Discharge Measurement using Velocity-Area method (유속-면적법으로 측정된 유량에 대한 측정 불확도 평가)

  • Kim, Jongmin;Kim, Dongsu;Kim, Se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4-104
    • /
    • 2016
  • 소규모 하천에서의 평수기 유량 측정은 일반적으로 지점식 초음파 유속계, 프로펠러 유속계 등을 활용해 도섭법으로 측정된 유속 측정성과를 기반하여 유속-면적법으로 산정된다. 유속-면적법으로 측정된 유량 측정 성과는 횡방향 측선의 수, 수심방향 측점의 수, 측정 시간, 수심 등 제반 측정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유량 불확도는 각 인자 별 오차에 영향을 받는다. ISO 748 (2007)과 ISO 1088 (2007)은 유속-면적법 적용방법, 현장 측정 가이드라인, 불확도 인자 별 적용 요건에 따른 오차, 최종 유량 불확도 산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국내외 유량조사 기관에서는 유속면적법을 적용할 경우, ISO에서 제시된 인자 별 오차 및 유량 불확도 산정 기법을 기반으로 유량 불확도를 산정해왔다. ISO 748과 1088은 다양한 규모의 실제 하천에서 관측된 자료를 기반으로 횡방향 측선 수, 수심방향 측점 수 (2점법, 3점법 등), 측정 시간 등과 관련된 인자 별 오차를 표로 상세하게 제시하였고 실무에서는 별도 추가 검증없이 사용해 왔다. 그러나, ISO에서 유속-면적법 유량 측정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자료는 유량을 제어하기 힘들고 유속 측정 상황이 유출 조건 별로 상이한 현장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고,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낮은 프로펠러유속계를 기반으로 1960년대에 관측된 자료들을 주로 활용하여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ISO에서 제시한 유속-면적법에 필요한 인자들의 오차를 정밀 실규모 실험을 통해 재산정하여 기존 ISO 748과 1088에서 제시한 인자별 오차의 적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흐름을 안정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건설기술연구원 안동 하천실험센터의 완경사수로(A2)에서 정상상태의 폭 7m, 수심 1m, 유속 약 1m/s의 흐름을 유지한 후, 유속 측정 정확도가 우수한 micro-ADV를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매우 정밀하게 유속을 측정하고, 수심은 Total Station을 기반으로 흐름 발생 전에 정밀 측정하였다. 오차 분석 결과, ISO 규정에서 제시한 오차와 본 실험의 결과로 도출된 인자들의 오차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유속-면적법의 인자 별 오차는 실험이 수행된 소하천 규모의 하천에서 도섭법으로 산정된 유량의 불확도를 평가할 경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an Inclined Crack in Finite Composite Plate Under Mixed Mode Deformation (혼합모우드 변형하에 있는 복합재료 유한평판의 경사진 균열해석)

  • 염영진;홍창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4
    • /
    • pp.625-635
    • /
    • 1989
  • Mixed mode fracture problem is analyzed for the finite orthotropic plate where an inclined crack parallel to the fiber direction is centrally placed. Modified mapping collocation method with both uniform stress and uniform displacement boundary conditions is utilized to calculate stress intensity correction factors for glass/epoxy and graphite/epoxy composites. Computed results are presented for selected combinations of crack length to width ratio L/W and plate aspect ratio H/W with various fiber ori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