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월 효과

Search Result 3,60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Weekend and January Effect in the Ghana Stock Market (가나 증권시장의 주말 효과와 1월 효과)

  • Ahialey, Joseph Kwaku;Kang, Ho-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8
    • /
    • pp.460-472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eekend and January effect in the Ghana Stock Exchange (GSE) using daily closing prices of GSE-All Share Index (ASI) and Composite Index (CI) between the period of January 4th, 2005 and December 31st, 2013. The dataset covers the period of 2005 to 2010 (6 years) for the ASI and 2011 to 2013 (3 years) for the CI.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based on a parametric regression using dummy variables. First, no weekly effect or anomaly is documented for both GSE-ASI and GSE-CI. Second, market abnormalities are captured for both GSE-ASI and GSE-CI over their respective entire periods. However, no consistent April effect is found for ASI when the period was segregated into two periods of three years. The April effect is uncovered for the GSE-ASI at 5% significant level while the January effect is found for the GSE-CI at 1% significant level.

한국증권시장(韓國證券市場)의 주가이상반응(株價異常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 1월효과(1月效果)를 중심(中心)으로 -

  • Kim, Gi-H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8 no.2
    • /
    • pp.73-97
    • /
    • 1991
  • 이 논문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외국의 주식시장에서처럼 1월효과(January effec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산분석(分散分析), 공분산(共分散) 분석(分析), Tukey의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검증의 결과,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서는 1월, 2월, 3월, 4월 등에서 타월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익률을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미국의 주식시장에서처럼 월별효과가 1월에만 국한하여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연초의 여러 달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은 특기할 만하다. 또한 이러한 월별효과는 소규모의 고위험 주식에만 국한되어 일어난다는 미국의 주식시장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규모(規模)와 위험(危險)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산업별 분류와도 별 관련이 없었다. 과거의 주가과민반응(株價過敏反應)을 정정하는 시기도 미국에서는 1월에 국한되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연초의 여러 개월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의 투자전략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나, 여러 가지 한계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이 약형(弱型)의 정보(情報) 효율성을 가지지 못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같다.

  • PDF

Effects of Climatic Elements on Soybean Yields (콩의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 평가)

  • E-Hun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4
    • /
    • pp.320-328
    • /
    • 1992
  • The soybean yield forcasting models based on climatic elements in six locations were estimated by the STEPWISE/MAXR, Cp statistics and GLM procedure of SAS. The climatic elements were aerial temperature, sunshine hours and precipitation from May to October in 20 years. The investigated six locations were Chunchon, Suwon, Cheongju, Kwangju, Iri and Jinju. The important climatic elements for main effects in Chunchon model were August sunshine hours-linear term, August precipitation-quadratic. June temperature to August precipitation and May temperature to August precipitation were interaction terms. The quadratic August precipitation was assumed to be related to yield in Chunchon. The main effects of Suwon were linear-June temperature, quadratic June sunshine hours and June precipitation. These terms affected yields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Cheongju were linear June temperature and quadratic August precipitation. May temperature to June precipitation, July to August precipitations were interactions. The main effects of Kwangju were linear July precipitation, quadratic June temperature and July precipitation. June to July sunshine hours of interaction terms influenced yield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Iri were linear May sunshine hours, quadratic May and July sunshine hours. May temperature to May precipitation and June to July precipitations affected yields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Jinju were linear June and August precipitations. August temperature to August sunshine hours, June sunshine hours to July precipitation and June to August precipitation were interactions. In linear terms, June and August precipitations and, in interactions, August to August sunshine hours were negative efficacies respectively. The included year variables in Chunchon, Suwon, Kwangju, and Jinju model building were recognized as a linear trend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technological factors have improved through times.

  • PDF

Analysis on the January Effect and Market Efficiency in Korea Stock Market Before and After IMF Financial Crisis (IMF 금융위기 전후 국내 주식시장의 1월효과 현상 및 효율성 분석)

  • Yun, Kang-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578-58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e the January Effect and Efficiency of the KOSPI Market, and then suggest as a result. KOSPI data was divided into two of section, Before and After IMF Financial Crisis, and this paper utilized Market Capitalization of common stock to conduct a study. A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ult, in KOSPI 1st section(Before IMF Financial Crisis), this paper proved the January Effect and Size Effect for Small-capital stock. On the other hand, in KOSPI $2nd-{\alpha}$ & ${\beta}$ section(After IMF Financial Crisis), this paper couldn't prove the January Effect. And then, this paper couldn't prove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in KOSPI 1st with January Effect, however, proved the weak efficient market in KOSPI 2nd(${\alpha}$ & ${\beta}$) without January Effect. Finally, this paper deduct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 as the results.

Studies on the suppression of Robinia pseudacacia sprouts by 2·4-D (2·4-D 처리(處理)에 의(依)한 아카시아 맹아억제(萠芽抑制)에 관(關)한 시험(試驗))

  • Son, Won 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2 no.1
    • /
    • pp.4-9
    • /
    • 1962
  • (1) acacia 맹아(萠芽) 억제(抑制)에 대(對)한 2,4-D 살포(撒布)의 효과(効果)에 관여(關與)되는 조건(條件)을 시험(試驗)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a. 2,4-D 농도(濃度)${\cdots}{\cdots}{\cdots}$ 3,4,5 두식(斗式)의 범위에서는 3 두식(斗式) 최고농도(最高濃度)의 효과(効果)가 가장 크다. b. 살포시기(撒布時期) 5월(月) 상순(上旬)부터 7월(月) 하순(下旬)까지 순별(旬別) 시기(時期)를 분할(分割)하여 시험(試驗)한 즉 후기(後期)로 갈수록 효과(効果)가 컸다. c. 살포시간(撒布時間) 오전(午前) 10시(時), 오후(午後) 1시(時) 오후(午後) 4시(時) 중(中)에서 오후(午後) 1시(時) 가장 효과적(効果的)이었고 오전(午前) 10시(時) 가장 효과(効果)가 적었다. d. 살포(撒布) 계속년(年) 및 살포(撒布) 회수(回數) 계속 살포(撒布)할수록 효과(効果)는 누진적(累進的)이었다. (2) 다음과 같은 2,4-D 처리(處理)로 acacia 맹아(萠芽)는 억제(抑制) 됨을 알았다. a. 3두식(斗式) 농도(濃度)로 7월(月) 상순(上旬)~7월(月) 하순(下旬) 1년(年) 1차(次)씩 (1차(次)는 3일(日) 3회(回)) 계속 살포 3년간(年間)계속 살포(撒布). b. 3두식(斗式)로 오후(午後) 1시(時)에 5월(月) 상순(上旬)부터 1순(旬) 3회(回)씩 7월(月)까지 계속 살포(撒布).

  • PDF

Effect of Shading Treatment on the Growth of Spinach(Spinacia oleracea) Affected by Different Growing Periods in Summer Greenhouse. (여름철 온실의 재배시기별 시금치 생육에 대한 차광효과)

  • 우영회;이정명;남윤일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4 no.2
    • /
    • pp.211-222
    • /
    • 1995
  •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s of spinach to temperature controlling by shading treatments at different times during the summer, an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growth and yield were evaluated. The fourth cultivation was showed maximum temperature at air temperature of 33.1$^{\circ}C$ and soil temperature of 28.6$^{\circ}C$, followed by third, second, fifth and first cultivation. Among the tested temperature decreasing by shading, shading with silver - coated PE film strips was the most effective in lowering greenhouse air temperatures by showing 1.1$^{\circ}C$ decrease as compared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3.1$^{\circ}C$ decrease as compared to the air temperatures inside the non-shaded PE house and 2.3$^{\circ}C$ decrease as compared to the air temperaturese shading with black- coated PE film strips, the soil temperature was showing 2$^{\circ}C$ decrease in both shading treatments than non-shaded PE and outdoor. In first cultivation, difficult cultivated as compared to others period owing to bolting of spinach. This first period was cultivated used two domestic cultivars and six imported cultivars, significantly better growth and higher yield of spinach were recorded in glory, manchuparuk and sunlighr cultivars. The effectiveness of shading on spinach, as expressed by the crop yield increase, was the highest in the planting from July 1 to August 24.

  • PDF

A Study on the Linear Causality between KOSPI200 Intraday Futures Returns and Cash Returns (KOSPI 200 하루중 선물수익률과 현물수익률간의 선형인과성에 관한 연구)

  • Kim, Tae-Hyuk;Kang, Seok-Ky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203-226
    • /
    • 2000
  • 본 연구는 주가지수 선물시장이 도입된 1996년 5월 3일부터 1998년 12월 5일까지 1분 간격 KOSPI 200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거래자료를 이용하여 각 선물가격과 기초자산가격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검토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차익거래자나 초단기 투기자(scalper)들이 거래체결을 위해 촌각을 다투는 선물시장의 거래행태에서 볼 때, 경제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1분 간격 수익률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시장참여자의 실제 거래에서 표출되는 정형화된 현상을 정확히 파악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지수 선물시장과 현물시장간에 체계적이고 긴 선도-지연 관계가 발견되었다. 주가지수 선물가격의 변화가 현물가격의 변화를 대략 26분 정도 선도하고 있으며, 대략 5분 정도 현물시장의 선도효과도 발견된다. 따라서 KOSPI 200 선물수익률과 현물수익률간의 선도-지연 관계는 한 시장에서 다른 시장으로의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시장간의 피드백(feedback)효과가 존재하며, 선물의 선도효과가 지배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선도-지연 현상은 노이즈에 의한 비동시거래보다는 거래비용과 공매제약 차이 등 각 시장의 제도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약세시장 하에서 선물의 선도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약세시장 하에서 현물시장의 공매제약이 선물가격과 현물가격간의 괴리를 더욱 크게 하여 선물가격이 현물지수를 더욱 선도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셋째, 만기별 하위기간 중 97년 6월과 97년 12월을 제외한 기간은 선물과 현물가격간에 장기 안정적인 균형관계가 성립함을 발견하였다. 넷째, ARMA(p, q) 여과를 거친 선물과 현물수익률을 이용하여 97년 6월과 12월은 백터자기회귀(VAR)모형, 그 외의 기간은 오차수정(EC)모형으로 추정하였다. 표본전체기간동안 장기균형오차에 대한 조정은 선물과 현물시장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장간에 발생하는 불균형 상황은 아비트라지 거래로 조정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각 만기별 모든 하위기간에 있어서는 시장간의 장기 불균형 상황이 현물시장을 통해서 조정되고 있으며, 시장이 성숙된 최근의 만기 98년 12월 하위기간에서는 선물의 15분 선도효과와 현물의 1분 선도효과가 발견되어 선물의 선도효과가 지배적임을 발견하였다.

  • PDF

The Effect of Age at School Entry on Long-term Educational Attainment in Korea (초등학교 취학나이가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

  • Kim, Tae Hoo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4 no.1
    • /
    • pp.1-32
    • /
    • 2011
  •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relative age at elementary school entry, which is determined by birth date and school entrance law, on college entrance. First, I compare the college entrance rate between students born in January or February and those born in other months. Second, I estimate the effect of age at school entry on college entrance. Relatively older students at school entry are likely to have better educational outcomes during the first college entrance. However, thes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seem to decrease the more that younger students repeat tak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 PDF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I ) -Low-volume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고농도미량엽면살포-)

  • Choi S.Y.;Song Y.H.;Lee H.R.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8 no.2 s.39
    • /
    • pp.111-116
    • /
    • 1979
  •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ome insecticides in the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when the low-volume of the insecticides were applied by the mist foliar sprayer. The insecticides, Salithion $(24\%\;Ec)$, Omethoate $(Folimat^{(R)}\;50\%\;Ec)$, Monocrotopos $(Azodrin^{(R)}24\%\;Ec)$, Acephate $(Ortran^{(R)}\;50\%\;Wp)$, Metalkamate $(Bux^{(R)}24\%\;Ec)$. BPMC $(Bassae^{(R)}50\%\;Ec)$ and MIPC $(Mipcin\;50\%\;Wp)$ were tested with 100, 200 and 400 times of water solution on the basis of single application at the six different intervals. Salithion was the most effective for the pressure of the gall formation by the pine gall midges and Omethoate, Monocrotophos and Metalkamate were relativey effective and others no effective. The most reliable concentration of the insecticides was 100 times of water solution, and the feasible timing of insecticide application on the basis of single application would be from May 9 to July 1 with Salithion, June 6 with Metalkamate and June 20 with Omethoate and Monocrotophos. The number of pine needles with the larval injured signs (no larvae in the needles) excluded the gall-formed needle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treatments of Omethoate, Salithion and Monocrotophos than other insecticides. The treatments of Omethoate, Salithion and Monocrotophos caused the lower larval population in the gall than other insecticides.

  • PDF

Hydrologic Regime Alteration Analysis in downward river by dam-specific(functions, size) through I.H.A (수문변화 지표법을 적용한 댐 특성 요소별 하류하천에 미치는 유황변화 분석)

  • Kang, Ki-Ho;Yum, Kyung-Tae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22-142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댐 특성(기능, 규모)별로 하류하천에 미치는 유량변화 문제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수문변 화지표법(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Richter et al., 1996)을 적용하여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소양강댐 등 11개 다목적댐과 광동댐 등 12개 용수전용댐의 일단위 유입량과 방류량 자료를 이용, 연최소 최대유량 크기와 지속기간, 유량변화정도 등을 분석하여 댐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유량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광동댐 등 12개 용수전용댐의 월 유량변화의 산정 결과, 갈수기에 해당하는 10월부터 다음해의 6월까지 8개월간은 댐건설전 월평균 방유량은 $0.64m^3/sec\sim3.05m^3/sec$이었으나, 댐건설후 월평균 방류량은 $0.33m^3/sec\sim2.99m^3/sec$로 -69.7%$\sim$167.8%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12월과 1월을 제외하면 댐 건설 이후 오히려 6.8%$\sim$69.7% 가 감소하였다. 우기철인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은 댐건설전 월평균 방류량이 $6.82m^3/sec\sim7.67m^3/sec$이었으나, 댐건설후 월평균 방류량은 $4.12m^3/sec\sim4.35m^3/sec$로 51.0%$\sim$55.1%가 감소하여 저수지 공용량을 이용한 저류효과가 다소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용수전용댐과 다목적댐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용수전용댐은 1일 최소유량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76.52%가 증가하였으나 3일부터 90일 최소유량의 54.19%$\sim$67.19%까지 감소하여 갈수기 하류유량 개선효과는 없으나, 다목적댐의 경우는 1일 최소 유량은 743.76%가 증가하였으며 90일 최소 유량도 83.62%가 증가하여 갈수기 하류유량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수전용댐의 1일 최대유량의 경우는 37.8%가 감소되며 90일 최대유량은 38.5$\sim$51.0%까지 감소하여 홍수기 댐의 저류효과가 점차 증가하였다. 다목적댐의 경우는 1일 최대 유량은 59.4%가 감소하였으며 감소량은 점차 감소하여 90일 최대강우량은 30.1%가 감소하여 홍수기 댐 저류효과로 하류홍수량을 상당히 조절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