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대 1

Search Result 17,778,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Development plan and Inspection Status of Hydrological Measuring Instrument (수문조사기기 검정현황 및 발전방안)

  • Kim, Ji Hun;Jang, Bok Jin;Kim, Ji Cha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3-213
    • /
    • 2016
  • 수문조사기기의 검정은 수문조사에 활용할 기기를 일관되고 표준화된 기준으로 검사하여 수문조사에 적합한 기기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정은 국가수문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고 유지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업무이다. 검정대상기기는 강수량측정기기, 유속측정기기, 수위측정기기, 부유사측정기기, 토양수분측정기기, 증발산량측정기기로 총 6가지이며, 2009년부터 국토교통부 위탁사업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에서 수행하고 있다. 특히 유량조사사업단에서는 유속측정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수문조사기기에 대해 검정을 수행하고 있다. 연도별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98대, 334대, 572대, 539대, 359대, 682대, 690대로 총 3,274대를 검정하였고, 관측기종별로 강수량 1,579대, 수위 1,589대 부유사 23대, 토양수분 33대, 증발산량 50대이다. 신청기관별로는 국토교통부(홍수통제소) 1,847대,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4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 포함) 81대, K-water 338대, 한국수력원자력(주) 91대, 일반업체 913대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을 실시한 강수량측정기기 1,579대 중 보정없이 합격된 기기는 1,495대, 허용오차기준에 미달되어 보정 실시 후 합격한 기기는 76대이며, 불합격 처리된 기기는 8대이다. 수위측정기기는 합격이 1,586대, 기준에 미달되어 불합격된 기기가 2대로 나타났다. 강수량측정기기의 각 연도대비 통계분석 결과 보정률은 2009년 97대 중 8대(8.2%), 2010년 194대 중 3대(1.5%), 2011년 180대 중 24대(13.3%), 2012년 175대 중 17대(9.7%), 2013년 165대 중 15대(9.1%), 2014년 547대 중 8대(1.5%), 2015년 221대 중 9대(4.1%)로 다소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정률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관할기관의 검정을 위한 유지관리 및 사업자의 사전검사 등을 통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결과는 수문자료의 품질 및 신뢰도 향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수문조사기기 검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수문조사기기 검정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USGS에서 HIF(Hydrogical Istrumentation Facility)라는 별도 조직을 운영하여 관측기기의 렌탈, 수리, 교정 및 검정, 개발, 교육 등 이러한 작업을 일괄 수행하고 있고 조직 내 자체 시설로 수중펌프 시험소, 자연과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 하는 장소, 대형온도챔버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여 기기의 교정 및 검정, 연구 등을 현장과 비슷한 환경에서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검정방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문조사기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에 설치되어 검정방법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향후 우리나라도 HIF와 같이 다양하고 선진화된 시설과 기술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시험 과정을 통해 수준 높은 검정방법체계를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Quality standard of Pleurotus eryngii for production of customized-type and high quality mushroom (소비자 맞춤형 고품질 큰느타리버섯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 기준)

  • Lee, Chan-Jung;Yoo, Young-Mi;Han, Ju-Yeon;Cheong, Jong-Chun;Jhune, Chang-Sung;Moon, Ji-Won;Kong, Won-Sik;Suh, Jang-Sun
    • Journal of Mushroom
    • /
    • v.12 no.1
    • /
    • pp.67-72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standardization for mushroom production of high quality at farmhouse. The standardization does much to improve merchantable quality, distribution efficiency and fair dealings by shipping of the standard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modification of these standards is required to fit farmhouse situations. The standardization for production of Pleurotus eryngii of high quality follows like this. A grades were above 90 g at average weight, more 50 mm at stipe thick, 1.6~1.7 at stipe length/stipe thick rate and 1.1~1.2 at pileus diameter/stipe thick ratio. B grades were more 45 g at average weight, above 40 mm at stipe thick, 1.8~1.9 at stipe length/stipe thick ratio and 1.2~1.4 at pileus diameter/stipe thick ratio.

Comparison and Analysis of Women Faces in 20s' and Women Faces in 60s Through Women faces's Measured value (여성 얼굴의 측정치를 통한 20대와 60대의 비교 분석)

  • Kim, Ae-Kyung;Lee, Kyung-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3
    • /
    • pp.485-492
    • /
    • 2010
  • This thesis analyzes the proportion and disproportion of faces through visual analysis and measured value for women faces in 20s and 60s.. The proportion of bizygion breadth and face height is 1 : 1.34 in 20s and 1 : 1.39 in 60s which shows face height is ling in 60s, and 0.85 : 1 : 1 for upper face length, middle face length and lower face length in 20s which shows the proportion of upper face length and lower face length are long while they are 0.84 : 1 : 1.06 in 60s which shows lower face length is long and upper face length is short. If the proportion of the face is more than $2^{\circ}$ which is severe imbalance, angle of eyes is 8% in 20s, 13% in 60s, and angle of nasal is 11% in 20s, 29% in 60s, angle of mouse is 11% in 20s and 40% in 60s, showing imbalance of 60s is severe. As above, It shows that face height is longer in 60s than in 20s and lower face is long among others because face's change due to aging. Also, We able to know that face's imbalance is severer in 60s than in 20s.

  • PDF

The Factors In Reading Hangul Text : font width-to-height ratio of a letter, line length (글자꼴, 글줄길이, 글줄모양과 한글의 가독성)

  • Lee, Soo-Jeong;Jung, Woo-Hyun;Chu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193-205
    • /
    • 1993
  • 한글의 글자꼴과 장평율 그리고 글줄 길이와 글줄꼴 처리 방식이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글자꼴은 명조체, 고딕체, 샘물체를 사용하였고, 장평율은 글자의 가로 대 세로 비율을 1 대 1, 1 대 2 그리고 2 대 1로 변형시킨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글줄 길이는 60mm와 120mm의 두 가지로 하였고 글줄 끝에서 음절 단위로 끊어 쓴 문장과 어절 단위로 끊어 쓰되 띄어쓰기 여백을 조절한 문장과 조절하지 않은 문장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글자꼴에서는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이 샘물체보다 좋았고,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이 1 대 1이거나 1 대 2인 글자의 가독성이 2 대 1인 글자의 가독성보다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글 정보 처리 과정에서 자모보다 글자가 중요한 시각 정보로 사용되고 한번 응시하는 동안에 표집되는 글자수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글줄 길이는 120mm일 때의 가독성이 더 좋았고 글줄 끝처리 방식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설문조사 : 양계산물 소비경향 분석 - 계란, 닭고기 소비자 설문조사 분석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2 no.10
    • /
    • pp.96-100
    • /
    • 2010
  • 본 설문은 지난 7월에 개최된 농어촌산업박람회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계란과 닭고기에 대한 소비경향을 조사한 것이다. 이번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계란분야에 347명(남성 47.3%, 여성 52.7%), 닭고기 분야에 237명(남성 46%, 여성 54%)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참여 연령층을 보면 계란분야는 20대(5.8%), 30대(14.2%), 40대(17.1%), 50대(31.5%), 60대(22.8%), 70대 이상(8.7%)로 나타났으며, 닭고기분야는 20대(4.7%), 30대(9.8%), 40대( 19.1%), 50대(26.4%), 60대(27.2%), 70대(12.8%)로 4,50대 소비자들의 참여비중이 높았다.

Rapid and Specific Identification of Genus Cynoglossus by Multiplex PCR Assays Using Species-specific Derived from the COI Region (다중 PCR 분석법을 이용한 참서대과 어종의 신속하고 정확한 종판별 분석법 개발)

  • Noh, Eun Soo;Kang, Hyun Sook;An, Cheul Min;Park, Jung Youn;Kim, Eun Mi;Kang, Jung Ha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9
    • /
    • pp.1007-1014
    • /
    • 2016
  • A highly efficient, rapid, and reliable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based method for distinguishing ten species of genus Cynoglossus (C. senegalensis, C. abbreviates, C. macrolepidotus, C. arel, C. semilaevis, C. interruptus, C. joyneri, C. lingua, C. robustus, and C. monodi) is described. The species-specific primer sets were designed base on the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gene (1,500 bp). The optimal PCR conditions and primers were selected for ten of Cynoglossus species to determine target base sequences using single PCR. Multiplex PCR using the ten pairs of primers either specifically amplified a DNA fragment of a unique size or failed, depending on each species DNA. The length of amplification fragment of 208 bp for C. senegalensis, 322 bp for C. abbreviates, 493 bp for C. macrolepidotus, 754 bp for C. arel, 874 bp for C. semilaevis, 952 bp for C. interruptus, 1,084 bp for C. joyneri, 1,198 bp for C. lingua, 1,307 bp for C. robustus, and 1,483 bp for C. monodi with the species-specific primers, visualiz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llowed perfectly distinction of the Cynoglossus species. The multiplex PCR assay can be easily performed on multiple samples and attain final results in less than 6 hours. This technique should be a useful addition to the molecular typing tools for the tentative identification of Cynoglossus species.

Application of Turf grass VFS for Water Pollution Degradation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수질오염저감을 위한 잔디초생대 적용)

  • Lee, Seul-Gi;Iang, Jeong-Ryeol;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7-647
    • /
    • 2015
  •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에 잔디초생대 적용 시 수질오염 저감효과와 적용비용을 산출해 보았다 또한 초생대 본래의 기능 외에 잔디의 활용성에 대해서도 평가해 보았다. 새만금유역 내 익산시 밭경지에 세로 22m${\times}$폭 5m 규모로 대조구 1개소, 처리구 2개소를 각각 조성하여, 처리구 말단에 세로 2m${\times}$폭 5m 규모의 잔디 초생대를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의 경사는 8%이며, 토성은 양토로서 토양배수등급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모니터링 실시한 강우에 대해 각 시험구별로 측정된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생대 처리구의 대조구 대비 유출저감 효과는 14.1~64.0%로 나타났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SS 9.8~73.9%, T-N 24.0~84.2%, T-P 31.6~80.9%으로 나타났다. 잔디초생대 적용시 소요되는 총비용의 산정은 초생대 조성을 위한 잔디구입비 및 관리비용, 초생대 조성 면적만큼의 작물재배 포기로 인한 손해비용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 조성을 위한 잔디구입 및 조성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은 1,730천원/ha로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초생대 구역의 작물 재배포기로 감수해야 할 손해비용은 1,649천원/ha로 산정되어 잔디초생대 적용을 위한 총비용은 3,379천원/ha/year로 산정되었다. 또한 차년에는 조성비용은 제외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비용 및 손해비용만을 고려한 1,899천원/ha/year이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잔디의 활용성 평가는 초생대가 완전 피복된 후 잔디를 일정부분 떼어 내어 판매할 경우를 고려하여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초생대 40% 규모의 잔디를 떼어내 판매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수익은 1,260천원/ha/year으로 추정되었으며, 떼어낸 부위의 잔디 재활착은 정상적으로 진행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잔디초생대는 새만금유역의 수질오염 저감효과 뿐만 아니라 잔디판매를 통한 농민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초생대의 현장 적용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for Accommodation Power on the Basis of Near Power and Correction Power for distance (근용 도수와 원용 교정도수를 근거로 한 조절력에 관한 연구)

  • Lee, Jeung-Young;Park, Eun-Kyu;Seo, Jeung-I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2 no.4
    • /
    • pp.107-110
    • /
    • 2007
  • Analysis of accommodation amplitude has been conducted for 137 adults, living in rural area, aged from their fifties to eighties. The methods included measurement of correction power for distance via auto-refractometer, measurement of near power based on trial frame and trial lens set, and calculation of effective accommodation amplitude using 1/2 and 2/3 of the maximum accommodation amplitude. The research results for participants aged in their fifties, sixties, seventies, and eighties showed 1.84~2.46D, 1.55~2.06D, 1.43~1.90D, and 1.22~1.62D respectively. I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existing knowledge regarding accommodation amplitude associated with age.

  • PDF

Evaluation of the Neural Fiber Tractography Associated with Aging in the Normal Corpus Callosum Using the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을 이용한 정상 뇌량에서의 연령대별 신경섬유로의 변화)

  • Im, In-Chul;Goo, Eun-Hoe;Lee, Jae-S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5 no.4
    • /
    • pp.189-194
    • /
    • 2011
  • This study used magnetic resonance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neural fiber tractography according to the age of normal corpus callosum and to evaluate of usefulness. The research was intended for the applicants of 60 persons that was in a good state of health with not brain or other disease. The test parameters were TR: 6650 ms, TE: 66 ms, FA: $90^{\circ}$, NEX: 2, thickness: 2 mm, no gap, FOV: 220 mm, b-value: $800s/mm^2$, sense factor: 2, acquisition matrix size: $2{\times}2{\times}2mm^3$, and the test time was 3 minutes 46 seconds. The evaluation method was constructed the color-cored FA map include to the skull vertex from the skull base in scan range. We set up the five ROI of corpus callosum of genu, anterior-mid body, posterior-mid body, isthmus, and splenium, tracking, respectively, and to quantitatively measured the length of neural fiber. As a result, the length of neural fiber, for the corpus callosum of genu was 20's: $61.8{\pm}6.8$, 30's: $63.9{\pm}3.8$, 40's: $65.5{\pm}6.4$, 50's: $57.8{\pm}6.0$, 60's: $58.9{\pm}4.5$, more than 70's: $54.1{\pm}8.1mm$, for the anterior-mid body was 20's: $54.8{\pm}8.8$, 30's: $58.5{\pm}7.9$, 40's: $54.8{\pm}7.8$, 50's: $56.1{\pm}10.2$, 60's: $48.5{\pm}6.2$, more than 70's: $48.6{\pm}8.3mm$, for the posterior-mid body was 20's: $72.7{\pm}9.1$, 30's: $61.6{\pm}9.1$, 40's: $60.9{\pm}10.5$, 50's: $61.4{\pm}11.7$, 60's: $54.9{\pm}10.0$, more than 70's: $53.1{\pm}10.5mm$, for the isthmus was 20's: $71.5{\pm}17.4$, 30's: $74.1{\pm}14.9$, 40's: $73.6{\pm}14.2$, 50's: $66.3{\pm}12.9$, 60's: $56.5{\pm}11.2$, more than 70's: $56.8{\pm}11.3mm$, and for the splenium was 20's: $82.6{\pm}6.8$, 30's: $86.9{\pm}6.4$, 40's: $83.1{\pm}7.1$, 50's: $81.5{\pm}7.4$, 60's: $78.6{\pm}6.0$, more than 70's: $80.55{\pm}8.6mm$. The length of neural fiber for normal corpus callosu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enu(P=0.001), posterior-mid body(P=0.009), and istumus(P=0.012) of corpus callosum. In order of age, the length of neural fiber increased from 30s to 40s, as one grows older tended to decrease. For this reason, the nerve cells of brain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neural fiber tractography to progress actively in middle age.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의 렉틴 결합양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계명찬;전용필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1
    • /
    • pp.120-129
    • /
    • 1994
  • 생쥐의 배우자간 인식과 수란관과 난자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정 전후의 난자와 배아에 형광으로 표지된 5가지 렉틴(UEA-1. LCA, PNA RCA-1, GSL-1)을 처리하여 투명대, 위낭강 원형질 막에서 렉틴의 결합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수정난자 및 수정란의 투명 대에는 UIA-1을 제외한 4가지 렉틴이 결합하였다. PNA RCA-1, GSL-1은 투명대의 의총보다 내층에 강하게 결합되었고 UEA-1과 LCA는 투명대의 전층에서 미약하지만 고르게 결합하였다 배란된 난자의 위난강은 LCA와 PNA에 의해 결합되었으며 UEA-1은 수정 이후부터 GSL-1은 2-세포기 이후부터 위난강에 결합하였다.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체외성숙을 일으킨 난자의 위난강에는 5가지 렉틴 모두 결합하지 않았다. 난자와 배아의 원형질막은 PNA. RCA-1, GSL-1에 의해 결합되었고, LCA 및 UEA기은 수정 이후부터 원형질막에 결합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glucosamine, N-acetylgalactoamine 관기를 함유한 물질이 난구세포에서 생성되어 위난강에 축적되며 배란 후부터 난자의 위난강내 탄수화물관기는 수란관내액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난자 투명대의 탄수화물관기는 내층에 밀집되어 분포하는데 이는 정자의 투명대 관입 조절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수정 후 난자의 원형질막 표면에 fucose와 mannose 등의 탄수화물 잔기가 새로이 노출되며 초기배아 발생동안 위난강에 존재하는 구조물의 렉틴 결합 특성이 유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