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첨가

검색결과 9,194건 처리시간 0.031초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HA Added Mayonnaise)

  • 김재욱;심중환;김종수;한승수;유무영;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9-183
    • /
    • 1996
  • 본 연구는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와 첨가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을 비교하고,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온$(25^{\circ}C{\pm}1^{\circ}C)$에서 보관할 경우, DHA가 첨가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더 빨리 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HA가 첨가된 마요네즈의 관능적인 품질은 제조일로부터 5개월 이후부터 현저히 감소되었다. 냉장온도$(4^{\circ}C{\pm}1^{\circ}C)$에서 보관할 경우에도, DHA를 첨가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더 빨리 산화되었다. 그러나, 두가지 마요네즈는 모두가 냉장조건에서 8개월 이내에는 외관상 및 관능상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요네즈가 상온에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DHA가 첨가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유통기한을 2내지 3개월 정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삼 캘러스 원형질체의 세포분열과 세포벽 재생에 미치는 Dimethylsulfoxide의 효과 (Effects of Dimethylsulfoxide on the Cell Wall Regeneration and Cell Division of Protoplas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allus)

  • 이석찬;이규배;박종범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9-434
    • /
    • 2000
  •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캘러스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를 DMSO가 O%에서 8%까지 여러 가지 농도로 첨가된 원형질체 배양배지 (1 mg/L 2,4-D, 4 mg/L NAA, 1 mg/L BAP, 0.4 M mannitol 및 0.8% agar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하였다. DMSO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벽 재생률은 약 62%이고 세포분열빈도는 약 7%이었다. 반면에, 1% DMSO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벽 재생률과 세포분열빈도는 각각 약 83%와 약 27%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된 원형질체의 세포활성은 배지에 첨가된 DMSO의 유무나 농도와는 관계없이 모든 배지에서 83∼88%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DMSO가 첨가된 배지에서 3일 동안 배양된 원형질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원형질막 근처에 평행으로 배열하고 있는 미소관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원형질막 표면에는 세포벽 성분인 cellulose fibril들이 연결되어 다발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DMSO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원형질체에서는 이러한 전자현미경적 구조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원형질체 배양배지에 첨가된 DMSO는 미소관편제센타 (MTOC)의 형성에 의하여 세포벽 재생과 세포분열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양식넙치의 Ceroid중 치료효과에 대하여 (The treatment of Ceroidosis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ces)

  • 이창훈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3-175
    • /
    • 1993
  • 1. 과산화물가가 90.4mEq/kg인 산화사료를 180일간 투여하여 Ceroid증이 발생한 어류를 1991년 10월 1일부터 11월 4일까지 Ceroid증의 치료실험을 행하였다. 2. 치료하기 위하여 정상사료(POV : 15.5mEq/kg)에 glutathione을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 10, 20, 30, 40mg/kg/day을 첨가한 실험군 그리고 산화사료(POV : 90.4mEq/kg)만 투여한 대조군에서의 성장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 및 무첨가한 실험군에서는 거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glutathione을 첨가한 모든 실험군에 있어서는 실험군별 차이없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3. 병리조직학적으로는 glutathione 10, 30mg/kg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투여 7일째부터 ceroid 침착량 및 손상된 조직의 회복상태를 나타나기 시작하여 투여 21일 이후부터는 거의 정상적인 조직상을 나타내었다. glutathione 10mg/kg과 30mg/kg 첨가한 실험군별 조직회복상태는 10mg/kg/day 첨가한 실험군 보다 30mg/kg/day 첨가한 실험군에서가 치료효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알긴산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어육연제품용 천연 식품보존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lginic Acid Hydrolysate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for Fish Meat Paste Products)

  • 장동석;조학래;이현숙;박미연;임성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23-826
    • /
    • 1998
  • Na-alginate에 등량의 ascorbic acid를 섞은 후 물을 가하여 알긴산 4%용액을 만든 다음 $121^{\circ}C$에서 $20{\sim}30$분간 가열하여 상대점도 1.05, pH 3.2의 whitish-yellow color의 불투명한 알긴산 가수분해물을 얻었으며, 이 알긴산 가수분해물은 nutrient broth에 0.1% 첨가(가수분해물속의 알긴산의 양을 기준하여)로 어묵의 주요 부패균인 Bacillus sp.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가수분해물 0.3% 첨가 제품은 pH 6.7이었고, 0.5% 첨가 제품은 pH 6.6으로서 무첨가 제품의 pH 7.4 보다는 약간 낮았다. 첨가제품은 약간 구수한 맛(고구마 맛과 유사)을 내었다. 제품의 탄력을 파단강도로 측정한 결과 가수분해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색상은 가수분해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화되었으므로 0.3% 이상의 첨가는 곤란하였다. 어묵의 제조시 가수분해 물을 0.3% 첨가하고 $3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가수분해 물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1일 가량 보존기간이 연장되었고, $20^{\circ}C$ 저장시에는 2일이, $15^{\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는 4일 가량 보존기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 배축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from hypocotyls explants of Astragalus sinicus L.)

  • 박민선;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6-400
    • /
    • 2015
  • 자운영 배양으로부터 신초발생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축절편을 0.1, 1.0, 2.0 4.0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6주 동안 배양하였다. MS배지에 2,4-D가 0.1 또는 1.0 mg/L로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신초발생능 캘러스 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4-D와 BA 를 혼합 첨가한 배지에 옮겨 4주 동안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먼저 2,4-D 농도에 따라 신초와 뿌리를 형성하는 캘러스, 뿌리를 형성하는 캘러스, 캘러스, 진한 갈색으로 변하는 캘러스 등 여러가지 형태발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신초와 뿌리를 갖는 캘러스는 2,4-D가 낮은 농도로 첨가 되었을 때 형성되었으며, 반면 신초가 없는 캘러스, 갈변 되는 캘러스는 고농도로 처리되었을 때 형성되었다. 또한 BA와 2,4-D가 조합첨가된 배지에서는 신초발생에 효과적이었으며, 뿌리 발생은 감소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신초발생은 1.0 mg/L 2,4-D 와 0.5 mg/L BA가 조합 첨가되었을 때 얻어졌으며, 이러한 신초들은 1/2 MS기본배지에서 대부분 유식물체로 생육되었으며, 토양에서 정상적으로 적응하여 생장하였다.

계란 난황 레시틴 추출 부산물이 사료 내 Ca 함량을 조절한 산란계의 생산성과 Ca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Supplemental Lecithin-free Egg Yolk at Different Dietary Calcium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 Absorption of Laying Hens)

  • 한종권;오미향;남정옥;지기쁨;심인숙;박근태
    • KSBB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58-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산란계의 in vivo실험을 통하여 난황 레시틴추출 부산물이 산란계의 뼈의 Ca 침착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산란계 전기 사료에 Ca의 수준을 0%, 0.2%, 0.4%, 0.6%로 조절하여 실험한 결과 증체량에서 0%, 0.2% Ca을 첨가한 그룹의 증체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0.4%, 0.6% 첨가 그룹에서는 정상적인 성장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0.4% Ca을 첨가한 그룹에 레시틴 추출 부산물을 0.2%, 0.4% 첨가한 그룹에서 각각 1.5%, 7.1%로 증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제 산란계의 경골을 적출하여 중량, 회분, Ca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경골 중량에서는 0.4% Ca 첨가그룹에 비해 레시틴 추출 부산물을 추가로 첨가한 그룹에서 각각 8.4%, 13.4%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회분량에서도 0.4% 첨가 그룹에 비해 레시틴 추출 부산물 첨가그룹에서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경골내의 Ca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0.4% Ca 첨가그룹에 비해 레시틴 추출 부산물이 4.3%, 5.9%가 각각 유의한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경골에 실제로 Ca이 흡수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lateral femoral joint 부분을 von Kossa's stain을 실행한 결과 Ca 결핍 그룹에서 Ca 축적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한 반면, 그 외 그룹에서는 Ca이 충분히 침착되어 있었으며 산란계 사료내의 적정 Ca 함량이 0.4%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계란 난황의 레시틴 추출 부산물의 단백질 분획 소재를 이용하여 뼈 성장 촉진 인자 및 Ca 흡수촉진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으며, 그 기대를 높이기 위해 혈액분석, 측정항목의 세분화 등 반복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겠다.

Chitosan을 첨가한 혼합 소맥분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itosan-added Wheat Flour on the Bread Quality)

  • 윤미숙;이정훈;김석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54
    • /
    • 2002
  • 식빵의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밀가루에 chitosan을 1, 3, 5% 첨가하여 반죽의 발효력, 빵의 부피 및 비용적, 관능검사에 의한 품질평가, 노화진행 등의 분석으로 제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죽의 발효력은 chitosan 1%, 첨가시 가장 양호하였으며 chitosan 양이 증가할수록 발효는 지연되었다. 2. 빵의 부피는 chitosan 1% 첨가시 가장 양호하였으며 chitosan 양이 증가할수록 부피가 작았고, 비용적도 chitosan 1% 첨가시에 가장 높은 값을 타나냈다. 3. 노화 진행 정도는 chitosan 1% 첨가시 가장 느리게 진행되었다. 4. 관능검사에 의한 빵의 품질 평가는 chitosan 1% 첨가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로 chitosan을 1%, 첨가시 제빵 적성이 양호하였을 뿐만 아니라 chitosan을 함유한 기능성 식빵 개발이 가능한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오디 첨가한 식혜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 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6-215
    • /
    • 2012
  • 본 연구에서 오디를 첨가하여 당화와 식혜의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화기간 동안의 pH의 변화는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으며 당화 4시간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irc}Brix$는 4시간까지는 매시간 1 $^{\circ}Brix$이상 증가하고, 4시간 이후는 변화폭이 1 $^{\circ}Brix$이하로 감소하여 당화시간은 4-5시간이 적당한 것으로 보여진다. 오디 식혜의 색도는 L 값은 감소하고 a 값과 b 값은 증가하였고 오디 식혜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오디의 anthocynin색소에 미생물 억제 효과가 있으며 오디 식혜의 기호도는 10% < 30% < 15% < 20% < 0% < 25% 이었고 오디의 첨가량은 10% 초과 25% 이하가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 지며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오디 식혜의 당도는 증가하여 오디의 첨가는 식혜의 설탕 사용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보여 지며 제품의 색깔과 산미를 부여하여 기호를 증진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귤과피를 함유하는 유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with Citrus Peel Powder)

  • 배화순;이예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88-396
    • /
    • 2002
  • 유과의 품질을 향상과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감귤과피(0, 2, 4 및 6%)를 첨가하여 제조한 유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율은 대조구(1,740%)보다 첨가구(855~l,517%)에서 낮았다. 감귤과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한 반면 아삭아삭한 정도는 감소하였으나 전통유과의 텍스쳐 범위에 속하였다. 색상은 대조구(L*값 70, a*값 3.30, b*값 12.6)의 경우는 백색을 띄었으나 첨가구(L*값 63.3~49.9, a*값 10.6~17.5, b*값 12.6~56.4)는 연황~황색을 띄었다. 감귤과피를 첨가한 유과의 carotenoid, hesperidin 및 naringin의 함량은 각각 0.18~0.5lmg%, 36.55~101.60mg%, 24.65~70.8lmg%범위였다. 관능검사에 의하여 펑가된 색상에 대한 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는 감글 과피륵 4% 첨가한 유과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감귤의 향긋한 냄새가 있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첨가 구간의 단맛과 신맛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참나물을 첨가한 토마토소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Added with Pimpinella brachycarpa)

  • 장상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69-182
    • /
    • 2014
  • 참나물의 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토마토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pH는 동결건조한 참나물을 첨가한 토마토소스는 참나물을 첨가한 토마토소스와는 반대로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였다. 당도는 참나물을 첨가한 PBF0이 1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참나물과 동결건조한 참나물을 첨가한 토마토소스의 L값, a값, b값 모두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수분함량은 동결건조한 참나물 시료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이 감소하였다. 동결건조한 참나물 4% 첨가군인 PBP4가 29.58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참나물을 토마토소스에 첨가시에 미생물 총균수 검출이 감소되었으며, 동결건조한 참나물 보다는 참나물을 생으로 넣었을 때 미생물 생육억제작용이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참나물을 첨가한 토마토소스의 기호도에서 색은 참나물 2%를 첨가한 PBF2가 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맛은 참나물 1%를 첨가한 PBT1이 3.7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PBT2가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한 참나물을 첨가한 토마토소스의 색은 참나물 2%를 첨가한 PBP2가 5.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맛과 뒷맛은 PBP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PBP3이 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적인 결과로 보아 토마토소스 제조시에 참나물과 동결건조한 참나물의 첨가비율은 2~3% 사이가 가장 좋을 것이라 사료되며, 오히려 4%이상의 참나물을 첨가시에는 참나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기호도를 감소시킬 것이라 사료된다. 참나물의 다양한 시료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되며, 또한 첨가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식품과의 조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나물을 최근 들어 서양소스 중에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토마토소스에 첨가를 하여 기능성소스로서 상품성과 시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