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IND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36초

북동태평양 심해저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Macrozoobenthic Communities of the Deep Sea Sediments in the Northeastern Pacific Ocean)

  • 최진우;김동성;현정호;이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367-376
    • /
    • 2004
  • Macrobenthos were collected at 7 stations located from $5^{\circ}N$ to $10^{\circ}N$ with 1o interval along the longitude of $131^{\circ}W$ using a box corer with sampling area of $0.25\;m^2$ in July, 1999. In order to se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ediments, each subcore sample was divided into 5 layers with 1 cm interval up to 6 cm depth. Each subcore sample was sieved through 0.3 mm mesh screen and fixed with 10% Rose Bengal added formalin. A total of 22 faunal groups in 11 phyla were sampled and the average density was $959\;{\pm}\;584\;ind./m^2$. Foraminiferans comprised 34.8% of total specimens were the most abundant fauna, and followed by nematodes (27.5%), polychaete worms (15.7%), and benthic harpactoid copepods (10.4%). A latitudinal trend was shown in the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the maximum density of $1,832\;ind./m^2$ appeared at station N06 and the most poverished community occurred at station N09 with the density of $248\;ind./m^2$. The density of typical macrofaunal taxa except foraminiferans and nematods was $116\;ind./m^2$.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more than 70% of macrobenthos occurred in the upper 2 cm layer, and upper 4 cm layer contained about 90% of macrofauna. Polychaete worms consisted of 22 families, and cirratulid and paraonid worms were dominant polychaete species. The prominant feeding guilds of polychaete worms were SDT (surface, descretely motile, tenaculate feeding) and SMX (surface, motile, non-jawed); they comprised more than 50% of polychaete abundance. These feeding guilds of polychaete worms suggests that the deep sea benthos should be well adapted the newly settled deposits from water column, but this should be clarified by the further studies.

(2-(2,6-디클로로페닐)아미노)페닐 아세트산나트륨의 합성 (The Synthesis of Sodium (2-(2,6-Dichlorophenyl)Amino)Phenyl Acetate)

  • 황선원;정노희;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413-418
    • /
    • 1994
  • (2-(2, 6-디클로로페닐)아미노)페닐 아세트산나트륨의 합성단계를 줄이고 각 단계별 합성수율을 향상시켰다. 합성은 4단계로 하였으며 출발물질은 2,6-디클로로아닐린과 모노브로모벤젠을 사용하였다. 첫단계인 Ullmann반응은 구리촉매를 3회 분할 첨가하여 80%의 수율로 진행시켰고, 아실화와 프리델-크라프트 반응도 효율적으로 단순화하였다. 최종 반응생성물인 디클로페낙은 클라이젠 용액을 사용하여 제3단계에서 얻은 1-(2, 6-디클로로페닐)-2-인돌리논을 가수분해함으로써 97%의 수율로 얻었다.

  • PDF

서해 5도 주변해역의 어류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 윤병일;최동혁;임양재;김정년;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3호
    • /
    • pp.213-222
    • /
    • 2020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 in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were investigated by using otter trawls and bongo nets from 2014 to 2015. During the surveyed period using an otter trawl, a total of 53 species, 147,253 ind./㎢ and 2,721,296 g/㎢ of fish were collected by otter trawls. The individual dominant species were Chaeturichthys stigmatias (30.3%), Coilia nasus (18.2%), Engraulis japonicus (12.3%), and Setipinna tenuifilis (12.2%). Moreover, the biomass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Liparis tanakae (21.3%), Beringraja pulchra (18.5%), Engraulis japonicus (8.3%) and Okamejei kenojei (8.1%). Eggs by bongo nets included 1,748 ind./1,000 ㎥ of Engraulis japonicus and 64,691 ind./1,000 ㎥ of unidentified species. A total of 15 species and 2,015 ind./1,000 ㎥ of fish larvae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Johnius belengerii and Pholis fangi.

아미노산 반응 시약을 이용한 의복 안쪽에서의 족적 현출 (Enhancement of Footwear Impressions on Inner Clothes by Amino Acid Staining Reagents)

  • 기진영;김다은;김청;신은영;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2-99
    • /
    • 2017
  • 발로 사람을 가격하는 행위로 인하여 의복과 사람의 피부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는데, 이 때 피부의 다양한 물질들이 의복 안쪽으로 전이가 일어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전이된 물질로 인해서 생겨난 족적을 아미노산 반응 시약인 1,2-IND/Zn, DFO, ninhydrin을 이용하여 현출하고자 하였다. 윤리적인 문제로 인해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돼지 피부를 사용하였으며, 사람 피부 표면과 유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인공 땀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섬유에 아미노산 시약을 적용해 본 결과, ninhydrin은 밝은 색 표면의 섬유에서, 1,2-IND/Zn와 DFO는 모든 색의 표면에서 족적 현출 결과가 좋았으나 노란색과 빨간색 표면의 섬유에서는 배경과 족적의 대조비가 낮았다. 천 종류에 따라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흰 색 면, 면/스판 혼방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검은색 레이온과 면/스판 혼방에서는 자세한 형태의 족적은 확인이 어려웠다.

Aluminum Iso-Propoxide에 의한 구형 알루미나 분체의 제조 (Preparation of Spherical Alumina Particle from Aluminum Iso-Propoxide)

  • 이진화;남기대;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3-170
    • /
    • 1999
  • Spherical alumina powders were prepared by the controlled hydrolysis of aluminum iso-propoxide in a solution consisting of n-octyl alcohol and acetonitrile. As aluminum alkoxide's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article size was increased and size distribution was more broad. As-prepared particle morphology was not spherical when acetonitrile volume fraction was increased over than 60%. As-prepared amorphous powders crystallized to ${\gamma}$-alumina at $1000^{\circ}C$ and converted to ${\alpha}$-alumina at $1150^{\circ}C$. The particle morphology was retain after crystallization ${\alpha}$-alumina. When aluminum iso-propoxide was used as aluminum source, the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 of spherical alumina was 0.1M AIP, 0.2M H2O, $0.1g/{\ell}$ HPC with a volume fraction (1/1) of the n-octyl alcohol/acetonitrile, 10min of reaction time and 30min of aging time.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ubificidae spp. by Flooding during Winter in Paddy Fields)

  • 한민수;김명현;강기경;나영은;김미란;최락중;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9-26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ncreasing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ecosystem and investigate availability of using Tubificidae spp.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rough the survey of growth of Tubificidae spp. in flooded paddy fields during winter. We estimated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in rice paddy where had been flooded during the previous winter in Ganghwa-gun, Suwon-si, and Hwaseong-si (Bongdam-eup and Paltan-myeon) between March and April from 2010 to 2012. During growing period of rice,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was compared between flooded and non-flooded paddy field in Ganghwa-gun. As results,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in winter flooded paddy field was 7,235.5 $ind./m^2$ in Ganghwa-gun, 14,347.5 $ind./m^2$ in Suwon-si, 59,989.9 $ind./m^2$ in Bongdam-eup, and 2,610.6 $ind./m^2$ in Paltan-myeon.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was the highest in flooded paddy fields of Bongdam-eup that was kept wet until rice harvest time and had shallow water. While mean density was the lowest in Paltan-myeon where had deep water and later flooded paddy field than others. In Ganghwa-gun, during growing period of rice,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in flooded paddy fields (171,109.0 $ind./m^2$) and flooded fallow paddy fields (321,084.2 $ind./m^2$) was much higher than non-flooded paddy fields (1,006.6 $ind./m^2$). Flooded paddy field during winter can help increase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which can control weeds and enhance biodiversity in paddy field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Early flooding and shallow water of paddy fields could be a good agriculture practice to encourage the growth of Tubificidae spp..

초음파분무법에 의해 제작된 $SnO_2(:F)$ 박막의 특성 (Properties of fluorine-doped $SnO_2$ films prepared by the ultrasonic spray deposition)

  • Byung Seok Yu;Sei Woong Yoo;Jeong Hoon Lee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94-305
    • /
    • 1994
  • 초음파 분무법에 의한 $SnO_2(:F)$박막의 제막시 DBDA와 $SnCl_4.5H_2O$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은 경우 제막조건이 전기적, 광학적 그리고 표면형상 드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박막의 비저항은 출발물질에 관계없이 용액내의 F/Sn의 비가 0.6일 때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SnO_2.5H_2O$를 출발물질로 사용한 경우 DBDA의 경우보다 낮았다. 용액내의 F/Sn의 비가 1일 때 출발물질로서, $SnO_2.5H_2O$과 DBDA를 사용한 경우 광투과율은 각각 83%와 85%로서 DBDA 사용한 경우가 다소 높았다.

  • PDF

낙동강 중류지점에서의 동물플랑크톤 동태의 연간 변이 및 특성(낙동강) (Characteristics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Zooplankton Dynamics in the Middle Part of the River (Nakdong River))

  • 장광현;주기재;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412-419
    • /
    • 2005
  • 낙동강 중류 지점에서 (왜관, 낙동강 하구언으로부터 175 km 상류 지점)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및 환경요인 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에서의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변화와 연간 변화는 매우 뚜렷하였으며(ANOVA, p<0.01), 1998년과 2002년을 제외하고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 동안 유사한 동물플랑크톤 양상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연 평균 윤충류의 개체수는 43${\pm}76 ind. $L^{-1}$ (평균${\pm}$ s.d., n = 118)이며, 요각류 (1.6${\pm}$4.8 ind. $L^{-1}$)와 지각류 (0.4${\pm}$1.2 ind. $L^{-1}$) 순으로 나타났다. 윤충류 군집내에서는 Brachionus spp. Polyarthra spp., Colurella spp., Keratella spp.와 Trichocerca spp. 등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종들은 전체 총 윤충류의 개체수에 대한 상대 풍부도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조사지점 내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봄과 가을에 급격히 증가 하였으며, 겨울 동안에는 낮은 개체수를 유지하였다. 여름기간 동안, 동물플랑크톤 동태는 수문학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된다. 조사구획 내 동물플랑크톤의 동태는 내적요인 (동물플랑크톤의 먹이상태, 예: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보다는 외적 요인 (강의 수문학적 요인)들에 의해서 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임현식;박흥식;최진우;제종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1호
    • /
    • pp.80-92
    • /
    • 1999
  • 남해안에 위치한 앵강만의 저서동물 군집 구조파악을 목적으로 1994년 10월, 1995년 1월, 5월 및 8월에 앵강만 내에 18 개 정점을 설정하고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233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90 종, 갑각류가 66 종 및 연체동물이 46 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358 개체/$m^2$였으며, 다모류가 874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전체 밀도의 64%를 차지하였다. 습중량은 262.0 gWWt/$m^2$였으며, 극피동물이 137.8 gWWt/$m^2$로서 전체 습중량의 52.6%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 밀도 및 습중량은 앵강만 동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서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석회관갯지렁이인 Ditrupa arientina, 실타래갯지렁이류인 Tharyx sp. 그리고 굴족류인 Fustaria nipponica였는데 각각 밀도가 245 개체/$m^2$, 166 개체/$m^2$ 및 132 개체/$m^2$였다. D. arientina와 F. nipponica는 앵강만 입구역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Tharyx sp.는 앵강만 중앙부 해역에서 밀도가 높았다. 집괴분석 결과 앵강만은 내만에 1 개 정점군, 만 중앙부에 2 개 정점군, 그리고 만 입구에 2 개 정점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앵강만의 저서동물 분포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 PDF

경기도 김포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얼룩날개모기 유충 발생원의 생태학적 특성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pheline Larval Occurrence in Gimpo,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 김용기;이철민;이정분;배양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5-312
    • /
    • 2012
  • 본 연구는 김포시에서 모기성충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성충모기는 6지점에서 유문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8속 16종 48,919마리가 채집되었다. 금빛숲모기(Aedes vexans nipponii)가 43%로 가장 많았고,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s sinensis)가 34%,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14%로 이 3 우점종이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얼룩날개모기류의 계절적 발생소장은 작은빨간집모기와 비교하여 다른 피크를 보였다.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은 203지점 중 138지점(63%)에서 확인되었다. 지점당 정량조사 결과에서 평균유충밀도는 연꽃 재배지가 6.9개체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로가 4.5개체, 미나리꽝이 3.4개체, 유수지가 3.2개체, 휴경논이 3.1개체, 논이 1.8개체, 습지가 1.4개체, 하천이 0.2개체 순이었다. 유충밀도와 용존산소량, 산도, 염분도, 흡밀원(축사, 돈사, 계사) 사이에 유의한 관계성은 없었다. 최근린평균거리분석(ANNA)의 결과에서, 유충 조사지점간 분포패턴은 전체 조사지점간과 4.0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에서 각각 밀집분포와 불규칙분포였다. 하성면에서는 유충이 3.0 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 분산분포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