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000 weight

검색결과 2,250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식용유지 자원식물의 상관 및 유전력 (Heritabil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in Edible Oil Crops in Korea)

  • 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
    • /
    • 1988
  • This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heritability, genotypic, ph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 in four edible oil crops.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plant height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rape were high.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plant hight and ear length, number of pods per ear and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and plant hight, The number of seed per pod showed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ering or maturing date as well a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of 1, 000 grains and plant height or ear length inrapeseed, respectively. Heritabilities of maturing date, length of stem with eapsule and number of seed per capsule were high, in sesam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length of stem with capsule, length of stem with capsule and number of capsule per plant, number of capsule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weight of 1, 000 grains and yield were highy positive in sesame.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length of main stem, weight of 100 grains and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in peanut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main stem and yield, number of shells per quare meter and matured seed ratio,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and yield, 100 grains weight and yiel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Heritabilities of days to flowering,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perila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etc, between number of internodes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lant as well, respectively. Whil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weight of 1, 000 grains, between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 PDF

들깨 수량에 관여하는 주요 형질간의 상관관계와 그들 형질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 Componen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Yield of Perilla)

  • 유익상;최병한;오성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1권
    • /
    • pp.99-103
    • /
    • 1972
  • 들깨 수량에 영향하는 형질을 정확히 알기 위하여 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와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경식경, 화방수, 경중과 유효분지수는 화방수와 높은 정의 상관을 그리고 유효분지수는 1,000입중과 화방수는 1,000입중과 각각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2.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는 형질은 경중, 화방수 1,000입중 유효분지수, 경직경등이다. 3. 간접적 효과는 경장대 경중, 유효분지수 대 화방수, 화방수 대 경중간에 높은 값을 보였다. 4. 들깨의 수량은 경장이 길고 유효분지수 및 화방수가 많으며 1,000입중과 경중이 무거운것일수록 수량이 많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 PDF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Molecular Weight of Poly-hydroxybutyric acid (PH B) Produced by Alcaligenes sp. K-912

  • Yeom, Sung-Ho;Yoo, Young-J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210-214
    • /
    • 1994
  • The molecular weight of poly-hydroxybutyric acid (PHB) produced by Alcaligenes sp. K-912 is an important parameter character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the levels of glucose, ammonium, phosphate and amino acids on the molecular weight of PHB were investigated. Molecular weight of PHB by temperature varied in the range of 380,000 to 550,000, 400,000 to 600,000 by glucose, 300,000 to 380,000 by phosphate, 400,000 to 1,000,000 by amino acids, respectively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 PDF

소맥육종에 있어서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의 선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on for Grain Yield and Components of Yield in Wheat Breeding)

  • 이동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33-59
    • /
    • 1974
  • 소맥육종에 있어서 수량에 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적정보를 얻고저 1968년부터 1971년까지 4개년에 걸쳐 작물시험장포장에서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수량 및 수량관계형질의 유전력과 형질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고정품종군과 F$_2$개체군 그리고 F$_3$계통군을 공시하였고 고정품종군으로서 시비량과 년차를 달리하여 수량 및 수량관계형질상호관계의 변동상황을 추구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들을 한국, 미국, 일본품종군으로 또 조생, 만생품종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한바 출수기, 간장, 수장의 유전력은 어느품종군에 있어서나 높았고 1수입수, 1,000입중의 유전력은 중정도, 그리고 1주수수와 수량의 유전력은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미국품종군에 있어서만은 1수입수와 수량의 유전력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2. 1,000입중과 수량간에는 만생품종군을 제외한 모든 품종군에 있서어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으며 1수입수와 수량간에도 미국품종군을 제외한 모든 품종군에 있어서 높은 유전상관이 인정되었다. 3. 경로계수분절결과,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만생품종군을 제외한 모든 품종군에 있어서 1,000입중이 가장 컸다. 4. F$_2$에 있어서는 1,000입중과 수량간에 2조합에서 모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으며 1수입수와 수량간에도 조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5. F$_2$에 있어서 경로계수분절결과 수량구성요소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6. F$_3$에 있어 수량과 높은 유전상관을 보인 것은 1,000입중과 1수입수였으며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도 1수입수가 가장 컸고 1,000입중의 직접효과도 큰편이었다. 7. 유전력이 높은 출수기, 간장, 수장등의 유전력은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나 비반응형 품종군에 있어서 시비량증가에 따른 변동이 거의 없었다. 8.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1,000입중의 유전력이 그리고 비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수량의 유전력이 시비량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9. 비료비반응형품종군의 1수입수의 유전력과 1,000입중의 유전력은 비료반응형품종군의 그것보다 높았다. 10. 비료반응형품종군과 비반응형품종군에서 공히 수량과 높은 유전상관을 보인 것은 1,000입중이었으나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 그 상관의 정도는 비료증시에 따라 낮아졌는데 비료비반응형품종군에서는 이와 반대였다. 11. 비료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수량과 1주수수간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으나 비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는 상관정도가 매우 낮았다. 12. 경로계수분석결과 수량구성요소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비료반응형품종군에서나 비반응형품종군에 있어서나 시비량차에 관계없이 1,000입중이 가장 컸으며 비료반응형품종군의 다비구에서만 1주수수가 컸다. 13. 년차에 의한 유전력의 변동은 유전력이 높은 출수기, 간장, 수장과 1수입수, 1,000 입중등에서는 변동이 적었으며 유전력이 낮은 1주수수에 있어서 변동이 큰 편이었다. 14. 양년차에서 공히 수량과 유전상관이 높았던 형질은 1,000입중이었으며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도 가장 큰 편이었다. 1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의 소맥육종에 있어서는 다수성의 선발은 1,000입중에 주목하여 선발하는 것이 선발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될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전엽처리(剪葉處理)가 수도(水稻)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efoliation on the Yield Components of Rice)

  • 박종성;이인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21-25
    • /
    • 1977
  • 본시험(本試驗)은 유신(維新)과 밀양(密陽)15호(號) 2품종(品種)서 출수후(出穗後) 전엽(剪葉)의 정도(程度)와 정리부위(庭理部位)를 달리했을 때 전엽(剪葉)이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용양시험(用陽試驗)을 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전엽처리(剪葉處理)에 따른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은 모두 현저(顯著)히 저하(低下)되었으며 처리간(處理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밀양(密陽)15호(號)의 천립중(千粒重)은 예외(例外))를 보였다. 엽위별(葉位別) 존치엽수(存置葉數)와 그 조합(組合)에 따른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은 엽신(葉身) 1매(枚)를 존치(存置)하였을 때에는 $L_1>L_2>L_3>L_4$순(順)으로 그 영향(影響)의 크기를 보였고, 엽신(葉身) 2매(枚)를 존치(存置)하였을 때에는 상위엽(上位葉)이 조합(組合)된 것이 높았다. 유신(維新)은 처리(處理)가 상대적(相對的)으로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천립중(千粒重)을 제외(除外)하고는 등숙율(登熟率)과 수중(穗重)에서 모두 전엽처(剪葉處)리에 대(對)한 반응(反應)이 밀양(密陽)15호(號)보다 민감(敏感)한 것으로 보아 생육말기(生育末期)에까지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의 증가(增加)에 미치는 엽(葉)의 영향(影響)이 지대(至大)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재식밀도가 단옥수수의 이삭수, 이삭무게 및 조수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Populations on the Number and Weight of Ear and Gross Income in Sweet Corn)

  • 이석순;백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7-121
    • /
    • 1990
  • 단옥수수의 수량을 상품성 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이삭크기별 시장가격을 적용한 조수입으로 평가하였을 때 이들 수량평가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단옥수수 품종 Golden Cross Bantam 70을 재식밀도(5,000, 6,000, 7,000, 8,000, 9,000주/10a)를 달리하여 0.3mm 투명 P.E. film 피복하에서 재배하였다. 출아후 30일과 44일에 초장과 분벽수를 조사하였고, 이삭조사는 출사후 25일에 수확하여 포엽을 제거한 후 이삭의 수, 크기, 무게를 조사하고 무게별 이삭수,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조수입을 계산한다. 1. 초장, 간장, 착수고, 분벽수, 출사기는 재식밀도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확기의 주간 엽면적지수는 1.1-1.9로서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상품성있는 이삭의 평균길이, 굵기, 무게와 포엽을 제거한 이삭무게가 150g 이상인 상품의 비율은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3. 10a당 상품성있는 이삭수, 이삭무게 및 크기별 가격과 이삭수를 고려한 조수입은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들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있었다. 재식밀도가 높을때는 이삭수는 조수입보다 과대평가되었고, 이삭무게는 과소평가되었다. 4. 이삭을 수확한 후 경엽의 건물수량은 755-964kg/10a으로 7,000주/10a까지는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건물함량은 20.7-24.5%이었다. 5. 흑조위축병 리병율은 10.6-15.0%이었으나 재식밀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마황윤폐탕(麻黃潤肺湯) 추출물의 수컷 ICR 마우스에서 경구 단회투여 독성 평가 (Single Dose Toxicity Test of 'Mahwangyounpae-tang' Extract in Male ICR Mouse)

  • 정우식;조동희;서영호;박미연;최해윤;김종대;전귀옥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42-448
    • /
    • 2006
  • To obtain the 50% lethal dose (LD50), approximated lethal dose (ALD) and approximated target organs of 'Mahwangyounpae-tang' for further study like repeat dose toxicity, genotoxicity and reproductive toxicity, single dose toxicity was tested in male ICR mouse according to KFDA Guideline 1999-61 [KFDA, 1999] at a dosage level of 2,000, 1,000, 500, 250 and $125\;mg/kg/10m{\ell}$. In this study,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body weight gains, gross findings and weight of principal organs were detected during and/or after 14 days of single dosing. After 2 or 3 days of dosing, 1 or 2 animals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were died. Excitation and leaping response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clinical signs. These abnormal sign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nd they were recovered to normal within 4 days after dosing in case of survivors. A significant decrease of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some periods of observation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from 1 days after dosing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of body weight gains were observed in observation periods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Hypertrophy of heart and decoloration of kidney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gross findings. These abnormal finding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of absolute and relative heart and kidney weight were demonstrated in 2,000 mg/kg-dosing groups. LD50 in this study was detected as 2,242.42 mg/kg. ALD in this study was detected as 1,000 mg/kg and the target organ was considered as the heart and kidney.

마황윤폐탕(麻黃潤肺湯) 추출물의 수컷 SD Rats에서 경구 단회투여 독성 평가 (Single Dose Toxicity Test of Mahwangyounpae-tang Extract in Male SD Rats)

  • 조동희;박미연;최해윤;김종대;전귀옥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2-113
    • /
    • 2006
  • Objectives & Methods : To obtain the 50% lethal dose(LD50), approximated lethal dose(ALD) and approximated target organs of 'Mahwangyounpae-tang' for further study into such things as repeated dose toxicity, genotoxicity and reproductive toxicity, single dose toxicity was tested in male SD rats according to KFDA Guideline 1999-61[KFDA, 1999] at dosag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125 mg/kg/$10m{\ell}$. In this study,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body weight gains, gross findings and weight of principal organs were detected during and/or after 14 days of single dosing. Results & Conclusions : After 2 or 3 days of dosing, 1 or 2 animals in 2,000 mg/kg-dosing groups died. Excitation and leaping response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clinical signs. These abnormal sign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nd survivors recovered to normal within 3 or 4 days after dosing.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some periods of observation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from 1 days after dosing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diminished body weight gains were observed in observation periods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Hypertrophy and hemorrhage of heart and decoloration of kidney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gross findings. These abnormal finding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of absolute and relative heart and kidney weight were demonstrated in 2,000 mg/kg-dosing groups. The value for LD50 found in this study was 2,218.57 mg/kg. ALD in this study was 2,000 mg/kg, and the target organs are considered to be the heart and the kidney.

  • PDF

재배 상황버섯 추출물의 경구투여 급성독성 연구 (Acute Oral Toxicity Studies of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 한용석;박순영;최병기;정세영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1호
    • /
    • pp.46-50
    • /
    • 2001
  •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cute oral toxicity of a crude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 SD rats. 5 rats of each sex were orally treated with a single dose of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at doses of 0, 500, 1,000, 2,000 mg/kg, respectively. After the treatment, clinical signs and body weight change, the food and water consumption were observed for 14 days. All animals survived during the study and did not show any clinical signs. Body weight gai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rats. However, body weight gain delayed in high dose group (2,000 mg/kg) on day 1~3 after administration. Another 5 rats of each sex were orally treated with a single dose of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at dosages 4,000, 5,000 mg/kg respectively, but all animals survived during the study and did not show any clinical signs. It is suggested that LD$_{50}$ of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by oral administration was estimated to be over 5,000 mg/kg in both sexes of rats.s.

  • PDF

양돈폐수의 정화처리 과정별 유기물질 성분과 분자량 분포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Organic Compounds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 Pig Wastewater by Each Treatment Steps.)

  • 최희철;이덕수;권두중;강희설;유용희;연규영;최영수;곽정훈;최동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6
    • /
    • 2004
  • 양돈폐수의 원수, 활성오니정화처리, 오존 처리 및 $TiO_2$처리 등 각 정화처리단계별 유기물질의 성분특성 및 분자량의 분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돈폐수 원수 중에는 acetic acid, 2-butanone, hexane, chloroform, propionic acid, butanoic acid 등 33종의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phenol 28.7%, benzoic acid 9.9%, benzeneacetic acid 13.3% 등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오존처리 후 ethene, pentane, 2-methyl-propanal, hexane, furan 등 13종의 유기물질이 존재하였으며, hexane이 67.8%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TiO_2$ 처리를 한 후에는 ethene, hexane, chloroform, 1-decene, silane 등 12종의 유기물질이 존재하였으며, ethene 8.8%, hexane 16.2%, 1-dodecene 8.0%, 1-tetradecene 10.8%, cyclo-trisiloxane 12.6% 등의 분포를 보였다. 4. 양돈폐수 원수는 500Da 이하의 분자량이 15%, 500-1,000Da 분자량이 14% 1,000∼3,000Da 분자량인 물질은 21%를 차지하였다. 5. 활성오니처리 후 분자량 500Da 이하는 7%, 500∼1,000Da 12%, 1,000∼3,000Da 10%이었으며 난분해성 물질인 분자량 3,000∼10,000Da 24%, 10,000Da 이상 26%로 고분자 물질의 분포가 높아졌다. 6. $TiO_2$ 처리 후 분자량 3,000∼10,000Da 5%, 분자량 10,000Da 이상 5%로 급격히 감소한 반면 분자량 500Da 이하 31%, 분자량 500∼1,000Da 54%를 차지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