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1A72

검색결과 1,177건 처리시간 0.028초

철 보충제 섭취가 빈혈 여고생의 철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on Supplementation on Iron Status of Anomic High School Girls)

  • 홍순명;황혜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726-733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n the iron nutritional status and anemia of high school girls in Korea. One hundred thirty-five female students residing in Uli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diagnosed as having anemia or iron deficiency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or two tablets of iron medicine(80-160 mg Fe as ferrous sulfate/day)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for 3 months.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a questionaire, measurement of hematological indices before and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respondents were 161.62 $\pm$ 4.68 cm and 53.87 $\pm$ 6.10 kg, respectively. Daily intakes of energy were 1597.8 $\pm$ 302.35 kcal(76.0% RDA). Iron intakes were 13.72 $\pm$ 4.17 mg (76.3% of RDA) and calcium intakes were 580.74 $\pm$ 177.21(72.5% of RDA) before iron supp]ementation. At baseline, 63% of all participants had depleted store(serum ferritin 12 ug/ml and/or transferrin saturation(TS) < 14%).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is proportion declined to 19.3%. 55.6% of subjects had 12 ug/m1 of basal ferritin concentration before iron supplementation, and this proportion declined to 16.3%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basal hemoglobin(Hb) concentrations were 12.13 $\pm$ 1.01 g/dl and they increased to 12.79 $\pm$ 0.81 g/dl,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rtier iron supplementation(p < 0.001). The basal ferritin and TS(%) were 13.24 $\pm$ 11.66 ng/ml, 18.42 $\pm$ 10.12% and they significantly increased to 32.95 $\pm$ 21.14 ng/ml, 33.53 $\pm$ 16.64%, respectively(p < 0.001). The basal total iron binding protein(TIBC) were 467.81 $\pm$ 97.24 ug/dl and they significantly decreased to 325.05 $\pm$ 48.89 ug/dl(p < 0.001)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number of tablets administer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iron(t = 0.553, p < 0.01), serum ferritin(t = 0.557, p < 0.01), TS(%)(t = 0.588, p < 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BC(t= -0.409, p <0.01). The anemia symptoms such as ‘Shortening of breath when going upstairs(p < 0.01)’, ‘Tired out easily(p < 0.01)’, ‘Feeling blue(p < 0.001)’, ‘Decreased ability to concentrate(p < 0.01)’, and ‘Poor memory(p < 0.001)’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ron supplementation. In this study, daily iron supplementations were efficacious in improving the iron status and anemic symptom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gular check-up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their vulnerability to iron deficienc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minimum effective dose of iron and to examine the adverse effect of long-term iron supplementation.

  • PDF

효모세포벽 분해효소 생산균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및 효소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solation of a Lytic Fungi and Optimization of the Lytic Enzyme Production)

  • 오만진;김찬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123-129
    • /
    • 1977
  • 효모세포벽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386주(株)의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중 강한 1주(株)를 선발 동정(同定)하고 선정균의 효소생산조건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선정한 M-10 strain은 Humicola sp.로 동정(同定) 되었다. 2. 선정균의 효소생성은 pH 6.0 $33^{\circ}C$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3. 탄소원으로서 baker's yeast 4%가 Iytic enzyme 생산에 가장좋았고 기타 laminarin과 dextrin 등이 효과적이었으며 질소원도 peptone이 다소 효과적이나 baker's yeast로서 족하였다. 4. 효소생산에 $K_2HPO_4$ 0.1%와 $MgSO_4{\cdot}7H_2O$ 0.01%의 첨가가 가장 효과적이고 기타 염류의 첨가는 효과가 없었다. 5. 선정한 배지조성에서 72시간 진탕배양으로 최고에 달하였다.

  • PDF

기독대학생의 영적안녕, 공격성, 및 행복감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 well-being, Aggression, and Happiness of the Students in Christian Universities)

  • 공은숙;서혜석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6-275
    • /
    • 2010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 well-being, aggression and happiness of the students in two Christian Universiti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6 students who were attending Christian Universities in Jeonbuk province. General characteristics, mean value, and correlation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value of the spiritual well-being was 72.03 (SD=9.80), the mean value of aggression was 67.56 (SD=13.90), and the mean value of happiness was 19.54 (SD=4.23).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gg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251, p<.01),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happi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455, p<.01), and between happiness and agg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305, p<.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ality training and curriculum.

가온재배한 한라봉 감귤의 성분분석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 김화선;이상협;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1-615
    • /
    • 2006
  •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물리화학적 성분특성을 검토하였다. 수분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87.42%와 88.12%, 총당은 8.01%와 7.81%, 산 함량은 1.09%와 0.99 %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72.01 와 68.01 mg/100g으로 온주밀감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무기물 함량 중에 K는 한라봉은 1369.33 mg/100g으로 M16A 의 938.33mg/100g에 비해 높았으며, 한라봉은 K > P > Ca > Mg > Na, M16A는 K > Ca > P > Mg > Na 순으로 높았다. 유리당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sucrose가 3.60%와 4.36%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각각 2.22%와 1.90%, 1.94%와 1.65%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가 전체의 $69.88{\sim}82.3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M16A의 경우 malic acid함량이 온주밀감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flavonoid 함량은 품종간에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hesperidin과 narirutin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다.

에너지 음료가 법랑질 부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ergy Drink on Enamel Erosion)

  • 오한나;이혜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9-423
    • /
    • 2015
  • 시판 중인 에너지음료의 법랑질 부식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판매량이 높은 3종의 에너지음료와 대조군으로 생수를 선정하였다. 각 음료의 pH와 적정산도를 측정하고, 우치시편을 제작하여 음료에 각각 1, 3, 5, 10, 15, 30분을 침지한 후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음료에 구연산이 첨가되어 있었다. 에너지음료의 평균 pH는 $3.01{\pm}0.44$로 번인텐스에서 $2.51{\pm}0.01$로 가장 낮았다. 적정 산도의 평균은 pH 5.5에서 2.98 ml로 번인텐스에서 3.59 ml로 가장 높았다. 모든 에너지음료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경도가 감소하였으며 음료 30분 처리 후 표면 경도값은 레드불에서 $119.72{\pm}15.16$ VHN으로 가장 낮은 경도값을 보였고, 핫식스 $208.75{\pm}10.99$, 번인텐스 $210.47{\pm}8.01$ 순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에너지음료는 치아 법랑질에 부식을 유발하였으며, 음료처리 전과 후에 레드불이 가장 낮은 법랑질 표면 경도 값을 보여 실험에 사용한 에너지 음료 중 가장 많은 법랑질 부식을 유발하였다. 이로써 구연산을 함유하고, pH가 낮은 에너지 음료의 섭취는 치아표면경도를 감소시켜 부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아 대두 및 검정콩으로 제조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 김형은;한송이;정진보;고종민;김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61-368
    • /
    • 2011
  • 발아 대두 및 발아 검정콩의 첨가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아 대두 및 발아 대두와 발아 검정콩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하였다. 대조구로는 발아하지 않은 대두로 발효한 메주를 이용하여 대두된장을 제조하여, $25^{\circ}C$에서 90일간 발효시켰다. 된장의 수분, pH, 염도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기간에 따라 유사한 경향으로 변화하여, 발효 90일 각각 $53.78{\pm}0.22-57.99{\pm}0.11%$, $6.01{\pm}0.01-6.72{\pm}0.01$, 그리고 $14.17{\pm}0.06-15.03{\pm}0.21%$를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 및 아미노산 함량은 발아검정콩된장에서 발효 90일 각각 $1256.21{\pm}1.86$, 994.46 mg%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발효 90일된 된장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발아대두된장에서 색과 맛 등의 항목에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 기호도에서 대두된장에 비하여 발아대두된장 및 발아검정콩된장의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발아 대두 및 검정콩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은 발아하지 않은 대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과 이화학 및 효소화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으나 아미노태 질소 및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된장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길항균주를 이용한 고추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 방제 및 식물생장촉진효과 (Control of Colletotrichum acutatum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Pepper by Antagonistic Microorganisms)

  • 한준희;김문종;김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3-259
    • /
    • 2015
  • 고추 탄저병은 국내 고추재배에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며, Colletotrichum acutatum이 주요 원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에서 고추탄저병의 방제와 식물생장촉진효과를 선발된 길항미생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4개의 길항미생물은 이전 연구를 통하여 고추포장(GJ01, GJ11)과 갯벌(LB01, LB14)에서 선발하였다. 4개의 길항미생물은 대조균주 EXTN-1을 포함하여 C. acutatum과 대치배양에서 길항효과를 보였다. 식물생장촉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추종자의 발아율과 초기생장효과, 그리고 포장에서 식물의 생장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선발균주는 모두 식물생장효과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GJ01은 초기생육에서 가장 높은 생장효과를 보였으며, GJ11은 포장에서 가장 높은 고추수확량을 얻었다. 그리고 포장에서 탄저병의 방제효과는 4개의 길항미생물 처리에 의해 63.2~72.5%의 방제가를 보였다. 현재 연구를 토대로 4개의 길항미생물은 고추 탄저병에 대한 잠재적인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어린이 음료가 레진계 치면열구전색제의 화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n's Beverages on Degradation of Dental Resin-Based Pit and Fissure Sealant)

  • 민희홍;김현진;이혜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67-373
    • /
    • 2018
  • 시판 중인 어린이 음료가 레진계 치면열구전색제에 미치는 물리 화학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판매량이 높은 3종의 어린이 음료와 대조군으로 생수를 선정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레진 시편을 제작하여 시편의 초기 거칠기 값(Ra)를 측정하였고, 각 음료의 pH를 측정한 후, 레진 시편을 각각의 음료에 침지시켜 $37^{\circ}C$ 배양기에서 72시간 보관하였다. 72시간 후 레진 시편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고 시편 표면의 형태변화 관찰을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레진 시편에서 용출된 단량체의 종류 및 용출량은 HPLC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생수를 제외한 모든 실험음료에 구연산이 첨가되어 있었고 어린이 음료의 평균 pH는 $3.25{\pm}0.17$로 '아이키커'에서 $3.03{\pm}0.01$로 가장 낮았고 '뽀로로'에서 $3.47{\pm}0.02$로 가장 높았다. 어린이 음료에 침지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고 레진 시편의 표면에 기질의 탈락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음료에서 bis-GMA는 유출되지 않았으나 생수를 제외한 어린이 음료에서는 TEGDMA가 유출되었다. 이상의 결과 어린이 음료는 치면열구전색제의 열화와 단량체의 유리를 촉진할 수 있으며 유리된 단량체는 성장 중인 어린이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음료를 빈번히 음용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식이섬유의 섭취가 만성 기능성 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ber Supplements on Functional Constipation)

  • 김지영;김오연;유현지;김태일;김원호;윤영달;이종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1호
    • /
    • pp.35-43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with snack type on functional constipation. We conducted a double blind case-control study with 3 groups; placebo, low dose group (LD: insoluble fiber 7 g/d + soluble fiber 1.2 g/d) and high dose group (HD: insoluble fiber 14 g/d + soluble fiber 2.4 g/d) , which were randomly assigned out of subjec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defined by modified Rome II criteria.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evaluated the bowel movement frequency, stool type, straining, sense of complete evacuation, abdominal discomfort/pain, abdominal inflation, relief and colon transit time before, during the supplementation. Both LD and HD groups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raining, sense of complete evacuation and satisfactory relief compared with placebo group (p < 0.05). When subdivide by baseline colon transit time (less than 24 hrs/ 24 hrs or more and less than 72 hrs / 72 hrs or more), only HD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ment; colon transit time recovered near by 24 hrs in subjects of 'less than 24 hrs' (from $7.57{\pm}1.40$ hrs to $25.2{\pm}3.91$ hrs, p < 0.01) and reduced in those of '24hr or more and less than 72 hr' (from $47.0{\pm}3.36$ hrs to $31.3{\pm}4.31$ hrs, p < 0.01) and '72 hr or more' (from $106.7{\pm}10.7$ hrs to $85.0{\pm}13.1$ hrs, P < 0.05) subjects. Particularly, positive effect of fiber supplementation on straining and sense of complete evacuation in test groups seemed to be greater in subjects of '24 hrs or less' and '24 hrs or more and less' than 72 hrs' than those of '72 hrs or more'. In conclusion, subjec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particularly those having colon transit time less than 72 hrs can significantly improve, at least in part, symptom related to constipation by fiber supplementation of snack type without serious side effects.

Assessments of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profiles in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exercise regularity using data from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Cho, Kang-Ok;Nam, Sang-Nam;Kim, Yeon-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66-7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etabolic profile and nutrient intake data in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exercise regularity using the fo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data. A total of 834 Korean adolescents (440 boys, 394 girls) aged 12 to 18 years were classified into exercising male (EM), non-exercising male (NM), exercising female (EF), and non-exercising female (NF) groups. EM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weight (P<0.001), waist circumference (WC) (P<0.01) and body mass index (EMI) (P<0.001) than NM. EF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height (P<0.01), weight (P<0.001), we (P<0.001), and BMI (P<0.001) than NF. Although ratios of macronutrient intake were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in all groups, energy, riboflavin, vitamin e and calcium were assessed as in adequate by the nutritional adequacy ratio (NAR) in all groups. Moreover, EF and NF had inadequate intake of vitamin A and iron according to NAR,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eight and NAR protein (r=0.249, P<0.001), and mean adequacy ratio (MAR) (r=0.177, P<0.01), and between weight and NAR protein (r=0.180, P<0.01), and MAR(r=0.136, P<0.05) in EM.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weight and NAR protein (r=0.270, P<0.01), we and NAR protein (r=0.271, P<0.01), and BMI and NAR protein (r=0.326, P<0.01) in NM.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height and NAR Fe (r=0.153, P<0.05) in EF.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tabolic factors and nutritional adequacy in NF. Although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 between the groups, the exercising groups showed higher MAR values than the non-exercising groups. Therefore, practicing of ideal dietary behaviors appears to be induced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regular exercise in Korean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