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 parahaemolyticus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4초

여름철 활어조 해수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포 및 환경인자와의 관계 (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in the Seawater of Live Fish Tank)

  • 김지희;박정흠;이태식;이희정;김성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1-246
    • /
    • 2001
  • 서울시를 비롯한 6개 도시의 음식점과 활어를 판매하는 어시장 등에서 활어조에 사용하는 해수에 대하여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포, 이화학적특성 및 위생지표세균 등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시험해수에서 전염병균인 Vibrio cholerae O1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V. parahaemolyticus는 가장 빈번한 검출되었는데 검출율은 69.2%이었다. 그리고 V. vulnificus 및 V. cholerae non-O1 등 병원성 비브리오균이 검출된 활어조의 해수는 그렇지 않은 해수에 비하여 수온과 탁도는 높았고, 염분과 pH는 낮았으며 생균수, 대장균군 및 분변계 대장균이 휠씬 높게 검출되어 이러한 환경인자들과의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 PDF

Pathogenic Factors of Vibrio spp. Isolated from Seawater of Gwangan Beach in Busan

  • Park Mi-Yeon;Kim Hyun-Jin;Choi Seung-Tae;Oh Eun-Gyong;Chang Dong-Su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178-182
    • /
    • 2002
  • The authors identified 68 Vibrio strains from Gwangan beach seawater from June to October in 2001. We identified them as 19 strains of Vibrio alginolyticus, 15 strains of V. vulnificus, 15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11 strains of V. cholerae non O1, 7 strains of V. fluvialis and just one strain of V. hollisae. They showed their typical biochemical characteristics by API 20E kit (bioMerieux), respective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ir cultural supernatants had enzymatic activities such as hemolysin, protease or urease. The 46 strains showed hemolytic activities and/or protease activities. But we could not find any strain which had urease activity. All isolates of V. cholerae non O1 showed $\beta$ hemolysis. The others showed $\alpha$ hemolysis or did not show clear zones on sheep blood agar plates. These results of Kanagawa phenomenon were not always correspondant with hemolytic activities of cultural supernatants at late log phase. Some strains had higher hemolytic activities despite of showing protease activities on skim milk agar plates and in litmus milk media. On the other hand, some strains showed protease activities but did not show hemolytic activities. Therefore we could guess that there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molysins and proteases produced by pathogenic vibrios.

Development of Special GOCHUJANG for Controlling V. parahaemolyticus at Summer Season

  • Lee, Se-Yeong;Seo, Myung-Jin;Kim, Dong-Ik;Lim, Jong-Kwon;Kang, Yang-Hoon;Song, Sung-Soo;Cho, Hyo-Min;Kim, Jong-Deo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I)
    • /
    • pp.326-330
    • /
    • 2005
  • V. parahaemolyticus를 저해하는 천연산물 조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천연산물 및 천연산물 조합 추출물의 항산화력 크기는 ORP system valu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천연산물 조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을 disk 법으로 IZD(inhibition zone divided by diameter of disk)를 측정하여 제어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 가지 천연산물에서는 황백, 오미자, 녹차가 높게 나타났고, 이들 천연산물을 두 가지, 세 가지, 네 가지, 다섯 가지로 조합했을 때도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나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그리고 항산화력이 높게 측정된 황백, 오미자, 녹차 그리고 황금의 A조합과 황백, 오미자, 녹차, 황금 그리고 오가피의 B조합의 IZD를 측정하였을 때 1.57(A조합)과 1.56(B조합)으로 제어력이 뛰어나 A조합과 B조합의 천연산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고추장을 제조하였을 때 A조합(IZD : 1.67)보다 B조합(IZD : 1.79)이 좋게 나타났고, 이 고추장으로 식초를 첨가하여 초고추장을 제조하였을 때도 A조합(IZD : 2.15)보다 B조합(IZD : 2.44)이 뛰어난 제어력을 보였다.

  • PDF

한국연안의 해양미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1. 충무연안의 분포에 관하여 (STUDIES ON MARINE BACTERIA IN KOREAN COASTAL WATERS 1. On the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in the Coast of Chung-Mu)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1977
  • 우리나라 충무연안의 해양 미생물의 월별 분포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양식업 대책수립은 물론, 어패류로 인한 식중독 발생 예방 재료를 얻고자 1976년 4월부터 1977년 3월까지 매월 해수, 이토, 어류 및 패류등을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 이토, 어류 및 패류 732 시료에서 1,426 균주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균종은 Pseudomonas fluorescens가 450균주, Achromobacter liquifacience 422 균주 Vibrio Parahaemolyticus가 72균주, V. alginolyticus 234균주, Proteus vulgaris가 248 균주였다. 2. V. parohaemolyticus는 732 시료중 72 균주로서 $9.84\%$ 였으며 이들중에도 해수, 이토에서 $52\%$이상을 차지하였다. 또 넓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았다. 3. 양식장(뗏목)의 이토를 채취 했을 때 이토속에서 많은 Gas가 발생함을 알았고 이것은 대부분 패류의 분비물 퇴적으로 추정되었다.. (부패가 일어남) 또한 이러할 곳은 용존산소량이 적을뿐 아니라, 패류에 산소가 부족되면 신진대사가 잘 안되므로 비만도(肥滿度)가 저하한다. 이러한 해역에서 폐사된 패류를 많이 볼 수 있었다. 4. 조사지역별 분포를 보면 Station 10, 9, 8, 11, 1의 순이였다. (Fig. 1)특히 St. 10은 여객선이 많이 출입하는 충무항이며 Station 9는 주위 매축공사로 인하여 분포율이 컸고 St. 8은 분뇨처리 탱크가 가까이 있기 때문에 영향이 크다고 느껴진다. 본 연구는 1976년도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로 이루어졌다. 통영수전 한학수 교장님과 문교부에 감사를 드리며 본 실험을 도운 이정태 조교님, 재료 학명등에 협조하여 주신 김무상 교수님, 가공과 신영호, 강숙희양께 사의를 표한다.

  • PDF

제주도 해홍나물(Suaeda maritima)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uaeda maritima Extract.)

  • 문영건;송창영;여인규;김기영;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76-781
    • /
    • 2008
  •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천연물 연구는 대부분 식품으로 쓰이는 식물이나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각 지방에 자생하는 식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명아주과 식물에 속하는 제주도 자생식물인 해홍나물(Suaeda maritima)을 대상으로 하여 부위별로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식품유해미생물을 12종을 대상으로 하여 항균활성, 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저해율을 분석하였다. 해홍나물의 부위별 항균활성을 보았을 때 줄기나 열매 추출물보다는 뿌리 추출물에서 강한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물 추출물보다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더 강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어서 해홍나물의 주 항균성 물질이 물 보다는 메탄올 더 잘 녹는 물질로 추정된다. 특히 메탄올 추출물에서 그람 양성균인 B. cereus (61 %), B. subtilis (62%)와 그람 음성균 V. parahaemolyticus (62%), V. alginolyticus (59%), V. cholerae (56%)에서 55% 넘는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Analysis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in Various Foods in Korea

  • Kim, Mi-Gyeong;Oh, Mi-Hwa;Lee, Gun-Young;Hwang, In-Gyun;Kwak, Hyo-Sun;Kang, Yun-Sook;Koh, Young-Ho;Jun, Hong-Ki;Kwon, Ki-S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83-488
    • /
    • 2008
  •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various food samples in Korea were monitored and the obtain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A total of 1,240 food samples including 280 sashimi, 244 processed frozen products, 258 kimbab (cooked rice wrapped with seaweed), 337 soybean pastes were obtained from 7 cities including Seoul in Korea. Microorganisms tested were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r jejuni,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e contaminated microorganisms in food samples were comprised of 10.55% B. cereus, 2.7% S. aureus, 2.0% V. parahaemolyticus, 0.8% C. perfringens, 0.2% Y. enterocolitica, and 0.1% of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Salmonella spp., C. jejuni,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food samples. Particularly, B. cereus that harbors the enterotoxin gene was detected in various foods and regions in Korea, therefore it should be a given special consideration not to allow the hazardous level of contamination.

최근 5년간 분리된 enteropathogenic bacteria (An analysis of the enteropathogenic bacteria isolation during the last five years)

  • 정윤섭;송경순;이귀녕;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5
    • /
    • 1979
  • Bacteriologic diagnosis of enteric infection remains to be an important role of clinical laboratory because of the prevalence of the infection. Often the determination of etiologic agent and its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are of vital importance for a proper management of the infection. In our previous paper, an analysis of the isolation of enteric pathogens for the years 1969-73 was reported to clarify the status of those years. The present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years 1974-78, to see if any change of the status was rendered. 1. During the 5-year period, from the cultures of 7,308 stool or rectal specimens 833 patients yielded enteric pathogens: 468 Shigella, 295 Salmonella, 30 Vibrio parahaemolyticus and 40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EPEC). 2. Of the 295 Salmonella, 271 were S. typhi Isolation of 12 S.paratyphi-A, 1 Salmonella group B, 4 group C, 5 group D and 2 group E meant a definite increase of these sero-groups, S. typhi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in August and in December, and from 30- to 39-year-old patients. 3. Of the 468 Shigella, 10 were subgroup A, 338 subgroup B, 3 subgroup C and 117 subgroup D. Most of the subgroup B belonged to type 1,2, or 3. The proportion of S. sonnei decreased from 31.3% in 1974 to 18.2% in 1978. In foreign patients, S. sonnei remained to be the frequntly isolated species. Shigella isolation was frequent in August and in 2- to 5-year-old patients. 4. V. parahaemolyticus was isolated from 30 and EPEC from 40 patients. 5. Ninty-nine per cent and 99.5% of the S. typhi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and to ampicillin respectively. 92.8% of S sonnei were susceptible to ampicillin. S. flexneri type 2 was notable for their markedely decreased proportion being susceptible to ampicillin: 84.4% in 1974 and 25.6% in 1978.

  • PDF

서울 시내 자연환경내에 있어서의 병원성 장내세균 분포에 관한 연구 (Bacteriological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Enterobacteria in the Natural Environments in Seoul(1978))

  • 이종훈;고광균;임병욱;문기성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
    • /
    • 1979
  • A bacteri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get hold of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enteric bacteria in Korea. The total number of 2,013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various sources; 1,407 specimens from marine products circulated in the markets, sewage, and 606 rectal swabs from persons. All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Seoul, Chumunjin(Kangwondo), and Gwangcheon(Chungcheongnam-do) during 1978.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teric pathogens from the specimens were performed by means of bacteriological studies. 1. The isolation rates of the pathogenic enterobacteria among the total 2,013 specimens are as follows: Salmonella species 0.05%(1 strain), Shigella species 0.50%(10 strain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0.35%(7 strains). 2. One salmonella strain was isolated from marine products circulated in the market in Seoul. Its serotype was identified as group $C_1$. 3. Ten shigella strains were isolated from various sources: 0.45% from natural environments and 0.05% from rectal swabs. The distribution of shigella serotype was identified as Sh. boydii 90%(9 strains), Sh. sonnei 10%(1 strain). 4. Seven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were isolated from natural environments. In addition, 40 strains of halophilic vibrios nontypable with anti-K antisera were also isolated. Of the 7 strains, the 2 strains were agglutinated with type K-32, each 1 strain of the others with K-17, K-19, K-36, K-39, K-56.

  • PDF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2-451
    • /
    • 1999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ㅣ$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템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c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 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켰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生育을 하였으며 S. typhimurium는 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0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1년도 하계정기학술세미나
    • /
    • pp.29-41
    • /
    • 2001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 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 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 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l$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컸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생육을 하엿으며 S. typhimurium는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