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흰쥐

검색결과 4,956건 처리시간 0.029초

뇌하수체 이식이 과배란 및 초기태아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erovulation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by Pituitary Transplants)

  • 양만표;김영훈;양일석;권종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7
    • /
    • 1986
  • 본 연구는 한개의 뇌하수체를 이식시켜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초기태아 발육과 착상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일령 숫컷 흰쥐에서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15일 전에 정소를 제거시켰으며 정소가 제거된 쥐에서 얻은 한개의 뇌하수체를 실험 시작일(임신 3일전 : D-2) 오전 7시에서 10시 사이에 28일령의 암컷 흰쥐의 우측 신장 피막 아래 이식시켰다. 대조군은 같은 날 오전 10시에 4 IU PMSG를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난소 및 자궁 무게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임신 3일전, 2일전, 1일전,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다. 또 다른 쥐들은 난 회수 및 난소를 관찰하기 위하여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으며 임신 8일에는 착상 상태를 조사하였다. 임신 1일에는 질도말법에 의해 발정주기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하수체를 이식시키거나 4 IU PMSG를 투여함으로써 발정 동기화를 이룰 수 있었다. 뇌하수체를 이식시킨 쥐와 대조군에서 임신 1일 전인 발정전기에 있는 흰쥐는 각각 64.7%, 71.3%이었다. 2. 뇌하수체 이식군 및 대조군의 교배율은 각각 75.0% 및 80.2%였으며 첫 배란은 각 처치후 3일 이내에 일어났다. 3.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1일에 황체화된 난포와 임신 황체수는 평균 $46.1{\pm}2.9$개였으며 임신 2일부터 그 수는 임신 1일 보다 많았다. 4. 과배란된 흰쥐에서 회수된 난의 수는 임신 1일과 2일에 각각 평균 $46.1{\pm}2.9$$49.8{\pm}4.2$개였으며 대조군은 $8.6{\pm}0.3$$8.9{\pm}0.4$개로 나타났다(p<0.001). 5. 임신 3일부터 과배란된 흰쥐에서 난의 회수율은 임신 2일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p<0.001) 난의 발육은 지연되거나 퇴행되었다. 난 발육단계의 분포는 임신 3일과 5일에 특히 변이가 많았다. 6.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8일에 착상 부위수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p<0.001), 18마리의 과배란된 흰쥐 중 특히 10마리에서는 $28.1{\pm}0.7$개의 착상부위가 확인되었다. 7. 과배란된 흰쥐의 난소 무게는 임신 1일전부터 임신 3일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이 기간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인체의 혈장에서 분리한 지질전이단백질이 흰쥐의 혈장 Lipoprotein 의 지질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an Plasma Lipid Transfer Protein on the Distribution of Lipids Between Lipoprotein Fractions of Rat Plasma)

  • 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5호
    • /
    • pp.296-303
    • /
    • 1986
  • 흰쥐의 lipoprotein을 제거한 혈장내의 지질전이 활성도와 지진전이를 저해하는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지질전이 활성도의 측정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함유된 cholesteryl ester (CE)와 triglyceride (TG) 로 표지된 인체의 혈장 low density lipoprotein 으로부터 high high density lipoprotein(HDL) 으로 전이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지질전이 저해 활성도는 정제한 인체 혈장 지질전이 단백질에 의한 지질전이를 저해하는 정도로서 측정하였다. 흰쥐의 혈장에는 지질전이 활성도가 거의 없으나, 지질전이를 저해하는 활성도는 존재하였다. 지질전이 저해정도는 측정용액내의 lipoprotein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흰쥐의 HDL은 인체의 HDL에 비하여 CE 의 함량은 높으며 TG의 함량은 낮다. 흰쥐의 혈장에 인체의 혈장으로부터 정제한 지질전이 단백질을 가하여 37$^{\circ}C$에 24시간 두었을 때, HDL 로부터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으로 CE가 이동하여 VLDL 의 CE 함량이 4배나 증가하였다. 반면에 VLDL로부터 HDL$_2$로TG가 이동하여 $HDL_2$의 함량은 TG함량은 9배나 증가하였다. 이와같은 현상은 흰쥐의 혈장 Lipoportein이 지질전이의 기질로서의 결함은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질대사에 관한 실험에서의 흰쥐에 의한 실험결과의 해석에는 인체 혈장에 비하여 혈장에는 lipoprotein사이의 중성지질의 전이나 교환이 거의 없다는 특성이 고려되어야한다.

  • PDF

뇌하수체 이식에 의해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임신초기에 혈중 progesterone 과 estradiol-17${\beta}$ 수준의 변화 (Changes of Plasma Progesterone and Estradiol-17${\beta}$ Level During Early Pregnancy in Immature Female Rats Superovulated by Transplantation of a Pituitary Gland)

  • 양만표;김영훈;이장락;권종국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3권1호
    • /
    • pp.53-58
    • /
    • 1986
  • 본 연구는 한개의 뇌하수체를 이식시켜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혈중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 의 수준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일령 숫컷 휜쥐에서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15일 전에 고환을 제거시켰으며 고환이 제거된 쥐에서 얻은 한개의 뇌하수체를 실험 시작일(임신 3일전 : D-2) 오전 7시에서 10시사이에 28일령의 암컷 흰쥐의 우측 신장 피막 아래 이식시켰다. 대조군은 같은날 오전 10시에 4 IU PMSG 를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혈중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신 3일전, 2일전, 1일전,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켜 채혈하였다. 임신 1일에는 교배후 estrogen의 과량분비를 차단하기 위하여 난소를 제거한 후 난소 호르몬을 투여하고 임신 8일에는 착상 상태를 조사하였다. 혈중 progesteron과 estradiol-17${\beta}$ 수준은 gamma counter(Packard)로 계측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를 제거하고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를 투여한 과배란된 흰쥐는 난소를 제거하지 않고 과배란된 흰쥐나 대조군에 비하여 효과적인 착상율을 보이지 않았다(P<0.001). 2. 과배란된 흰쥐에서 혈중 progesterone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교배후 계속적으로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교배전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P<0.001). 3. 과배란된 흰쥐에서 혈중 estradiol-17${\beta}$ 수준은 과배란 2일전부터 임신 1일까지 아주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임신 1일전(발정전기)에는 638${\pm}$134 pg/ml 으로 절정을 나타내었으나 임신 1일 이후 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임신 5일에는 10pg/ml이하로 떨어졌다.

  • PDF

흰쥐의 착상기간 중 DLN(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Lymphocyte의 활성도에 미치는 Prostaglandin E의 영향 (Role of Prostaglandin E in Modulating Immune Response in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during the Implantation Period in Rats)

  • 조혜성;유경자;김창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99
    • /
    • 1989
  • 본 교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토끼와 흰쥐에서 수정란 착상시기에 peripheral lymphocyte와 thymocyte의 활성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착상기간중 생성되는 prostaglandin E(PGE)의 생리적인 농도로도 peripheral lymphocyte와 thymocyte의 활성도가 억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착상시기에 전신적인 면역기능 뿐만 아니라 국소적으로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억제되는지를 관찰하고 PGE가 어떠한 기전으로 모체의 면역기능을 억제하는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흰쥐의 착상시기에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임신하기 않은 흰쥐의 DLN lymphocyte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저하되었으며 이러한 저하현상은 100% 흰쥐에서 관찰되었다. 2. 착상시기의 DLN lymphocyte에 prostaglandin 합성억제제인 indomethacin(ID)를 처리하면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임신하지 않은 흰쥐의 DLN lymphocyte의 활성도는 증가되어 있으나 $PGE_2$를 전처리하면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억제되며 $PGE_2$를 전처치한 후 ID를 처리하면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PGE_2$로 전처치하지 않고 ID를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GE_2$ 대신estradiol, progesterone 및 hCG를 전처치하였을 경우에는 ID 처리로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3. 임신하지 많은 흰쥐의 DLN lymphocyte에 $PGE_2$를 전처리하면 PGE-producing cell이 유도되어 PGE 생성이 증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PGE_2$를 전처리하고 Con A를 처리한 후 배양액의 PGE를 정량한 결과 PGE를 전처리하지 않은 DLN lymphocyte에 비하여 유의하게 PGE 생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의 착상시기에는 모체의 DLN lymphocyte의 활성도가 저하되며, 특히 PCE는 PGE-producing cell을 유도함으로써 착상시기의 모체의 면역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꽃뱀과 흰쥐의 간 마이크로좀에 존재하는 Cytochrome P45O 의존성 Monooxygenases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O-dependent Monooxygenases from Snake and Rat)

  • Ja Young Moon;Dong Wook Lee;Ki Hyun Park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95-701
    • /
    • 1998
  • 한국산 꽃뱀(Natrix tigrina Lateralis)의 간 마이크로좀에 존재하는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구성 성분들의 함량과 P45O 의존성 monooxygenase의 활성도를 조사하고 이들을 흰쥐(Sp. D)의 것과 상호 비교하였다. 꽃뱀에서의 P45O, b5 함량 및 NADPH-cytochrome c reductase 활성도는 흰쥐에서 보다 낮았으며, 7-ethoxycoumarin O-deethylase와 benzphetamine N-demethylase 활성도 역시 흰쥐에서 보다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aryl hydrocarbon hydroxylase와 testosterone hydroxylase 활성도는 흰쥐와 비교할 때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았다. Testosterone의 수산화 반응에 대한 선택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꽃 뱀은 7$\alpha$ 위치에서, 흰쥐는 6$\beta$ 위치에서 가장 높은 수산화 반응물을 생성했다. 그러나 testosterone의 C2와 C3 위치에서의 수산화 반응에 대한 선택특이성은 꽃뱀과 흰쥐에서 비슷하였다. Radioimmunoassay (RlA)를 실시하여 5종 (CYP2B, CYP1A1, CYP1A2, CYP3A 및 CYP2El)의 P45O 동위효소의 구성비를 비교한 결과, 꽃뱀에서는 CYP1A1/1A2가, 흰쥐에서는 CYP2El이 각각 비교적 많이 존재하였다. 부분정제한 P45O을 SDS-PAGE와 RIA로 분석한 결과, 꽃뱀의 간 마이크로좀에 존재하는 P45O중에는 흰쥐와는 다른 종류의 P45O 동위효소가 존재함을 시사하였다.

  • PDF

원적외선의 브라운관에의 응용과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II) (A Study on Application of FIR to the Braun Tube and Influence of Braun Tube of FIR-Radiation Type to a Living Organism II)

  • 김헌수;박종환;노현모;지철근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9권2호
    • /
    • pp.23-28
    • /
    • 1995
  • 원적외선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인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특수설계된 장치를 이용하여 흰쥐의 생리상태, 생식활동 및 생존능력에 변화와 차이를 유발시키는지의 여부를 관찰한 결과, 물과 먹이의 소모량, 체중, 수태율, 출산율 및 새끼의 성비(性比)에 있어서 자연상태와 동일하였기 때문에 원적외선이 하등의 유해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가혹한 실험상황에서 흰쥐의 생존력이 자연상태의 흰쥐보다 약 122%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으므로써 원적외선이 흰쥐의 체력과 지구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관찰하였다.

  • PDF

철분결핍과 caffeine 섭취가 흰쥐의 혈당과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 정현선;김혜영(A)
    • 한국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양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
    • /
    • pp.56-56
    • /
    • 2000
  • 본 연구는 철분결핍과 caffeine섭취가 흰쥐의 혈당과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생후 2주된 48마리의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철분과 caffeine의 첨가 수준에 따라 6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C0F0 : caffeine 0%, Fe 5 ppm diet, C1F0 : caffeine 1%, Fe 5 ppm diet, C4F0 : caffeine 4%, Fe 5 ppm diet, C0F1 : caffeine 0%, Fe 50 ppm diet, C1F1 : caffeine 0%, Fe 50 ppm diet, C4F1 : caffeine 0%, Fe 50 ppm diet).(중략)

  • PDF

신항암제 개발을 위한 Cell Cycle 특이적 Inhibitor 검색 방법의 개발

  • 이승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6-56
    • /
    • 1993
  • 새로운 cell cycle 특이적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의 확립과 이를 이용하여 cell cycle 억제제의 검색 및 세포분열 및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의 분석과 이들의 항암작용 및 세포성장 및 분열 억제 작용의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을 규명한다. 이상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흰쥐 재생간 조직 및 흰쥐 일차 배양 간세포를 연구 모델로 하여 스크리닝 방법을 확립하고, 세포 분열 및 성장 억제제의 연구 대상 약물로는 기존의 천연물 및 미생물의 2차 대사 산물을 분리 정제한 물질등을 사용하여 그 작용 효능을 연구한다. 1) 흰쥐 부분 간 절제 수술 26시간 후 핵 단백질을 분리 2) MPF activity 측정 3) MPF 활성 저해제 생산 균주의 1차 탐색

  • PDF

흰쥐의 임신초기에 있어서 PAF(Platelet-Activating Factor)가 착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elet-Activating Factor (PAF) on the Initiation of Implantation in Rat)

  • 박경식;권종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6-55
    • /
    • 1991
  • 본연구의 목적은 흰쥐의 임신 초기에 있어서 착상의 유발에 PAF의 관련여부를 PAF의 수용체 길항제인 BN-52021d의 작용과 비교하여 결정하기 위함이다. 임신초기 각일에 점증하는 용량의 BN-52021 (체중 200g당 10$\mu$g 내지 1.25mg)이 근육내로 주사되었을때 10$\mu$g내지 250$\mu$g 용량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착상부위의 수 혹은 이것을 가진 흰쥐의 수에 대하여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으나 1.25mg투여 경우에는 현저히 감소된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PAF(1$\mu$g) 경우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임신 초기 각일에 BN-52021(1.25mg)과 검증하는 용량의 PAF(0.04$\mu$g 내지 1.0$\mu$g)가 동시에 투여된 경우에는 PAF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착상 부위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현저하지는 아니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PAF는 흰쥐의 임신 초기 반응에 관련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DHTE로 유발된 흰쥐 폐쇄난포의 에스트라디올 수용체의 감소 (Reduction of Estradiol Receptor in Rat Atretic Follicle Induced by Dihydrotestoterone Enanthate (DHTE))

  • 유용달;이창주;이준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8-37
    • /
    • 1990
  • Dihydrotestoterone (DHT)은 난소내 폐쇄를 유발한다고 보고 되었으나, 반대로 폐쇄를 억제한다는 상반된 주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난소내 폐쇄되는 기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흰쥐의 DHT를 처리하여 난포가 폐쇄되는지 여부와 폐쇄된다면 스테로이드 수용체, 특히 에스트라디올 수용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미성숙 흰쥐의 뇌하수체를 절제(HPX)하고, 35IU의 PMSG 처리후 Dihydrotestoterone enathate (DHTE)를 lmg-5mg/kg 체중 농도로 처리하여 난포의 폐쇄여부를 조직학적으로 검경하였다. PMSG,PMSG-DHTE 공히 강소를 형성한 난포의 acid phosphatase 활성도를 증가시켰고, 또한 난포의 폐쇄를 유발하였다. 흰쥐의 난소내 estrogen receptor (ER)의 수는 과립세포에서도 세포질내 ER은 핵내로 이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HTE는 난소내 ER의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 결과로 보아 난포내 DHTE는 ER의 농도를 감소시켜 폐쇄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