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흥행 예측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a Movi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한 영화 흥행 예측)

  • Jeong, Hoe-Yun;Yang, Hy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75-278
    • /
    • 2013
  • 영화의 흥행 요소를 파악하여 영화의 흥행 여부를 예측하는 것은 영화의 수익성 부분에서 아주 중요하다. 영화 시장이 과거와는 다르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영화 흥행에 관한 예측 연구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흥행 요소들을 수집하고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서 유의수준을 만족하는 흥행 요소들을 선택한다. 그 후, 이러한 요소들을 예측 방법들의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영화 흥행을 예측한다.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현재 개발된 영화 흥행 예측 방법(다중회귀, 의사결정트리, 인공신경망)들을 정확도와 평균제곱근오차를 통해 예측 모형의 성능을 비교한다. 그 결과,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유의한 흥행요소들만을 고려한 예측 방법의 정확도가 모든 흥행 요소들을 고려한 예측 방법보다 평균 8.2% 향상되었고, 현재까지 개발된 영화 흥행 예측 방법보다 더 높은 예측 성능을 보여준다.

  • PDF

Box Office Hit Prediction Using Data mining and Text mining (데이터마이닝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영화 흥행 예측)

  • Jo, Hy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316-318
    • /
    • 2021
  • 영화 수익에 있어 영화의 흥행 여부는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영화 흥행 요인은 영화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많은 제작사들 및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되었다. 따라서 영화의 흥행을 예측하기 위한 많은 모델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흥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밝혀진 스크린 수, 감독명, 제작사명 등의 내재적인 속성과 더불어 온라인 구전 변수를 사용하여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때 기사 수, 블로그 수와 같이 온라인 구전의 크기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사용하는 대신 개봉 후 첫 주간의 관람객 리뷰를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전체 리뷰 중 긍정 리뷰의 비율에 따라 점수를 매긴 후 독립변수로 사용한다. 그 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만든 모델에 앞서 언급한 독립변수를 입력 값으로 사용하여 영화의 흥행을 예측한다. 최종적으로 의사결정트리와 로지스틱회귀를 수행한 결과 영화 흥행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를 찾고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로지스틱회귀의 결과 관객 수, 평점이 영화의 흥행에 특히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선정되었고 리뷰 역시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때 만들어진 모델은 약 90%의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의사결정트리의 결과 관객 수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Assessing Box Office Performance Using Movie Scripts Text Mining (영화 스크립트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흥행성과 예측)

  • Ha, Hyunsoo;Hwang, Byeo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556-558
    • /
    • 2016
  • 영화 흥행 실패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객관적인 흥행 예측 지표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스크립트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흥행성과를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객관적인 흥행 예측 지표는 누적 관객 수와 누적 매출액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6년 8월까지 개봉한 영화중에서 누적 관객 수와 누적 매출액을 기준으로 상위 50위까지의 영화 스크립트를 분석하여 진행했다. 실험을 통해 영화 제작에 앞서 스크립트 분석만을 활용한 영화 흥행성과 예측이 가능함을 보였다.

A Comparison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Art Film vs. Commercial Film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 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예술 영화와 상업 영화 비교를 중심으로)

  • Kim, So-Young;Im, Seung-Hee;Jung, Ye-Se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2
    • /
    • pp.381-39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fferent determin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ion pictures; art film and commercial film. We found that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wo types of motions pictures are structurally different. More specifically, we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screens, viewers' evaluation, and genre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both in the commercial and art film. However, director, ratings, critics, power of agency, nationality, and the timing of release affect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ust on the art films.

A Study on Development of Disney Animation's Box-office Prediction AI Model Based on Brain Science (뇌과학 기반의 디즈니 애니메이션 흥행 예측 AI 모형 개발 연구)

  • Lee, Jong-Eun;Yang, Eu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405-412
    • /
    • 2018
  • When a film company decides whether to invest or not in a scenario is the appropriate time to predict box office success. In response to market demands, AI based scenario analysis service has been launched, yet the algorithm is by no means per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ediction model of movie scenario's box office hit based on human brain processing mechanism. In order to derive patterns of visual, auditory, and cognitive stimuli on the time spectrum of box office animation hit, this study applied Weber's law and brain mecha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frequency of brain stimulation in the biggest box office movies was 1.79 times greater than that in the failure movies. Second, in the box office success, the cognitive stimuli codes are spread evenly, whereas in the failure, concentrated among few intervals. Third, in the box office success movie, cognitive stimuli which have big cognition load appeared alone, whereas visual and auditory stimuli which have little cognitive load appeared simultaneously.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tion Picture Box-office Prediction Model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 성과 예측 연구)

  • Kim, Yon-Hyong;Hong, Jeong-Ha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8 no.6
    • /
    • pp.859-869
    • /
    • 2011
  • Interest has increased in academic research regarding key factors that drive box-office success as well as the ability to predict the box-office success of a movie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success factors of a movie and box office records based on movies released in 2010 in Korea. At the pre-production investment decision-making stage, the movie genre, motion picture rating, director power, and actor pow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tage of distribution decision-making process after movie production, among other factors, the influence of star actors, number of screens, power of distributors, and social media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verified movie success facto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Multinomial Logit Model that used the concept of choice probabilities. The Multinomial Logit Model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accuracy in predicting box-office success compared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iscriminant Analysis.

A Study on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Korean Music Box Office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음악흥행 예측모델 개발 연구)

  • Lee, Do-Yeon;Chang, Bye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10-18
    • /
    • 2020
  • Among various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music industry and tried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music box office using deep learning. The deep learning prediction model designed to predict music chart-in period based on 17 variables -singer power, singer influence, featuring singer power, featuring singer influence, number of participating singers, gender of participating singers, lyric writer power, composer power, arranger power, production agency power, distributing agency power, title track, LIKEs on streaming platform, comments on streaming platform, pre-promotion article, teaser-video view, first-week performance. Additionally we conducte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sort out factors, and tried to compare the prediction performance between the original DNN prediction model and the DNN model made of sorted out factors.

A Study on the Prediction Index for Chart Success of Digital Music Contents based on Analysis of Social Data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음원 흥행 예측 지표 연구)

  • Kim, Ga-Yeon;Kim, Myoung-J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6
    • /
    • pp.1105-1114
    • /
    • 2018
  • The growth rate of the domestic digital music contents market has been remarkable recently.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prediction for chart success of digital music contents has grown. This paper proposes prediction indexes for chart success of digital music contents through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data such as Internet news, SNS and entry rankings in Melon's weekly music charts. We collected a total of 10 social data items for each male and female artist, and executed cluster analysis. Through this, we found meaningful prediction indexes for chart success of digital music contents for each male and female artist.

An Analysis of Corelation between Movie Attendance and Related Tweets for Predicting Box Office (영화 흥행 예측을 위한 영화 관객 수와 관련 트윗간의 상관관계 분석)

  • Yim, Junyeob;Hwang, By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245-1247
    • /
    • 2013
  • 최근 들어 영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 영화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해 영화의 흥행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예측을 위한 관련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한 수치로 표현하는 일은 매우 어려우며 관련연구 또한 아직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에서 발생되는 트윗을 설문 표본으로 삼고 영화 관련 트윗과 영화의 흥행을 의미하는 관객 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에 사용된 영화 10편의 관객 수에 대한 데이터 모두 관련 트윗의 발생비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트위터를 이용한 영화의 흥행 여부 예측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Movie Box-office Analysis using Social Big Data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

  • Lee, O-Joun;Park, Seung-Bo;Chung, Daul;You, Eun-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527-538
    • /
    • 2014
  • The demand prediction is a critical issue for the film industry. As the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gains momentum of late, considerable efforts are being dedicated to prediction and analysis of hit movies based on unstructured text data. For prediction of trends found in commercially successful film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data and hit movies may be analyzed by estimating the data variation by period while opinion mining that assigns sentiment polarity score to data may be employed.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why the audience chooses a certain movie or which attribute of a movie is preferred by using such a quantitative approach. This has limited the efforts to identify factors driving a movie's commercial succ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movie's attributes that reflect the interests of the audience. This would be done by extracting topic keywords that represent the contents of Twits through frequency measurement based on the collected Twitter data while analyzing responses displayed by the audience. The objective is to propose factors driving a movie's commercial su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