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착위치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1초

Alkali Metal Adsorption on GaSe Single Tetralayer

  • 김민정;이수진;현정민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300-303
    • /
    • 2015
  • GaSe Single tetralayer의 $4{\times}4$ supercell을 사용하여 alkali metal (Li, Na)의 안정한 흡착 위치를 계산하였다. 가능한 흡착 위치로써 hollow, on top of Se, on top of Ga, Ga-Se bridge, Se-Se bridge를 조사하였다. 위치에 따른 흡착 에너지를 DFT 계산을 통해 얻었고, 계산 값을 통해 가장 안정한 위치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하나의 원자가 흡착 될 때의 가장 안정한 위치는 hollow 위치이고, bridge 위치는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장 안정한 hollow 위치에 두 개의 원자를 거리를 변화시키며 흡착 시켜 계산한 결과, 가장 가깝게 흡착 되었을 때 가장 안정했고 이때 tetralayer의 구조 변형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Si(111)$4{\times}1$-In 표면에의 수소원자 흡착 연구 (Adsorption of H Atoms on the Si(111)$4{\times}1$-In Surface)

  • 유상용;이근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4
    • /
    • 2006
  •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를 이용하여 Si(111)$4{\times}1$-In 표면에의 수소원자 흡착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STM 이미지에서 수소원자는 $4{\times}1$-In chain의 한 쪽 줄에 있는 두개의 연속된 밝은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이 H 원자는 두 줄의 zigzag subchain 중의 한 쪽에만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경향성을 보이며 이는 수소원자의 흡착에 표면 밑의 구조가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표면에 흡착된 수소원자는 흡착위치 주위의 국소적 변형 뿐 만 아니라 chain 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도 영향을 미쳐서 STM 이미지에 두 배 주기의 modulation이 나타나게 한다. 수소흡착에 의해 유도되는 두 배 주기의 modulation은 기존에 보고된 Na 원자 흡착에 의해 유도되는 상과 다름을 확인하였다.

Al/W(110)계의 흡착구조

  • 최대선;김도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5-375
    • /
    • 2010
  • 텅스텐 (110)면에 알루미늄 원자를 흡착시켜 저에너지 전자회절(LEED)과 이온산란분광법(ISS)을 이용하여 흡착구조를 연구하였다. 깨끗한 텅스텐 (110)면 표면에 알루미늄을 0.8ML 흡착시킨 후 1100K 온도로 열처리를 하였을 때 2-도메인의 p($2{\times}1$) LEED 이미지가 관측되었다. Al/W(110)-p($2{\times}1$)계면에서 알루미늄 원자가 텅스텐 표면원자와의 결합거리와 방향 등 3차원적 흡착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이온산란분광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루미늄 원자는 텅스텐의 두 원자 사이(bridge-site)의 가운데에 위치하였으며, 텅스텐의 첫 번째 원자 층으로부터의 높이는 $2.18{\pm}0.01{\AA}$이다. 알루미늄 원자와 가장 가까운 텅스텐 원자까지의 거리는 $2.57{\pm}0.01{\AA}$이다.

  • PDF

흡착식 히트 펌프의 성능 특성 (A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Solid Adsoption Heat Pump)

  • 오후규;윤정인
    • 기계저널
    • /
    • 제34권11호
    • /
    • pp.877-886
    • /
    • 1994
  • 흡착계의 선택은 냉동기의 본질적인 성능을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열교환기의 전열특성, 시스템의 구성 등과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목적에 맞는 흡착계의 선 택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흡착식 히트펌프의 성능특성과 실용화를 위한 연구 개발 요점 등을 정리하였다.

  • PDF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s of Intercalated Lithium in MoS2 bulk

  • 심서현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3회(2014년)
    • /
    • pp.459-463
    • /
    • 2014
  • $MoS_2$ bulk에 Lithium을 intercalate했을 때 가장 안정한 위치와 그 위치에서의 결합에너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Density Functional Theory를 기반으로 한 계산을 실행하였으며 MoS2 bulk 내의 여러 위치에서의 에너지를 구하여 Li이 가장 안정하게 흡착되는 비율과 Li 원자가 안정한 흡착 위치를 계산했다. 그 결과 Li 원자가 1/4 monolayer을 형성할 때 가장 안정하며 그 때 Li 원자는 Hollow site에 결합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Structure analysis of Al adsoption on the W(110) surface

  • 최대선;김도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2-82
    • /
    • 2010
  • metal/metal계에서는 표면 원자의 재결합이 이루어 져서 표면의 특성이 bulk와는 전혀 다른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텅스텐 (110)면에 알루미늄 원자를 흡착시켜 저에너지 전자회절(LEED)과 이온산란분광법(ISS-TOF)을 이용하여 표면구조를 연구하였다. 텅스텐 (110)면 표면을 1000 K로 가열하는 동안 알루미늄을 1.0 ML 흡착시켰다. 이 때 p($1{\times}1$) LEED 이미지가 관측되었다. Al/W(110)계면에서 알루미늄 원자가 텅스텐 표면원자와의 결합거리와 방향 등 흡착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이온산란분광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알루미늄 원자는 double domain으로 W(110) 표면의 hollow site에서 $0.55\;{\AA}$ 벗어나 위치하였으며, 텅스텐의 첫 번째 원자 층으로부터의 높이는 $2.13{\pm}0.1\;{\AA}$이다. 알루미늄 원자와 가장 가까운 텅스텐 원자까지의 거리는 $2.71{\pm}0.15\;{\AA}$이다.

  • PDF

Heterogeneous 표면 흡착등온식의 형식화 (Formalization of Adsorption Isotherm for Heterogeneous Surface)

  • 김철호;황보승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88-289
    • /
    • 2001
  • 흡착열공간분포를 외형적으로 포함하는 Heterogeneous 표면상의 흡착등온식을 형식화한다 그리고 흡착열공간분포는 위치에 대한 주기함수로서 주어지는 것임을 논한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를 재료의 박막형성 문제에 결부시켜 논의한다.

  • PDF

중금속 흡착을 위한 원위치 피복소재로서 천연제올라이트의 양이온교환용량에 따른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Natural Zeolite with Different Cation Exchange Capacity as In-situ Capping Materials for Adsorbing Heavy Metals)

  • 강구;신원호;홍성구;김영기;박성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1-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피복을 위한 소재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양이온교환용량이 다른 제올라이트의 중금속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해 양이온교환용량이 높은 제올라이트(HCzeo, 163.74 cmol/kg), 중간 값의 양이온교환용량의 제올라이트(MCzeo, 127.20 cmol/kg), 양이온교환용량이 낮은 제올라이트(LCzeo, 70.62 cmol/kg)를 사용하였다. 비표면적을 측정한 결과 HCzeo ($59.43m^2/g$) > MCzeo ($52.10m^2/g$) > LCzeo ($10.12m^2/g$)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광물학적 조성 분석을 위해 XRD 측정결과 LCzeo는 quartz와 albite로 구성되었고 MCzeo와 HCzeo의 구성광물은 quartz, albite와 더불어 clinoptilolite, heulandite, mordenite도 측정되었다. HCzeo, MCzeo, LCzeo를 이용한 Cd, Cu, Ni, Zn의 동역학적 흡착실험 결과 실험 6시간대에 흡착 평형에 도달하였다. 평형흡착실험 결과 Cd과 Zn의 흡착은 제올라이트의 양이온교환용량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Cu와 Ni의 흡착은 양이온교환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피복적용에 있어 Cd과 Zn으로 오염된 지역은 양이온교환용량이 높은 제올라이트의 피복적용이 효과적이지만 Cu와 Ni로 오염된 지역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양이온교환용량이 낮은 제올라이트를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갠트리 타입 SMD에서 동시 흡착에 의한 효율적 PCB 조립 방안의 시뮬레이션 연구 (An Efficient PCB Assembly Method by Multiple Adsorption with Gantry Type SMD using Simulation)

  • 문기주;김광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9-6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갠트리타입 기종을 사용한 PCB 조립 생산시 생산시스템의 수행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여 제시한다. 갠트리타입의 기종에서는 헤더나 슬롯의 이동보다는 노즐의 교체가 시스템의 수행도 향상에 주된 걸림돌이 되므로 동시흡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법은 피더의 위치와 노즐의 위치를 감안하여 동시흡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노즐 교체를 최소화하고, 기판당 조립시간의 감소도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제안 해법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고 부품의 수를 변화시켜가면서 다음 작업대상피더와 교체노즐의 선정을 다양하게 하여 여러 운영방안들의 수행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동시흡착을 유도하는 노즐교체를 할 경우 전반적인 수행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흡착재와 Electrokinetic 기법을 이용한 납 오염토의 고정화 (Immobilization of Lead in Contaminated Soil by Ekectrokinetic Remediation and Adsorbent)

  • 한상재;김병일;이군택;김수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2호
    • /
    • pp.1-11
    • /
    • 2005
  • 본 논문은 납 오염토에 대한 정회를 목적으로 EK 기법을 적용할때 기존의 EK 기법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향상기법으로써 흡착재(Apatite, Zeolite)를 이용하여 중금속의 고정화를 시도하였다. EK 추출을 위해서 우선 납에 대한 흡착능 실험을 실시하였고 오염농도, 전압조건, 가동시간 등을 달리하여 납이온을 흡착재 설치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설험 조건에 따라 오염물의 이동 특성이 달라 정화 효율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극교환과 흡착재의 설치 위치의 추가로 고정화 효율을 증진시켜 시료의 전 구간에서 미국 EPA의 TCLP 용출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특히 인회석의 흡착 고정화 능력은 탁월한 것으로 판명되어 EK 향상기법으로써 흡착재의 적용 기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