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흡입공기

Search Result 39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n induction air swirl in D.I. diesel engine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의 흡입공기 선회강도에 대한 고찰)

  • 고춘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3
    • /
    • pp.16-22
    • /
    • 1987
  •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의 성능과 배기가스 문제에 여향을 주는 실린더 내에서의 연소형태는 크게 연료분사계와 흡입공기 유동계 두 가지에 의해 결정된다. 즉 분사율, 부사시기, 분무형태와 같은 분사계의 특성과 공기선회, 스퀴시(squish), 난류와 같은 공기 유동 특성에 의하여 연소형태가 결 정된다. 이러한 복잡한 연소형테를 기관 특성에 맞게 조정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인데 이것은 연료화 공기의 혼합이 연소실형상과 흡기계의 형상에 큰 영향을 받으며 연료가 액체 상 태로 연소실내로 들어와 분무과정을 통하여 증발이 되어야만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흡입공기 유동계에 있어서 현재의 직접 분사식 대젤기관의 흡입구 형상은 흡입공기의 운동에너 지에 모멘트를 가하여 연소실내에서 공기의 선희(swirl)를 발생시켜 줌으로써 연료와 공기의 혼 합기를 형성시키는 Helical typ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관 성능과 배기가스 특히 NOx는 상반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연소실내로 들어오는 흡입공기의 선희강도(swirl ratio)를 너무 강하게만 한다고 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는 없다. 따라서 설계하고자 하는 각 기관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능과 배기가스 문제를 만족하는 흡입공기의 선희강도가 얻어질 수 있도록 흡입구 형상을 설계한다는 것은 많은 연구와 경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자료에서는 직접분사식 디젤기 관에 있어서 흡입공기의 최적 선희강도에 대한 설정방법과 흡입구 형상 설계를 위한 설계 이론 및 정상류 Rig test상에서의 흡입공기 선희강도의 평가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Design Schemes of the Supersonic Air Intakes (초음속 공기 흡입구 성능설계 기법 연구)

  • Byun, Jong-Ryul;Yoon, Hyun-Gull;Lim, Jin-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992-995
    • /
    • 2011
  • A study on the performance design schemes of the supersonic air intakes applied to the supersonic air-breathing propulsion system(Ramjet/Scramjet) was conducted and for two kinds of air intakes, the preliminary configuration designs and the performance analysis models were established. For axisymmetric conical air intake and two dimensional rectangular air intake, the performance effects were assessed according to compression angles and shock wave numbers.

  • PDF

흡입구를 포함한 액체 램제트 엔진의 3차원 유동 해석

  • 임상규;오대환;손창현;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14
    • /
    • 1999
  • 액체 램제트 엔진의 특성은 흡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입공기의 상태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흡입구에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각이 일정각도를 넘어서면 유입공기의 왜곡이 심하여 정상적인 연소가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비행조건에 따른 램제트 엔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부 유입영역, 흡입구, 연소기, 노즐 및 출구 대기 영역을 함께 계산하여 유동 특성과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흡입구는 마하 2.0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4각 덕트에서 완만하게 원형 덕트로 변화되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비행체에 붙어 있는 것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흡입구에서의 유동 조건은 비행체을 지난 유속이 마하 2.0과 2.2의 경우에 대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비반응 유동 해석과 연소가 있는 반응 유동해석 결과를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유입각이 영 일 때의 흡입구를 포함한 계산 결과는 흡입구에서 생성되는 충격파에 의한 손실로 총압력이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유동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입각이 증가함에 따라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른 유동의 왜곡이 심하여 연소특성에 변화를 보여 주었다.

  • PDF

The Study of Air Sampling Smoke Detector (공기흡입형 연기감지장치에 관한 연구)

  • 이복영;이병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7 no.4
    • /
    • pp.86-91
    • /
    • 2003
  • Since the air stream in the room controlled by HVAC system affects on he expected response of conventional detectors which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normal characteristics of air stream in the fire incident, unexpected operation time delay may occur in fi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improve sensitivity so that to initiate fire in its early stages for minimizing damage and protecting people, we studied and developed Air Sampling Smoke Detector. The Air Sampling Smoke Detector is a kind of active-type fire detection system. it draws air continuously from the protected area through an air sampling pipe network to the smoke density analyzer. This study presents smoke density analysing technique and air intake balancing technique through an air sampling pipe network. As a result of evaluating, Air Sampling Smoke Detector was much more sensitive than conventional smoke detectors that passively wait for smoke to reach them and was not affected by ambient airflow in the room by means of balanced air intake through the sampling holes.

Study on Vertex System for Improvement on Combustion Efficiency of Automobile (자동차의 연소실 효율 향상을 위한 와류장치 연구)

  • Choi, Hae-Kyu;Cho, Jae-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605-607
    • /
    • 2011
  • 자동차의 연료비 절감 대책으로 연소 효율 증대를 위해서 연소실의 와류를 형성시켜주는 장치를 Modeling하여 유동해석을 실시하였다. 와류발생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형태의 Model과 와류발생장치의 형태가 다른 Model을 설계하였다. 와류발생장치는 공기의 연소실 흡입 전에 설치되어 와류발생장치의 날개에 의해 흡입공기를 휘감으며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와류발생자치를 사용함으로써 흡입 공기의 유동과 흡입행정의 압력분포를 해석하여 와류발생장치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Suction air flow method for EFI system (EFI시스템을 위한 흡입공기량의 측정)

  • 조진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1
    • /
    • pp.33-39
    • /
    • 1987
  • 기관의 실린더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질량이 정확히 계량 된다면 일정의 이론혼합비를 얻기 위한 연료의 분사량은 쉽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실린더로 흡입되는 실제의 공기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수단은 없고 다음에 설명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그 량을 측정하고 있다.

  • PDF

공기흡입형 고속추진기관 기술동향

  • Cha, Bong-Jun;Gang, Sang-Hun;Yang, Su-Seok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44-54
    • /
    • 2006
  • 초음속 또는 극초음속 비행체용 추진기관은 산화재 공급방식에 따라 공기흡입형과 로켓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형태인 복합사이클 추진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미래의 추진기관들은 공기흡입형과 복합사이클 추진기관들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초고속 추진기관으로 유력시 되고 있는 공기흡입형 추진기관들 중에서 램/스크램 제트 추진기관들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개발동향과 기술개념을 기술하였으며 이 두 가지 추진기관들을 바탕으로 구성된 복합사이클 추진기관들에 대한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항공우주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차세대 고속비행체 및 고속추진기관의 실용화 개발 움직임들이 구체화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들어 비록 미약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한 몇 개의 기관 및 대학에서 램제트/스크램제트 추진기관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논문이 차세대 초고속 추진기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Gross Thrust and Side Thrust of Air-Breathing Engine (공기 흡입 엔진의 총추력 및 측추력 분석)

  • Kim, Jeongwoo;Jung, Chihoon;Ahn, Dongchan;Lee, Kyu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72-582
    • /
    • 2017
  • It is definitely important to measure thrust during ground test when developing air-breathing engine, and in case of air-breathing engine, gross thrust should be calculated considering not only the measured thrust but also the force induced by the air flow of engine intake. Also, side thrust like yaw and pitch should be measured and analyzed using multi-component thrust measurement system. Engine performance was accurately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gross thrust of air breathing engine precisely which is analyzed from below serial procedure: labyrinth seal isolation, 1-axis gross thrust calculation, develop multi-component thrust measurement system, and side thrust analysis.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spirating Smoke Detector and General Smoke Detector Detection Time according to the Fire Speed and Location of Logistics Warehouse through FDS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한 물류창고 화재 속도와 위치에 따른 공기흡입형 감지기와 일반 연기 감지기 감지시간 비교에 관한 연구)

  • SangBum Lee;MinSeok Kim;SeHong M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08-623
    • /
    • 2023
  • Purpose: Recently, the number of logistics warehouses has been on the rise.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such logistics warehouses increases, number of fire accidents also increases every year,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fires in large logistics warehouses. Method: investigated aspirating smoke detectors that are emerging as adaptive fire detectors in logistics warehouses. Then, through fire simulation (FDS), logistics warehouse modeling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tection speed of general smoke detectors and aspirating smoke detectors according to four stages of fire growth and three locations of fire in the logistics warehouse. Result: Growth speed in Slow-class fires and Mediumclass fires, the detection speed of aspirating smoke detectors was faster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fire. However, in Fast-class fires and Ultra-Fast-class fi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ection speed of general smoke detectors was faste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aspirating smoke detector decreased as the fire growth speed increased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occurred further than the receiver of the aspirating smoke detector. Therefore, even if an aspirating smoke detector is installed in a warehouse that stores combustibles with high fire growth rates, it is judged that an additional smoke detector is attached far away from the receiver of the general smoke detector to increase fire safety.

램제트 엔진의 지상시험용 Vitiated Air Heater를 이용한 Dump형 연소기의 연소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우용;윤현진;손창현;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11
    • /
    • 2000
  • 액체렘제트 엔진에서는 고온·고속의 공기가 공기흡입구로 유입되기 때문에 고성능 램제트 연소기의 설계를 위하여 실제 비행조건을 모사할 수 있는 고온 고속의 공기 발샐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연소에 의해 Vitiated Air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 Vitiated Air Heater(VAH)를 제작하였으며, VAH의 성능평가를 통하여 80∼120m/s 와 400∼800K 범위에서 손쉽게 속도와 온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균일한 속도 및 온도분포로 대기공기와 같은 Vitiated Air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VAH을 연결하여 Dump형 연소기의 특성을 실험하였다. 액체 램제트 엔진에 있어서 공기흡입구가 하나인 Dump형 연소기에 주요변수로서 흡입공기의 온도와 공연비를 변화시키면서 연소기내의 화염형상을 관찰하고, 온도분포를 계측하였으며 Injection 위치에 따른 화염현상을 관찰하였다. 각 경우의 연소효율을 계산하여 실험범위에서의 최적 연소조건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