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Air Sampling Smoke Detector

공기흡입형 연기감지장치에 관한 연구

  • 이복영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 이병곤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Since the air stream in the room controlled by HVAC system affects on he expected response of conventional detectors which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normal characteristics of air stream in the fire incident, unexpected operation time delay may occur in fi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improve sensitivity so that to initiate fire in its early stages for minimizing damage and protecting people, we studied and developed Air Sampling Smoke Detector. The Air Sampling Smoke Detector is a kind of active-type fire detection system. it draws air continuously from the protected area through an air sampling pipe network to the smoke density analyzer. This study presents smoke density analysing technique and air intake balancing technique through an air sampling pipe network. As a result of evaluating, Air Sampling Smoke Detector was much more sensitive than conventional smoke detectors that passively wait for smoke to reach them and was not affected by ambient airflow in the room by means of balanced air intake through the sampling holes.

공기조화설비가 설치된 감시공간에서의 화재 시 열$.$연기기류의 유동형상은 정상 유동해석과 다른 기류 유동형상을 나타내어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지연 해결 및 연기감지농도를 향상, 화재초기에 경보를 발생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성능위주의 화재감지장치 개발을 위한 필요성에 의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높은 연기응답특성을 가지며 공기순환에 의한 응답특성지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능동형태의 연기감지장치로서 감시공간의 공기를 공기흡입관을 통하여 연기농도 분석장치로 흡입하여 연기를 감지하는 공기흡입형 광전식 연기감지장치 개발에 필요한 연기농도 분석기술 및 공기흡입관을 통한 균등 공기흡입기술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기흡입배관에 설치된 흡입구를 통한 공기흡입이 균등하게 이루어져 균일한 감도특성을 나타내어 공기순환에 의한 연기감지의 지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연기감지성능은 수동형태의 연기감지기보다 우수한 응답특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ay Schmid, 'Telecommunications and e-Commerce', Fire Protection Engineering(2001)
  2. Peter F. Johnson, 'Very Early Smoke Detection for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Fire Safety Journal, Vol. 14(1988)
  3. 김영해, 센서첨단기술, 기전연구소(1998)
  4. 노병옥, 센서공학, 동일출판사(1996)
  5. 출판부, 마이컴계측제어활용법, 세운(1998)
  6. W. Bolton, Mechatronics, Addison Wesley Longman Limited(1999)
  7. Paul A. Lynn, Introductory Digital Signal Processing, John Willey & Sons Inc., (1998)
  8. National Fire Alarm Code, NFPA 72(1993)
  9. 행정자치부 고시 제 2001-19호,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2001. 10. 16)
  10. 신정철, 양우정, 유체역학, 구민사(2002)
  11. 손봉세, 소화시스템공학, 일진사(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