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흡수탑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odification of GGH Leakage Evaluation Equations in Wet FGD System (습식 배연탈황공정에서 GGH 누설률 평가식의 수정)

  • 천성남;안영모;장경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87-388
    • /
    • 2003
  • 습식 배연탈황 공정에서는 흡수탑 내에서의 황산화물 흡수율을 높일 목적으로 흡수탑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약 5$0^{\circ}C$까지 냉각하고, 처리된 배기가스는 연돌에서의 자연 통풍력을 확보하고 연돌 배출 후 수분의 응축으로 인한 백연(white Plume)의 문제를 방지하고자 통상 9$0^{\circ}C$ 이상으로 가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식의 열교환기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탈황공정에서 흔히 GGH(gas to gas heater)라 불리는 Ljungstrom 방식의 열 교환기는 미처리된 고온가스와 처리된 저온 가스가 회전하는 열교환소자로 이루어진 영역을 지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회전 부위 및 두 가스흐름의 구분 판(sector plate) 등에서 필연적으로 처리가스 흐름 중으로 미처리 가스의 누입이 일어나게 된다. (중략)

  • PDF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esulfurization Sorbents for Warm Syngas Cleanup (석탄 합성가스 정제용 탈황제의 흡수/재생 온도 변화에 따른 황흡수 특성)

  • Baek, Jeom-In;Ryu, Jungho;Lee, Joong Beom;Eom, Tae-Hyoung;Lee, Kisun;Wi, Yong-Ho;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7.1-107.1
    • /
    • 2010
  •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 석탄합성가스 중의 황제거 기술은 습식 스크러빙 방식에 비해 고온에서 운전가능하므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의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고체탈황제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순환하면서 흡수탑에서는 합성가스 중의 $H_2S$로부터 황을 흡수하고 재생탑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와 흡수된 황이 반응하여 $SO_2$를 배출하고 재생된다. 따라서 고체 황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에 응용가능한 물성과 함께 높은 황흡수능과 빠른 반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발된 고체 탈황제가 가졌던 소성시 수축 현상, 낮은 내마모도 등을 개선하기 위해 지지체 조성을 변경하여 개발한 분무성형 탈황제의 흡수 재생 온도에 따른 황흡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H_2S$ 1 vol. %를 함유한 모사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흡수온도 450, $500^{\circ}C$, 재생온도 500, 550, 600, $650^{\circ}C$에서 황 흡수능을 열중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개발된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 적용에 적합한 훌륭한 물성(형상, 밀도, 강도 등)과 함께 $500^{\circ}C$ 흡수와 $650^{\circ}C$ 재생을 기준으로 10 wt% 이상의 높은 황흡수능을 보여주었다. 흡수온도 변화는 황 흡수능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재생온도가 $600^{\circ}C$ 이하인 경우 황흡수능이 5 wt% 이하로 크게 떨어져 재생온도를 $650^{\circ}C$ 이상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Removal of High Strength Hydrogen Sulfide Gas using a Bioreactor Immobilized with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 and a Chemical Absorption Scrubber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를 고정화한 생물반응기와 흡수탑을 이용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

  • Ryu, Hui-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2 no.4
    • /
    • pp.328-333
    • /
    • 2004
  • To treat a waste gas containing a high strength H2S, the two-stages microbial desulfurization process that conof a bioreactor immobilized with Acidithiobacillusferrooxidans and a chemical absorption scrubber has was proposed. After 4 times repeat of batch cultures, the immobilized bioreactor has been stabilized and the rate of iron oxidation reached 0.89 kg . $m^{-3}{\cdot}m^{-1}$ at steady state. The two-stages microbial desulfurization prowas able to be operated for a long term over 54 days. The removal efficiencies of H2S were 97-99% at a space velocity of 70 h-I and a inlet concentration of 37,000 ppmv.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y of H2S was approximately 3.3 kg S . $m^{-3}{\cdot}m^{-1}$. In the bioractor, the concentrations of the $Fe^{3+}$ and the immobilzed cell were constantly maintained during the desulfurization.

핵융합연료 삼중수소 분리반응탑 전산모사

  • 정흥석;이한수;안도희;황재영;김상환;손순환;정양근;송명재;일본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53-457
    • /
    • 1996
  •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삼중수소는 핵융합로의 필수원료물질이다. 삼중수소 분리반응 탑에 소요되는 다단탑의 단수와 최적운전온도 및 반응탑의 효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흡수층과 촉매층으로 구성된 분리반응탑을 모델링하고, 전산코드를 작성하였다. 이 전산코드의 결과는 실험치와 잘 일치하였으며, 최소반응단수를 갖는 설계온도는 8$0^{\circ}C$임이 밝혀졌다.

  • PDF

Characteristics of Solid Regenerable $CO_2$ sorbents for Pre-combustion $CO_2$ Capture (연소전 $CO_2$ 포집용 분무건조 고체 흡수제의 물성 및 $CO_2$ 흡수 특성)

  • Baek, Jeom-In;Ryu, Jungho;Lee, Joong Beom;Eom, Tae-Hyoung;Kim, Ji-Woong;Jeon, Eon-Sik;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0.2-110.2
    • /
    • 2010
  • 현재 상용가능한 연소전 $CO_2$ 포집 기술은 습식 스크러빙 방식으로 고온의 합성가스를 상온 수준으로 온도를 낮춘 후 $CO_2$를 포집해야 하고 포집된 $CO_2$의 압력이 낮아 재압축하여 저장소로 보내야 함에 따라 큰 폭의 열효율 손실이 불가피하다. 고온 고압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할수 있는 고체 흡수제를 이용할 경우 이산화탄소 포집 치 저장 추가에 따른 시스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고체 $CO_2$ 흡수제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순환하면서 흡수탑에서는 합성가스 중의 $CO_2$를 흡수하고 재생탑에서는 고온의 수증기와 접촉하여 흡수된 $CO_2$를 다시 배출함으로써 재생된다. 따라서 건식 재생 $CO_2$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에 응용가능한 물성과 함께 높은 $CO_2$ 흡수능과 빠른 반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층 공정에 적합한 물성을 가진 연소전 $CO_2$ 포집용 고체 흡수제를 분무건조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모사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열중량분석기와 기포유동층반응기를 이용하여 $200^{\circ}C$ 흡수, $400^{\circ}C$ 재생, 압력 20 bar 조건으로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개발된 고체 $CO_2$ 흡수제는 열중량분석기에서는 반응 후 10-13 wt%의 무게증가를 나타내었고 기포유동층반응기에서는 8-10 wt%의 $CO_2$ 흡수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증기의 함량이 10% 이상에서 높은 흡수능을 나타내어 수증기가 반응에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odeling on the facilitated mass transfer in membrane contactor and its design basis (막접촉기에서의 촉진물질전달에 관한 모델링과 설계 기초)

  • 장재동;전명석;정귀영;김재진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10a
    • /
    • pp.39-42
    • /
    • 1998
  • 1. 서론 : 막을 경계로 접촉한 두 상(phase)간의 물질전달에 의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해내는 막접촉기(membrane contactor) 방식은 추출이나 흡수에 적용되고 있다. 이것은 고전적인 충전탑이 갖는 접촉면적의 한계, 불안정한 유체유동의 단점을 가급적 극복할 수 있다는 측면에 있다. 막접촉방식의 하나인 막 흡수법의 경우, 흡수제(absorbent)를 정지시킨 contained(혹은, supported) liquid membrane 방식에서 인공폐의 원리를 기초로 독립적으로 분리시킨 흡수와 탈착모듈간의 계속 순환시키는 circulatory membrane absorber방식이 제안되었다.(생략)

  • PDF

$CO_2$ Capture Process using Aqueous Monoethanolamine (MEA): Reduction of Solvent Regeneration Energy by Flue gas Splitting (모노에탄올아민(MEA)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공정: 배가스 분할 유입을 통한 흡수제 재생 에너지 절감 연구)

  • Jung, Jaeheum;Lim, Youngsub;Jeong, Yeong Su;Lee, Ung;Yang, Seeyub;Han, Chongh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9 no.6
    • /
    • pp.764-768
    • /
    • 2011
  • The process of $CO_2$ capture using aqueous Monoethanolamine(MEA)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leading technologies for intermediate-term strategy to reduce the $CO_2$ emission. This MEA process, however, consumes relatively a large amount of energy in the stripper for absorbent regeneration. For this reason, various process alternatives are recently established to reduce the regeneration energy. This paper suggests a flue gas split configuration as one of MEA process alternatives and then simulates this process using commercial simulator. This flue gas splitting has an effect on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section of absorber as well as decreasing the absorbent flow rate. Compared to the base model, this optimized flue gas split process provides 6.4% reduction of solvent flow rate and 5.8% reduction of absorbent regeneration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