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기근력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있어서 호흡근육 훈련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 of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Preliminary Study -)

  • Kim Mae-J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6
    • /
    • 1986
  • 내과외래를 내방한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환자를 대상으로 호흡근육훈련이 호흡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자료수집을 하였다. 근력+지구력훈련과 근력훈련을 각각 두군에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근력훈련은 DHD Medical Products사 제품의 흡기근육훈련도구로 매일 30분씩 대상자의 가정에서 실시하였고, 근지구력훈련은 일정한 기온이 유지되는 서울대학교병원복도를 12분 동안 걷게하는 운동을 주 2회 시행하였다. 이 훈련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매주 최대흡기력(PImax), 참을 수 있는 흡기력(SIP), 최대환기량(MW) 및 기관지염-폐기종 증상 체크목록(BESC)과 환자의 건강상태와 계속 훈련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폐기능 검사와 vital signs을 매주 검사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근력+근지구력훈련군은 훈련전에 비해서 훈련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근력훈련군은 SIP가 증가되고 BESC는 감소되었으며 , 두 군간의 비교에서는 BESC에서 훈련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호흡근육훈련은 가정에서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근력훈련이 근력+근지구력훈련보다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측정도구들의 타당도 신뢰도의 평가, 더 많은 수의 연구대상자, 더 효과적인 근지구력훈련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 PDF

흡기근육 훈련과 유산소운동의 동시적용이 심폐반응과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ncurrent inspiratory muscle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cardiopulmonary responses)

  • 정현진;이대택
    • 운동과학
    • /
    • 제21권3호
    • /
    • pp.373-384
    • /
    • 2012
  • 흡기근 훈련을 동반한 유산소운동이 흡기근력, 폐기능,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uptake; VO2max)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24명의 건강한 대학생이 3 그룹으로 나뉘어 6주간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호흡근육훈련(RTG; n=8), 유산소성달리기훈련(REG; n=8), 호흡근육 및 달리기훈련(BTG; n=8) 그룹으로 나뉘었다. 실험전과 후 폐기능, 최대흡기압력(maximal inspiratory pressure; PImax), VO2max가 평가되었다. RTG는 실험기간 동안 흡기근육훈련(inspiratory muscle training; IMT)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PImax 의 50 % 강도로, 하루 2회, 주당 4일, 회당 30회 훈련하였다. REG는 개인별 VO2max의 70-75 % 강도로, 하루 1회, 주당 4회, 회당 30분 달리기 훈련을 하였다. BTG는 같은 기간 동안 IMT와 달리기훈련 모두에 참여하였다. 실험기간 중 대상자들의 체격변인과 폐기능 변인은 변하지 않았다. VO2max는 RTG, REG, BTG에서 각각 6.1±3.3 %, 5.9±6.6 %, 10.0±8.3 % 증가하였고(p< .05), PImax 또한 RTG, REG, BTG에서 각각 21.7±14.3 %, 19.7±12.0 %, 27.0±12.1 % 증가하였으나(p< .05),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그룹에서 향상이 관찰되었으며, 흡기근 훈련과 유산소운동을 동반한 그룹에서 VO2max와 PImax의 가장 큰 향상을 보였다.

국가대표 소프트볼선수들의 흡기능력과 골밀도 및 골 질량 그리고 체간의 근력 및 근지구력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inspiratory capacity of the National softball players and the bone density, bon mass, muscle power, muscle endurance)

  • 김현철;박기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5-104
    • /
    • 2020
  • PURPOSE: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piration ability, bone mineral density, lumbar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for the national softball athletes in the national training center. METHOD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inspiration ability, bone mineral density,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piratory capacity, bone mineral density,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RESULTS: The inspiration, flow rates, and volume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bone ma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spiration and the flow rates and volume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bone mass and bone mineral density. On the other hand, inspir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Extensor muscles (r=.464, p=.006) at an angular velocity of 60°/s and the flexors (r=.463, p=.006) and extensor muscles (r=.615, p<.001) at an angular velocity of 180°/s. The flow rate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extensor muscles (r=.444, p=.009) at an angular velocity of 60°/s and with flexor muscles (r=.432, p=.011) and extensor muscles (r=.589, p<.001) at an angular velocity of 180°/s. Finally, the volume was correlated at the extensor muscles at an angular velocity of 180°/s (r=.534, p=.001).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piratory capacity, bone mineral density,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of softball athletes did not correlate with the bone mass and bone density. On the other hand, the lumbar muscl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inspiratory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