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흐름 패턴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The Study on the Extraction of Core Point u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Fingerprint Ridges (지문 융선의 방향 정보를 이용한 중심점 추출에 관한 연구)

  • 최진호;나호준;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18-121
    • /
    • 2003
  • 지문을 이용한 개인 인증 절차는 지문 형태 별로 구분하는 분류(classification) 과정과 본인임을 확인하는 정합(matching)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문의 분류와 정합을 위해서는 기존 연구들이 지문의 특징점 수와 방향성의 흐름 패턴에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의 흐름 패턴을 이용한 중심점 추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추출된 중심점 정보는 현재 구현되어진 특징점 추출 정보와 연계해 정합을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한다. 중심점 추출 방식은 입력된 지문 영상에 대해 3 $\times$ 3 Sobel 마스크를 적용한 후 8 $\times$ 8블록 영상을 분할하여 각 대표 방향 성분을 추출하며 추출되어진 방향 성분과 특이점 패턴을 비교하여 중심점을 탐색한다.

  • PDF

Numerical Experiment of Driftwood Generation and Deposition Patterns by Tsunami (쓰나미에 의한 유목의 생성과 퇴적패턴의 수치모의실험)

  • Kang, Tae Un;Jang, Chang-Lae;Lee, Nam Joo;Lee, Won H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4
    • /
    • pp.165-178
    • /
    • 2021
  • We studied driftwood behaviors including generation and deposition in a tsunami using a numerical simulation. We used an integrated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which included a driftwood dynamics model. The study area was Sendai, Japan. Observation data collected by Inagaki et al. (2012) were used to verify the simulation results by comparing them with driftwood deposition patterns. A simplified model was developed to consider the threshold of driftwood generation by the drag force of water flows. To consider the volume of driftwood generated, we estimated the total wood number in the study area using Google Earth. Therefore, we simulated more than 13,000 pieces of driftwood that were generated and transported inland from approximately 300,000 trees that were growing in the forest. The final distribution of the driftwood was similar to the observation data. The reproducibility of the generation and deposition patterns of driftwood showed good agreement in terms of longitudinal deposition pattern. In the future, a sensitivity analysis on driftwood parameters, such as the size of the wood, boundary conditions, and grid size, will be implemented to predict the travel patterns of driftwood. Such modeling will be a useful methodology for disaster prediction based on water flow and driftwood.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 from Flow Indicators in the Muposan Tuff, Southern and Eastern Cheongsong, Korea (청송 남.동부 무포산응회암의 흐름 지시자로부터 유향 결정)

  • Ahn, Ung-San;Hwan, Sang-K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0 no.3 s.184
    • /
    • pp.319-330
    • /
    • 2007
  • The Muposan Tuff is a stratigraphic unit which is distinguished as a cooling unit in the volcanic rocks of the northeastern Kyeongsang Basin. The Muposan Tuff commonly belongs to tuff field according to the granulometric classification and to vitric tuff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classification. The tuffs are mostly densely to partially welded to include very flattened and sometimes stretched pumices and shards, and involve several flow indicator and lateral gradings in maximum diameter and content of their constituents. Movement pattern from flow lineation, lithic and pumice imbrications, asymmetric flow folds, and lateral gradings in maximum diameter and content of their constituents indicate that the Muposan Tuff had a source from the southeastern part.

Study on Unsteady Flow Field around Rectangular Cylinders using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POD를 이용한 구조기본단면 주변 비정상흐름장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ae-Hyung;Matsumato, Masar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0 no.6
    • /
    • pp.751-759
    • /
    • 2008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n unsteady flow field around a body of aerostatic/aerodynamic forces were investigated using rectangular cylinders (B/D = 2, 3, 4, 5).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was introduced to the analysis of the fluctuating pressure field that was measured on the stationary/oscillatory B/D=4 rectangular cylin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er functions with flow pattern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physical decoupling and interactions in the different co-existing flow patterns were investigated through POD. The comparison with the identified proper function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revealed that the Karman vortex is almost not affected by the separation bubble, but that the Karman vortex considerably interfe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separation bubble around the trailing edg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Karman vortex induces the increment of the curvature of the substantial separated flow.

Mining Commuter Patterns from Large Smart Card Transaction Databases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통근 패턴 탐사)

  • Park,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38-39
    • /
    • 2010
  •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자는 2004년 서울시의 대중교통 체계 개편에 따라 교통 카드를 사용하여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었다. 교통 카드를 사용하는 각 승객의 승차와 하차에 관한 데이터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되고, 하루 천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들로 구성된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승차와 하차에 관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패턴이나 정보를 탐사해내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수도권 대중교통 정책을 입안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고 수도권 승객들에게 대중교통을 보다 잘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된다. 교통카드 이용률은 2006년 79.5%, 2007년 80.3%, 2008년 81.6%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용량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하루 동안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순차 패턴을 탐사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1], 승객들의 통행 패턴에 대한 분석연구를 확장하여 일 년에 하루씩 2004년에서 2006년까지 3일간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승객 시퀀스의 평균 정류장 개수와 환승 횟수 등을 연도별로 비교하였다[2]. 수도권 지하철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연구로는 네트워크 구조 분석이 있었고[3], 승객의 기종점 통행 행렬(Origin-Destination trip matrix)에 의한 승객 흐름의 분포가 멱함수 법칙(power law)임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었고[4], 지하철 교통망에서 모든 링크상의 승객들의 흐름을 찾아내는 연구가 있었다[5]. 본 논문에서는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하철 승객들의 통근 패턴을 탐사해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하루치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연구된 방법을 적용하여 8가지 통근 패턴들을 탐사해내고 분석하였다. 탐사된 패턴들 중에서 많은 승객들이 지지하는 출퇴근 패턴에 대해서는 시간대별로 승객수를 그래프로 보여주었다.

  • PDF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 from Flow Indicators and Lateral Grading in the Naeyeonsan Tuff, Northern Pohang, Korea (포항 북부 내연산응회암의 흐름지시자와 측방점이로부터 유향 결정)

  • Cho, Nam-Sik;Hwang, Sang Koo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
    • /
    • pp.153-163
    • /
    • 2017
  • The Naeyeonsan Tuff is a stratigraphic unit which is distinguished as a cooling unit in the volcanic rocks of the northern Pohang. The Naeyeonsan Tuff, which is composed of crystals of plagioclase, quartz and hornblende, glasses of pumice and shard, and lithics of dacite, rhyolite, sandstone and shale, belongs to a lapilli tuff field according to the granulometric classification and to a vitric tuff field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classification. The tuffs mostly develop welding foliations by dense welding and flatterning pumices and shards, and show several flow indicators by pyroclastic flowing. We can know a movement pattern from flow lineations and imbrications by pumices and lithics, and lateral gradings in isopleth map by average largest lithics and pumices in the Naeyeonsan Tuff, which indicate that the Naeyeonsan Tuff had a possible source area from the southeastern part.

해상교통관제제도가 적용된 연안해역에서 정보제공활동이 통항흐름에 미치는 영향

  • Kim, Ok-Seok;Kim, Mun-Hong;Lee, G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94-1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관제제도(VTS)가 적용된 연안해역에서 해상통항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상교통환경조사는 2007년도부터 2012년까지 어장, 어로활동 및 해양구조물에 대한 마로해 인근해역에 대해 현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VT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대해 국제표준과 국내 적용 규정을 비교하고 2011년 연안해역에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 해역의 해상교통흐름은 레이더와 선박자동식별장치 정보를 시공간적으로 중첩시켜 최근 6개월간 흐름패턴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해역은 서남해 진도 인근해역($3,800km^2$)으로 통항분리제도와 탱커선통항금지해역 및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안해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해양사고를 18% 감소시켰다. 서비스 제공수준은 비정규분포를 보이며 공정능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해상교통환경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연안해역 모니터링 및 관리체계의 확립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 PDF

Research on Normalizing Flow-Based Time Series Anomaly Detection System (정규화 흐름 기반 시계열 이상 탐지 시스템 연구)

  • Younghoon Jeon;Jeonghwan Gw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83-285
    • /
    • 2023
  • 이상 탐지는 데이터에서 일반적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는 인스턴스 또는 패턴을 식별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데이터의 특징 추출을 위한 비지도 학습 기반 방법과 정규화 흐름의 결합을 통한 이상 탐지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특징 추출기는 1차원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오토인코더로 구성되며, 정상적인 시퀀스로만 구성된 훈련 데이터를 압축하고 복원하는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다. 추출된 시계열 데이터의 특징 맵은 가능도를 최대화하도록 훈련된 정규화 흐름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훈련된 이상 탐지 시스템은 테스트 샘플에 대한 이상치를 계산하며, 최종적으로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이상 여부를 예측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시계열 이상 탐지를 위한 공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공정하게 이상 탐지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정규화 흐름 기법이 시계열 이상 탐지 시스템에 활용될수 있는 잠재성을 시사한다.

  • PDF

Application review of Distributed Rainrall-Runoff Model Using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다방향 흐름분배 알고리듬을 이용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 검토)

  • Han, Kun-Yeun;Kim, Keuk-Soo;Kim, Tae-Hyung;Lee,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4-15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관측 기술의 향상과 지형자료들의 가용성 증가를 통해 유역 홍수 통합관리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다방향 흐름분배 알고리듬은 고해상도 지형정보로부터 도출된 흐름정보를 상대적으로 저해상도 지형정보에 전달하여, 저해상도 지형정보의 이용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흐름정보의 평활화 (smoothing)로 인한 흐름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다방향 흐름분배 알고리듬 및 실시간 강우-유출 보정 알고리듬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평창강유역에 대하여 지점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 수행의 정확도 검토를 위해 다방향 흐름분배 알고리듬 및 실시간 강우-유출 보정 알고리듬을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본 결과 알고리듬을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유역 유출반응을 더 잘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알고리듬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도 수문곡선의 형태상 좀 더 향상된 관측의 묘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합리적이지 못한 매개변수의 무리한 조정이 요구될 수도 있으며, 매개변수의 조정으로 인해 수문곡선의 패턴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through weight matrix-based optical flow equalization (가중치 행렬 기반 광학 흐름 평활화를 통한 이상 행동 탐지 성능 향상 기법)

  • Lim, Hyun-seok;Kim, In-ki;Kang, Jaeyong;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145-1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의 촬영 시점에 의해서 발생되는 원근감이 광학 흐름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광학 흐름 기반 이상행동 탐지 솔루션의 성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기존 광학 흐름 영상으로부터 소실점 기반 가중치 행렬을 계산하여 원근감에 따른 광학 흐름 정도를 평활하는 기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카메라의 뷰포인트에 따라 원근감의 발생 정도나 객체의 크기 및 움직임의 정도가 달라지게 되며, 이는 원본 영상 프레임을 광학 흐름의 크기와 방향성으로 표현하는 영상 변환 네트워크를 가진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학습할 때 정상적인 행동 패턴의 범위를 결정짓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셋의 배경으로부터 소실점을 추출하고 원근감에 따라 결정되는 광학 흐름의 크기를 평활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기존 모델의 성능과 비교하였으며, 프레임 단위의 정확도 성능이 5.75%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