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흐름 패턴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dentification of the Extension Points of Design Patterns Based on Reference Flows (레퍼런스 흐름에 기반한 디자인 패턴의 확장 지점 식별)

  • Kim, Hee-Chern;Park, Chan-Jin;Kim, Taek-Su;Yoo, Chan-Woo;Lee, Hyung-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9D no.4
    • /
    • pp.293-298
    • /
    • 2012
  • Sometimes it is not sufficient to identify design pattern instances for extension of software, because the extension points exist outside of the instances. We define reference flows, which is a process of composing an intrinsic structure of design patterns, and suggest an analysis method based on reference flows for identifying the extension point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DMA based Electronic Float Flow Pattern System (CDMA기반 전자부자 흐름 패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Dong-Hyun;Lee, Chae-Seok;Kim, Jong-D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2
    • /
    • pp.2619-2627
    • /
    • 2012
  • The electronic float flow pattern system can predict a rate of flow of river by monitoring a location of float in remote with location measurement technology and a variety of communication technology. Now, to analyze the flow pattern of the natural streams, we use the manual floats in many forms. The measurement of a rate of flow using a manual float measures the distance and time of the manual float directly and uses it. It is inefficient for measurement method and exact a rate of flow of river. To overcome this problem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lectronic float using CDMA, GPS, and RF module. Then, to ge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rate of flow information,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monitoring system for the electronic float flow pattern. The short life cycle of electronic float using the battery decreases the utility of the electronic float flow pattern system. Then, we design the power saving method to reduce the power of the electronic float in electronic float flow pattern system.

A Study on Oxygen Dissolution by Air Lift Pump (기포 펌프에 의한 산소 용해에 관한 연구)

  • Oh, S.K.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3 no.4
    • /
    • pp.45-50
    • /
    • 1999
  • 기포 펌프는 물과 공기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공기로부터 물로의 산소 용해를 높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포 펌프에서 여러 가지 흐름 패턴을 설정하고, 이것을 근거로 하여 슬립모델을 확립하여, 기포 펌프의 산소 용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로부터, 산소 전달 계수는 흐름 패턴(기포 흐름, 기포-슬러그 흐름, 슬러그 흐름)에는 상당한 영향을 받았으나, 시료수의 오염 정도에 따른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산소 전달양은 레이놀즈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산소 전달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에어 스톤이나 디퓨저의 이용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면 활성 물질은 물의 오염 정도나 흐름 패턴에 관계없이 산소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Ontology Modeling for Pattern Recognition of Information Flow Using Situation Theory (상황이론을 이용한 정보흐름에 대한 패턴인식을 위한 ontology 모델링)

  • Leem, Young-M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8 no.4
    • /
    • pp.63-68
    • /
    • 2005
  • 주어진 시스템에서 정보와 정보흐름에 대한 패턴인식을 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문맥이 내용에 따라서 다른 단어나 다른 정보를 추론하여 원래의미를 전달함에 있어 오도할 수 있기 때문에, 문맥의 분해에서 정보 조각의 묶음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에서부터 연구는 시작되어야만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정보의 저장, 재표현, 부호화, 검색 등에 관해 효과적인 방법론을 찾고자 노력해 오고 있다. 유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군이론과 상황이론을 응용해서 정보 및 정보흐름의 패턴인식에 관한 새로운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정보처리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비교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수학이론인 군이론과 상황이론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과 정의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새로운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흐름의 패턴인식을 위한 모델링 기법으로 Abelian Pattern Semi-Group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접근방법은 최근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boratory Observations of Nearshore Flow Patterns Behind a Single Shore-Parallel Submerged Breakwater (해안선에 평행한 단일 잠제 후면 연안 흐름패턴 관측 수리실험)

  • Choi, Junwoo;Roh, 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9 no.3
    • /
    • pp.139-146
    • /
    • 201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icacy of submerged breakwater constructed for the beach protection,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round a single shore-parallel submerged breakwater. The velocity field near the shoreline was measured by utilizing the LSPIV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and mean surface and wave height distributions were observed around the submerged breakwater, according to various combinations of incident waves and submerged breakwaters. In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ean flow pattern behind the submerged breakwater was determined by the balance among the gradients of mean water surface and excess wave-momentum flux (i.e., radiation stress tensors) which interact with the wave-induced current developed by the gradients on the rear and the side of the submerged breakwater.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flow patterns behind the submerged breakwater (i.e., accretion and erosion response) of the numerical study of Ranasinghe et al.(2010) were observed in the measured velocity distributions, and their empirical formula mostly agre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for some cases in this experiment,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flow pattern was one of them and was agreed with the empirical formula.

Detailed Analysis for Secondary Flow Pattern Before and After Channel Bend in Actual River (실규모 하천 계측자료 기반 만곡 전후 2차류 흐름패턴 상세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Seojun;K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0-80
    • /
    • 2015
  •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행하천은 만곡의 영향으로 2차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2차류의 영향은 하상변동, 제방침식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사행수로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실규모 하천의 유속측정의 어려움, 측정이 가능한 시설 및 경제적 제한으로 인해 주로 실내실험에서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흐름조건이 상이한 실제 하천에서 적용성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세한 3차원 유속 측정이 가능한 최신 계측기기인 초음파도플러유속계(ADCP)를 활용하여 실제하천과 유사한 흐름 상태 및 지형을 재현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의 사행도 1.2, 1.5, 1.7의 실규모 사행수로에서 횡단면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초음파지점유속계(ADV)를 사행도 1.2의 ADCP 측정 단면과 동일한 횡단면에서 측정하여 공간평균된 ADCP 유속자료를 이용한 흐름패턴 분석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간평균된 ADCP 유속분포는 시간평균한 ADV 유속분포와 다소 크기의 차이는 발생하였지만 패턴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간평균된 ADCP 유속분포를 이용하여 2차류에 의한 흐름패턴 분석을 수행하였다. 2차류 패턴은 만곡의 위치에 따라 매우 복잡한 형태로 나타났다. 2차류에 의한 최대유속선과 최대수심선의 발생위치를 분석한 결과, 만곡의 정점부를 기준으로 만곡 전인 유입부에서는 이격되고 만곡 후인 유출부에서는 유사한 경로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때의 2차류강도(Secondary Current Intensity; SCI)는 만곡의 정점부 부근에서 최대로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Knowledge Trend Analysis of Uncertainty in Biomedical Scientific Literature (생의학 학술 문헌의 불확실성 기반 지식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 Heo, Go Eun;So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2
    • /
    • pp.175-199
    • /
    • 2019
  • Uncertainty means incomplete stages of knowledge of propositions due to the lack of consensus of information and existing knowledge. As the amount of academic literature increases exponentially over time, new knowledge is discovered as research develops. Although the flow of time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identify patterns of uncertainty in scientific knowledge, existing studies have only identified the nature of uncertainty based on the frequency in a particular discipline, and they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y and analyze the uncertainty words that indicate uncertainty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and investigate the stream of knowledge. We examine the pattern of biomedical knowledge such as representative entity pairs, predicate types, and entities over time. We also perform the significance testing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Seven pairs out of 17 entity pairs show the significant decrease pattern statistically and all 10 representative predicates decrease significantly over time. We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presentative entities by year and identify entities that display a significant rising and falling pattern.

Efficient real time intrusion detection using a rule set (규칙 Set 을 이용한 효율적인 실시간 침입탐지)

  • Choo, Hye-Yeon;Ok, Jee-Woong;Kim, 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47-249
    • /
    • 2007
  • 데이터 마이닝은 데이터 속에 숨겨져 있는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패턴들을 찾아내는 것은 데이터 마이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 방법들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데이터가 변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변하지 않는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것은 의미가 없는 일이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고 더불어 적합한 실시간 침입 탐지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에서 규칙을 발견하여 규칙 Set 을 생성하는 실시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에 대한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실시간 침입 탐지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침입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On Visualization of Trajectory Data for Traffic Flow Simulation of Urban-scale (도시 스케일의 교통 흐름 시뮬레이션을 위한 궤적 데이터 시각화)

  • Choi, Namshik;Onuean, Athita;Jung, Ha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582-585
    • /
    • 2018
  • As traffic volume increases and road networks become more complicated, identifying for accurate traffic flow and driving smooth traffic flow are a concern of many countries. There are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and studies which desire to study about effective traffic flow. However, the necessary activity is finding the traffic flow pattern through data visualiz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paper aim to study a real-world urban traffic trajectory and visualize a pattern of traffic flow with a simulation tool. Our experiment is installing the sensor module in 40 taxis and our dataset is generated along 24 hours and unscheduled routes. After pre-processing data, we improved an open source traffic visualize tools to suitable for our experiment. Then we simulate our vehicle trajectory data with a dots animation over a period of time, which allows clearly view a traffic flow simulation and a underst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or route pattern. In addition we further propose some novel timelines to show spatial-temporal features to improve an urban environment due to the traffic flow.

  • PDF

Analysis of Flow Velocity by Difference of Vegetation Density (식생 밀도 차이에 의한 유속 변화 분석)

  • Kang, Joon Gu;Ryu, Yong Uk;Jung, Sang Hwa;Ji, Un;Kim, Jong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7-477
    • /
    • 2016
  • 하천 내 식생에 의한 유속차이는 활발한 에너지 교환에 기인하며 하천 내 흐름 변화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식생에 의한 하천 침식과 퇴적의 반복은 하천 지형 변화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을 대상으로 관목류(버드나무류)를 식재하여 식생유무 및 밀도 차이에 대한 흐름패턴 및 유속 변화를 분석하였다. 식생은 고밀도(식생 수 : $38/m^2$)와 저밀도(식생 수 : $10/m^2$)로 구분하였으며 유속 측정은 ADCP와 micro-ADV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유량은 식생 침수 정도에 따라 부분침수($0.5m^3/s$), 완전침수($3.7m^3/s$)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ADCP와 ADV에 의한 유속값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고밀도일수록 식생에 의한 항력으로 인해 느린 흐름을 보였다. 또한 부분침수 시 식생 내 수심 증가로 인한 흐름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완전침수 시에도 식생 유무 및 밀도에 따라 흐름 패턴이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연구는 하천 침식 등을 고려한 수목식재 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식생을 대상으로 조도계수 변화, 흐름특성 분석 등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