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흐름의 가시화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4초

딤블 있는 원주의 항력 감소 (Drag Reduction of Cylinder with Dimple)

  • 노기덕;박지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502-507
    • /
    • 2000
  • Fundamental studies on the drag reduction of the circular cylinder having dimple were conducted by the measurement of the fluid force acting on the cylinder and by the flow visualization around the cylinder. The drag coefficients were changed by the shape and the space for the arrangement of the dimple. The drag of the cylinder was reduced about 50% by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 dimple. The flowfield around the cylinder having dimple, which was the minimum drag, was visualized by the hydrogen bubble technique.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oints were moved rearward and the wake region was small in comparison with the cylinder having no dimple.

  • PDF

표면에 정방형 딤플을 가진 원주의 항력저감 특성 (Drag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Cylinder Having Square Dimpled Surface)

  • 노기덕;박지태;진윤식;여광수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134
    • /
    • 2001
  • The drag reduction of the cylinder having square dimpled surface was studied by the measuring the drag force acting on the cylinder. The level of the drag reduction was changed by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square grooves and Reynolds number. The drag of the cylinder was reduced about 28% with proper arrangement of square grooves. The flow field around the cylinder having grooves at the minimum drag was visualized by using post color ink in order to see the influence of the grooves.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oints were sifted rearward and the wake region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mooth cylinder.

  • PDF

표면에 정방형 딤플을 가진 원추의 항력저감 특성 (Drag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Cylinder Having Square Dimpled Surface)

  • 노기덕;박지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233-239
    • /
    • 2002
  • The drag reduction of the cylinder having square dimpled surface was studied by the measuring the drag force acting on the cylinder. The level of the drag reduction was changed by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square grooves and Reynolds number. The drag of the cylinder was reduced about 28% with proper arrangement of square grooves. The flow field around the cylinder having grooves at the minimum drag was visualized by using post color ink in order to see the influence of the grooves.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oints were silted rearward and the wake region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mooth cylinder.

미세구조 내에서의 사출성형 흐름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 behavior of polymer solutions in microchannels)

  • 김동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71-475
    • /
    • 2006
  • 랩온어칩(Lab-on-a-chip) 등 미세구조를 갖는 다양한 장치들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사출성형공정 내에서의 미세 흐름 거동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채널 구조 내에서의 사출성형 흐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흐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투명한 PMMA를 사용하여 가시화 금형(visual mold)을 제작하였다. 실험 대상 물질로는 고분자 용액인 PEO (poly (ethylene oxide)) 와 PA (polyacrylamide) 용액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고분자 용융체의 특징인 높은 점성과 탄성을 갖도록 설계한 것이다. 시간에 따른 흐름현상과 주 채널과 마이크로 채널과의 경쟁적인 흐름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로부터 마이크로 사출성형 흐름에서 나타나는 마이크로 채널 내의 충전길이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 PDF

논문 : 초고속 발사장치의 개발 및 성능에 관한 연구 (Papers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Hypervelocity Launcher)

  • 최병철;허철준;탁정수;배기준;변영환;이재우;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6-104
    • /
    • 2002
  • 탄체가속기용 초기 발사장치로 사용 가능한 건국대 초고속 발사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는 2단계 기포 (gas gun) 형태의 발사장치로 공기를 작동 기체로 사용하여 무게 22g의 탄체를 750m/sec로 가속할 수 있 는 성능을 보인다. 초고속 발사장치의 성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동부의 압축 특성과 작동 특성에 대한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으로부터 피스톤에 의한 압축 이득과 1,2차 구동부간에 발사장치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값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초고속 비행체의 공력 특성 및 주위의 유동 해석에 응용 가능한 고속 탄환체에 대한 흐름의 가시화를 수행하여 수치적 계산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향후 고속유동의 물리적 현상 해석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패연의 방구멍 효과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Wind Hole Effect for The Bangpae Kite)

  • 강치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561-566
    • /
    • 2014
  •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문화유산인 방패연은 안정적인 장방형 표면에 다양한 그림과 글씨로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가운데 방구멍이 있음으로 해서 우수한 비행성능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방구멍이 연의 성능에 미치는 공기역학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방패연 모델에 대한 공력 측정과 방구멍을 관통하는 공기흐름을 가시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방구멍은 경계층 분리를 제어하는 날개 고양력 장치의 슬롯 시스템과 유사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 조상들이 서양의 비행기 발명 이전에 고양력장치의 원리를 이해하여 연의 비행 성능 개선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왔다는 것을 증명한다.

풍력터빈 블레이드 주위 흐름의 유동특성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around Wind-Turbine Blades)

  • 이정엽;이상준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4-71
    • /
    • 2010
  • The flow and noise characteristics of wake behind wind-turbine blades have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using a two-fram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POSTECH subsonic large wind-tunnel ($1.8^W{\times}1.5^H{\times}4.3^L\;m^3$) with KBP-750D (3-blade type) wind-turbine model at a freestream velocity of $U_o\;=\;15\;m/s$ and a tip speed ratio $\lambda\;=\;6.14$ (2933 rpm). The wind-turbine blades are connected to an AC servo motor, brake, encoder and torque meter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and to extract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PIV measurements. The wake flow was measured at four azimuth angles ($\phi\;=\;0^{\circ}$, $30^{\circ}$, $60^{\circ}$ and $90^{\circ}$) of the wind-turbine blade. The dominant flow structure of the wake is large-scale tip vortices. The turbulent statistics such as turbulent intensity are weakened as the flow goes downstream due to turbulent dissipation. The dominant peak frequency of the noise signal is identical to the rotation frequency of blades. The noise seems to be mainly induced by the tip vortices.

다양한 배열 상태에 놓인 관군을 지나는 흐름의 가시화 (The Visualization of the Flow through Tube Banks in Various Arrangements)

  • 노기덕;공태희;제정기;김성재;김태경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2530-2535
    • /
    • 2008
  • The Visualizations of the flowfield through tube banks with in-line and staggered arrangements were investigated by PIV. Strouhal numbers, velocity vectors and velocity profiles around the cylinders with in-line and staggered arrangements were observed at the pitch ratio $P_t/D=2.0$ and Reynolds number of $Re=4.0{\times}10^3$. As the results The flow patterns through tube banks were almost a straight line in case of the in-line arrangement while it was almost 八 type in case of the staggered arrang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wake. The average velocity in the rear region of the tube banks with the staggered arrangement was far smaller than that with the in-line arrangement. The Strouhal number in the last rank was far smaller than that in the front ranks in both of the in-line and staggered arrangements. The wake of each cylinder changed with time and with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 PDF

WMS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예측모델 데이터의 가시화 기법 (A Visualization Method for the Ocean Forecast Data using WMS System)

  • 권태정;이재령;박재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19
    • /
    • 2018
  • 최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지도위에 제공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국외의 경우 구글맵, 오픈스트리트맵, 빙맵 등이 있고, 국내의 경우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브이월드맵 등이 GIS 기술의 한 부분인 WMS(Web Map Service)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벡터장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조류의 흐름도 와 스트림라인의 표출 방안 알고리즘 연구 및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해양예측모델 데이터의 가시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조류 흐름도 표출 및 스트림라인 표출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비교를 하여, 기존의 기술 보다 2배 이상 빠른 표출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북한 문헌에서 경관의 시각적 서술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Descriptions of Landscapes in North Korean Literature)

  • 안진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9-47
    • /
    • 2020
  • 이 논문은 북한에서 출판된 문헌에서 '경관'이 지칭하는 대상과 글의 맥락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북한 내 '경관'의 사회적·문화적 기의를 읽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연속 간행물과 신문 기사에서 '경관'이 무엇을 서술하기 위한 단어로 사용됐는지를 경관의 종류에 따라 나누었고, 이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파악했다. 그 결과, 북한에서 '경관'이 가지는 사회적·문화적 의미는 '정통성 투영의 대상', '도시로 확장된 시각성', '가시화된 사회주의 선경'으로 나눠 해석할 수 있다. 먼저, 백두산에 관한 글에서 '경관'은 후계자의 정통성을 입증하는 매개체로 사용됐다. 다음으로, 김정은 체제에서 '경관'은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의한 시각적 작용의 결과물까지를 서술하는 단어로 사용됐다. 마지막으로, 경관 차원의 성과를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김정은 집권 시기에는 '사회주의 선경'과 같은 경관 서열화의 용어를 채택했다. 이는 과거의 것과 명확히 구분되는 경관의 가시화 장치의 하나로 풀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