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흐름의 가시화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7초

2차원 수리해석을 위한 범용 소프트웨어(RAMS) 개발 (Development of General-purpose Software for 2D Hydraulic Analysis Analysis(RAMS))

  • 고태진;장형상;김도헌;김유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3-427
    • /
    • 2007
  • 현재까지 하천의 흐름, 유사이동, 수질해석을 위해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주로 사용해 오고 있었다. 학술 분야에서는 국내의 모형들이 연구되어졌지만 그에 따른 GUI나 가시화 시스템에 대한 실용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 2차원 하천 흐름,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한 GUI 및 가시화 시스템(이하 RAMS, River Analysis and Modeling System)을 개발하여, 하상변동 및 오염물 이송확산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RAMS는 크게 mesh generator, 해석 모형의 입력 GUI 모듈, 입출력 파일 생성 모듈, 그리고 모의 결과의 가시화 시스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Mesh generator는 지형자료(이미지 또는 DXF 파일)를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가져올 수 있으며, 삼각형 노드와 사각형 노드를 지원한다. 또한 thin triangle들을 제거하는 기능, 선택된 요소(elements)를 제거하는 기능, triangle들을 서로 병합하여 사각형 요소를 만드는 기능, mesh의 renumbering 기능 등을 구현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잘못 생성한 요소들을 바로 이전 상태로 환원하는 undo/redo 기능을 구현하여 능률적인 mesh 생성이 가능하다. 해석 모형의 입력 GUI 모듈에는 각 해석 모형(흐름, 수질, 유사이동)에 특화된 GUI를 설계하여 사용자는 보다 친숙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 입출력 파일 생성 모듈에서는 사용자가 GUI를 통해 입력한 자료를 파일로 변환하여 즉각적으로 모의를 수행하며, 그 출력 파일을 읽어 모의 결과를 자동적으로 가시화한다. 모의 결과의 가시화 시스템에서는 수많은 모의 결과를 체계화하여 등고선 및 화살표 등으로 표현하며, time step 별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time step에서의 모의 결과를 연속적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애니메이션을 AVI 파일로 변환하여 다른 동영상 프로그램에서도 재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AMS를 이용하여 하천 설계 시 그 공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국산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의 흐름, 수질, 유사이동 해석에 의한 하천의 수리학적 거동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태학적 모형화를 위한 수중에서의 유동 입자의 가시화 연구 (The Visualization of Moving Particles for Ecological Modeling)

  • 신복숙;김경현;차의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582-584
    • /
    • 2003
  • 본 논문은 수중에서 유동하는 입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유체의 흐름에 따라 분산되는 입자의 분산정도 그리고 입자의 침강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계산형 3차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계산형 시스템은 물과 같은 공간에서 움직이는 입자들을 고려하고 있는데, 물의 흐름을 위해 운동량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일반화하여 흐름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물이라는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입자간에 작용하는 부력, 침강력등의 물리적인 힘을 적용시키고 있다. 이렇게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외부적 요인에 따라 움직임을 달리하는 유동 입자들은 실제 울에서와 같이 유사하게 가시화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시화된 유동 입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입자들의 침전패턴까지도 미1리 예측해 낼 수 있게 된다.

  • PDF

고체추진 내부유동 모사를 위한 수동시험 (Water Tunnel Test to Simulate Internal Flows of a Solid Rocket Motor)

  • 김혜웅;강승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체추진기관 내부유동 모사를 위한 수동에서의 흐름가시화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이 기법은 고체추진기관 내부에서의 와류 거동들에 대한 적절한 모사로 내부 추진제 그레인 형상 설계시 활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동을 설계하였으며, 물감, 수소기포발생기 및 입자영상속도계 기법을 활용한 흐름가시화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하천에서의 흐름변동 조사 (Investigation of Current Fluctuation at a River)

  • 이현석;권형중;김영성;이근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22-526
    • /
    • 2007
  •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의 경년변화를 조사하다 보면, 사주 변동에 따라 하천의 주 흐름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특정 하천의 지정된 구간에서의 흐름변동은 많은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짧은 시간 동안 자연하천에서의 주 흐름 변화를 관찰 하기는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에, 하천에서의 주 흐름 변동에 따른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조정지 댐에서의 수문 조작"이라는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함으로서 가능하였다. 모든 조정지 댐에서는 하천 유지를 위한 일정양의 물을 수문을 통하여 방류한다. 대청댐 하류에 있는 조정지 댐에는 폭이 약 10m에 이르는 10개의 수문이 있다. 평상시에는 우안으로부터 5번째에 있는 중앙의 수문을 개방하여 초당 약 18톤의 물을 방류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류하고자 하는 지점의 수문높이를 조정하여 일정량을 유지한 채, 수문의 위치를 중앙에서 좌안 그리고 우안의 순으로 변경 하였다. 방류 수문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하천에서의 수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흐름이 안정 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린 후, 각각의 경우에서의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현지관측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첫째 지형측량, 유량측정 및 수위변동 등을 포함한 정밀현장조사, 둘째 일반적인 모델에 정밀조사 결과를 적용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는 가시화 기법 개발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한 모델은 하천에서의 흐름거동을 2차원적으로 해석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프로그램인 SMS (Surface-Water Modeling System)의 RMA2 모형이다. 이모형은 RMA (Resource Management Associates, Inc.)에 의해 처음 개발된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이며 지배방정식은 z방향을 수심 적분한 2차원 천수방정식으로, x와 y방향에 대한 Navier-Stokes 방정식과 연속 방정식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시 지배인자 파악의 중요성 및 수치계산을 위한 검증자료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한 계산 결과 및 다양한 현장 특성을 고려한 계산 결과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1)최신 장비들의 도입 및 검증과 기존 장비의 활용 범위 확대, (2)기존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하천 흐름특성의 가시화 실현 등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이산와법에 의한 2원주 주위의 유동장 가시화 (Visualization of flowfield around Two Circular Cylinders by a Discrete Vortex Method)

  • 노기덕;이영훈;손영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66
    • /
    • 2002
  • The Flow patterns around two cylinders in various arrangements were studied by a discrete vortex method. The flow for the surface of each cylinder was represented by arranging bound vortices at adequate intervals. The viscous diffusion of fluid was represented by the random walk method. The vortex distributions, streaklines, timelines and velocity vectors around two cylinders were calculated for centre-to-centre pitch rations of P/D=1.5 and 2.5, attack angles of $\alpha=0^{\circ},\;30^{\circ},\;60^{\circ},\;and\;90^{\circ}$, correspond to the photographs by flow visualization and the flow intereference between two cylinders in var ious arrangements was clearly visualized by a numerical simulation.

  • PDF

스텔스 무인전투기 형상의 와류 거동에 대한 흐름가시화 연구 (Flow Visualization Study on Vortices over a Stealth UCAV Configuration)

  • 강승희;이도관;현재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67-473
    • /
    • 2007
  • 스텔스 무인전투기 형상 주위 유동장의 수동에서의 흐름가시화 시험을 통한 기본 공력 특성 파악 연구가 수행되었다. 시험은 자유류 속도 12.7 cm/sec와 평균시위 기준 레이놀즈수 $1.4{\times}10^4$에서 수행되었다. 물감을 사용하여 가시화된 와류의 생성 및 붕괴 현상은 앞서 수행된 힘과 모멘트 측정 결과와 비교되었다. 시험 결과 낮은 받음각에서는 동체와 날개 junction 와류가 큰 영향을 주지만, 높은 받음각 영역에서는 전방동체 와류 거동이 공력에 지배적인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유선 표현법을 이용한 보강판의 진동파워흐름에 대한 개선된 전달경로 가시화 (Improved Transmission Path Visualization of Vibration Power Flow for Stiffened Plate Using Streamlines Representation)

  • 누룰 파와지;정운창;오재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692-700
    • /
    • 2012
  • 진동 인텐시티는 진동시스템의 원인을 찾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 뿐만 아니라, 균열의 확인과 보강재 설치와 같은 구조물의 진단에 사용되어 왔다. 진동원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에너지 전달경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유동 가시화가 필요하다. 이전 연구의 대부분은 진동에너지의 크기와 방향, 전달경로를 가리키는 벡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판과 같은 구조물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벡터 가시화를 사용하여 명확한 전달경로를 알아낼 수 없었다. 이것은 전체 판 표면에 대한 상세한 벡터 흐름이 필요한 경우에 문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명확하게 모든 판 표면의 파워 흐름 전달경로를 표시하기 위해 유선 가시화가 사용되었다. 유선 가시화를 사용함으로써, 분명한 전달 경로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판의 에너지 흐름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 벡터 가시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우선 진동 인텐시티 계산의 검증을 위해 이전 연구와 비교를 한다. 명확하게 파워 흐름 전달경로를 표시하기 위해 유선표현을 사용하였다. 이 표현법은 보강판의 분명하지 않은 벡터 방향을 보완해 준다. 보강판과 보강되지 않은 판의 에너지 전달경로의 패턴 차이를 유선 표현법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복잡한 유선 패턴은 벡터표현으로 분명하지 않은 높은 공진주파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업무흐름 관리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a Workflow Management System)

  • 박헌규;송철민;박노준;윤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550-552
    • /
    • 1998
  • 업무흐름 관리 시스템은 기업, 연구소 등에서 BPR 이나 IT 투자에 대한 효과를 가시화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업무흐름 관리 시스템은 점점 복잡해지는 기업의 업무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이 시스템에서 정의한 업무흐름을 실제로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업무흐름 수행 서비스(Workflow Enactment Service)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개발한 업무흐름 관리 시스템의 구조와 업무흐름 수행 서비스의 설계 모습과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루버 핀을 지나는 공기의 유동특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Air Flow Characteristics in Louvered Fins)

  • 강창수;최태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276-1293
    • /
    • 1993
  •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된 모델보다 훨씬 폭이 큰 23.5mm 루버 핀형 방열기용 열교환기를 모델로 삼고, 레이놀즈수가 500 이하인 저 레이놀즈수(100, 300, 500), 루버 각(22˚,24˚,28˚) 및 핀 피치 와 루버 피치의 비 Fp /Lp(1.23, 1.5) 등의 변화 에 따른 핀 내부의 유동, 전열 특성 및 압력분포등의 영향을 유한차분법으로 수치해석 하였다. 또한 동일한 루버 핀에대해 13:1 모델을 제작하여 염료주입법에의한 유동의 가시화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