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추가동운동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칼텐본을 접목한 흉추가동운동이 20대 대학생의 복합적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Using Kaltenborn on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of 20's Normals)

  • 서교철;장영창;김대룡;박승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1-57
    • /
    • 2020
  • 본 연구는 칼텐본을 접목한 흉추가동운동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대조군으로 무작위 동공선택방식으로 그룹 배정을 하였다. 실험군은 횡격막 호흡운동 15분과 칼텐본을 적용한 흉추가동운동 15분으로 구성되고, 대조군은 횡격막 호흡운동으로 30분간 훈련하였으며, 두 군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폐기능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전·후 폐기능을 분석해 보면, 실험군은 TV, IRV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실험후에 두 집단간의 변화검증에서도 TV와 IRV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칼텐본을 이용한 흉추가동운동이 폐 기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임상에서 호흡훈련 시 일반적인 호흡훈련에 흉추가동운동을 함께 접목하는 치료방법이 적극적으로 중재되기를 기대하며 다양한 추가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흉추가동운동과 제자리 달리기 운동이 20대 대학생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20s Subjects according to Thoracic Mobility Exercise and Place Running Exercise)

  • 김종우;황병준;박윤기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5-69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lace running exercise that combines thoracic mobility exercise program increases pulmonary function of the 20s subjects. Method: Thirty subjects in their 20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 experimental group (n=15) or control group (n=15).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lace running exercise that combines thoracic mobility exercise program for 30 minutes three times per week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place running exercise and thoracoabdominal stretching exercise for 30 minutes three times per week. Subjects were assessed pre-test and post-test by measurement of pulmonary function Results: Our finding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iratory reserve volume and vital capacity and maximal voluntary capacity (p<.05). In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vital capacity and maximal voluntary capac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pulmonary fun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place running exercise that combines thoracic mobility exercise program exercise is effective at increasing the pulmonary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