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부 X선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3초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발현한 폐장의 암종성 림프관염 환자 5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Five Cases of Lymphangitic Carcinomatosis of the Lung Presented as Diffuse and Interstitial Disease)

  • 성영주;최수전;이봉춘;김동순;서연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1호
    • /
    • pp.55-61
    • /
    • 1992
  • 연구배경 : 폐장은 악성종양이 가장 잘 전이하는 장기로 대부분은 혈행성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절형태로 나타나나, 드물게는 림프관을 따라 전파되어 흉부 X선 검사상 미만성 간질성 폐침윤 양상으로 나타나기도한다. 때로는 이러한 림프관성 전이가 원발성암의 증상이 뚜렷치 않으면서 호흡기 증상과 흉부 X선 검사상 미만성 간질성 폐침윤이 보여 다른 간질성 폐질환과의 감별을 요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경기관지 폐생검으로 암종성 림프관염이 진단되었던 5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 임상소견, 폐기능검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기관지 폐포 세척술과 경기관지 폐생검 검사로 진단을 얻었다. 결과 : 종양의 원발병소는 5명중 3명이 위암이었고, 2명은 폐암으로 생각되었다. 폐기능검사상 2명의 환자에서는 폐확산능이 감소된 제한성 환기장애를 보인 반면 한명에서는 폐쇄성 환기장애를 보였다. 기관지 폐포 세척술에서는 4명의 환자에서 모두 림프구 증가소견을 보였고 세포학적 검사상 이중 한명에서는 암세포도 관찰되었다. 경기관지 폐생검 검사에서 림프관에만 국한된 암세포가 관찰되었고, 이들의 cell type은 4명이 선암종이었고, 1명은 편평 상피 암종이었다. 결론 : 드물게, 암종성 림프관염은 원발성암의 증상이 없이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경기관지 폐생검 검사로 쉽게 진단되어 질수 있다.

  • PDF

급성 괴사성 클렙시엘라 폐렴의 외과적 치료 -2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Acute Necrotizing Klebsiella Pneumonia -Two cases report-)

  • 류경민;김삼현;박성식;류재욱;최창휴;박재석;서필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84-488
    • /
    • 1999
  • 광범위 폐괴저는 매우 빠른 폐실질의 파괴를 보이는 대엽성 폐렴의 치명적인 합병증으로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주원인균으로는 Klebsiella pneumoniae, Pneumococcus, Aspergillus 등이 있다. 흉부X선 검사상 폐엽의 고형질화 및 폐용적 증가 \ulcorner의한 폐엽간구의 융기현상을 보이며,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작은 공동을 포함한 광범위한 폐실질의 파괴를 나타낸다. 치료는 조기 수술적 절제와 함께 항생제 치료가 추천되며, 수술적 치료가 안되었을 경우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에 이어 사망에 이르는 것이 통상적인 진행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Klebsiella 폐렴에 이어 빠르게 진행하는 폐괴저에 대한 2례의 수술을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결핵 환자에서 발생한 점액표피양 암종 1예 (A Cas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

  • 정재만;송주영;홍재락;김영준;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4호
    • /
    • pp.429-434
    • /
    • 1994
  • 저자들은 폐결핵 치료중 흉통, 발열, 기침 등 폐렴소견과 단순흉부 X 선상 결핵의 악화소견으로 본 병원에 입원한 67세 남자에서 순차적인 단순흉부X선과 기관지 내시경 및 조직생검을 통하여 좌측 주기관지에서 발생한 고등급의 점액표피양 암종을 확인하였으며, 진단후 17개월만에 사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흉부 손상과 함께 우상지에 절단에 가까운 열창을 입은 교통 사고 환자에서 발견된 폐동맥 내 이물질 - 1예 보고 - (A Foreign Body Found in the Pulmonary Artery of a Traffic Accident Victim with a Chest Injury and Near-amputation of the Upper Extremity - A case report -)

  • 최광민;김흥철;조광윤;김형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36-539
    • /
    • 2008
  • 52세 여자는 승용차 조수석에 앉아가다가 타차와 충돌후 다발성 늑골골절과 혈기흉과 함께 다량의 출혈을 야기한 우측 전완의 절단에 가까운 손상을 입었다. 응급실에 도착시 명료하지 못한 의식과 저혈압의 소견을 보였다. 혈액량 감소 쇼크로 판단되어 다량의 혈액과 수액을 급속수액주입기(레벨 1)를 이용하여 좌측 쇄골하정맥관을 통해 주입하였다. 폐좌상의 소견이 호전되었을 때 일반 흉부 X선 사진의 좌폐야에 이물질이 확인되었다. 폐동맥조영술에서 15 cm 정도의 이물질이 좌측 폐기저동맥에 있었다. 경피적 중재시술을 통해 혈관 겸자로 잡아 제거할 수 있었다.

흉부 X선 영상에서의 전역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폐 영역 분할 연구 (Lung Segmentation Considering Global and Local Properties in Chest X-ray Images)

  • 전웅기;김태윤;김성준;최흥국;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829-840
    • /
    • 2013
  • 본 논문은 흉부 X-선 기반으로 전역적 특성을 고려한 1차 영역 분할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2차 영역 분할을 결합한 폐 영역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1차 영역 분할은 랜드마크 기반의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한 모델을 기반으로 일정 형태를 유지하며 경계선을 탐색하는 능동 형태 모델을 적용하였다. 2차 영역 분할은 국부 영역에 대하여 에너지를 산출하고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윤곽선을 탐색하는 국부 영역 기반 윤곽 모델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장의 영상을 전문가가 수동으로 분할한 영역과 제안한 방법을 통해 분할된 영역의 결과에 대한 다이스 계수를 계산하였으며, 유사도는 $95.33%{\pm}0.93%$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영상 분할 방법은 흉부 x-ray 영상에서 더 정확한 초기 진단과 예후 추정을 위한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의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외상성 횡경막 손상 28례 분석보고 (Clinical Analysis of Traumatic Diaphragmatic injuries Report of 28 cases)

  • 장진우;이연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02-407
    • /
    • 1997
  • 1986년 3월부터 1995년 3월까지 본 마산삼성 병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총 28례의 외상성 횡 경 막 손상 환자를 분석 하였다. 들상에 의한 경우가 20례, 자상인 경우가 8례로서 둔상인 경우 1)례가 좌측, 자상인 경우 5례가 좌측으로 전반적으로 좌측이 우측보다 많았다. 대부분 다발성 손상을 동반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흉통, 호흡곤란, 복통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내원당시 응급실에서 횡경막 파열을 의심할 수 있었던 경우는총25례로서 흉부X선 20례 UGI 3례, 폐쇄식 흉관 삽관식 손가락으로 파열공의 직접 확인이 2례 였다. 수술적 접근은둔상의 경우개흉술이 16례,개흉복술이 1례,개복술이 I례며,관통상의 경우는개흉술 3례, 개복술이 5례로서 수상후부 터 수술까지의 경과시간은 5시간 이내가 19례였다. 좌측 손상시 12례에서 위장이 늑막강내로 올라가 있었으며, 모든 결손은 비홉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직접 단순 봉합을 하였으며, 술후 5례에서 패혈증, 저혈성 쇽크, 두부손상, 신부전 으로 술후 3일이내 사 망하였다.

  • PDF

중엽증후군 (Middle Lobe Syndrome)

  • 이용훈;김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21-625
    • /
    • 1996
  • "중엽증후군"의 용어는 Grahaml)등에,의해 처음 기술되어졌으며 대개 비후된 림프절에 의해 기관지 가 외부적으로 압박되 어 발생된다고 하였다. 환자들은 거의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가장 흔한 발현 증상 은 기침, 호흡 곤란, 반복되는 발열, 객혈, 그리고 흥통 등이다. 진단방법은 흉부 X선, 기관지경검사, 기 관지조영술, 흉부컴퓨터단층될영 등이며 대개 공기가 없이 압축된 중엽이 중요한 소견이다. 본 저자들은 1990년 3월에서 1995년 5월까지 15례의 중엽증후군을 경 험하였으며 그 중 11례에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엽 증후군의 환자에서 수술적용은 악성 종양이 의심되거나,비가역적 기관지 확장증,기관지협착증,약물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치료후 반복되는 감염 등의 경우에 시행하였다. 수술은 중엽절제술 8례,중엽 및 하엽절제술2례,상엽 및 중엽절제술 1례를시술하였다. 수술후 병리조 직소견상 결핵 6례, 만성감염 3례, 악성 종양 1례, 국소적 출혈 1례의 소견을 보였다 술후 합병증은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그 중 1례에서 술후 폐허탈, 1례에서 간장장애를 경험하였으며 치유되었다.였으며 치유되었다.

  • PDF

흉부 X선 촬영 시 산란선 분포 연구 (Distribution of the Scatter Ray on Chest X-ray Examinations)

  • 조평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55-260
    • /
    • 2012
  • 흉부 X-선 촬영 시 피사체의 유무, 촬영실내 X선관과 수광계 (image receptor), 환자 보기창 앞, 환자대기실 출입문 외측, 출입문 개폐여부, 방사선 관계 종사자 출입문 외측, 방사선 관계 종사자 출입문 개폐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공간산란선발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공간산란선발생에 대한 연구 결과 피사체가 있을 때 수광계 (image receptor) 위치; Chest PA: $663{\pm}3.4$ mR/h, Chest Lateral: $2,067{\pm}3.7$ mR/h, X선관 위치; Chest PA: $293{\pm}2.1$ mR/h, Chest Lateral: $927{\pm}1.9$ mR/h, 환자대기실 출입문 외측 열고; Chest PA: $17{\pm}1.6$ mR/h, Chest Lateral: $88{\pm}2.6$ mR/h, 방사선 관계 종사자 촐입문 외측 열고; Chest PA: $3{\pm}1.6$ mR/h, Chest Lateral: $19{\pm}1.6$ mR/h), 피사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각 각의 측정지점에서 산란선 발생이 많았고, 출입문을 닫고 측정한 경우 산란선이 더 적었다. 그러므로 방사선 관계종사자는 촬영실내 산란선 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인지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흉강경 수술로 확인한 우연히 발견된 기흉을 동반한 심막결손 (Incidentally Detected Pericardial Defect in a Patient with Pneumothorax as Confirmed on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조현우;강은주;김문성;정상석;이기남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749-755
    • /
    • 2021
  • 선천성 심막결손은 대부분의 환자가 무증상을 보이는 드문 질환으로 전체 혹은 부분 심막결손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기흉 증상으로 인해 우연히 좌측 선천성 심막결손을 진단받은 19세 남성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일반 흉부 X선 사진 및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외상의 흔적이 없는 무기폐, 상행대동맥의 우측에 비정상적으로 위치한 공기, 좌측 흉부로 전위된 심장, 그리고 납작한 흉곽이 보였다. 뒤이은 흉강경검사에서 좌측 심막결손과 왼쪽 흉강으로의 심장 전위가 확인되었다. 이는 영상의학적 소견과 수술적 소견이 잘 일치하는 자발성 기흉이 동반된 선천성 심막결손에 관한 보고이다.

흉부 X-선 영상에서 심장비대증 분류를 위한 합성곱 신경망 모델 제안 (Proposal of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for the Classification of Cardiomegaly in Chest X-ray Images)

  • 김민정;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13-62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흉부 X선 영상에서 정상 심장과 비정상 심장(심장비대)을 분류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 및 테스트 데이터로는 경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정상과 심장비대를 진단받은 환자들의 흉부 X-선 이미지를 획득하여 사용하였다. 제안된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였을 때의 정상 심장 및 비정상 심장(심장비대) 분류 정확도는 99.88%였다. 정상 심장 영상을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였을 때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및 F1 Score는 95%, 100%, 90%, 96%였다. 비정상 심장(심장비대) 영상을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였을 때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및 F1 Score는 95%, 92%, 100% 및 96%였다. 이러한 학습 및 테스트 분류 결과로 제안된 합성곱 신경망 모델은 흉부 X-선 영상의 특징 추출 및 분류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합성곱 신경망 모델은 흉부 X-선 영상의 질환 분류에 있어 유용한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며, 다른 의료 영상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