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부 방사선 검사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4초

비-류마티스성 거대 좌심방의 심장 초음파 검사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Echocardiography of Non-rheumaic Giant Left Atrium)

  • 지명훈;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43-451
    • /
    • 2022
  • 본 증례에서는 비-류마티스성에 의한 GLA가 관찰되어 이를 초음파검사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증례 환자는 60세 남성으로 호흡곤란과 심계항진으로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영상의학적 검사는 흉부 엑스선 검사와 CT검사를 진행하였고 거대 좌심방을 확인하였다. 거대 좌심방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심장 초음파 검사 좌심방의 크기와 볼륨을 simpson's method로 평가하였으며 일반적인 거대 좌심방보다 LVEDVI가 6배 큰 거대 좌심방을 평가 할 수 있었다. 또한 류마티스성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발생한 거대 좌심방은 매우 드문 증례로 평가된다. 비-류마티스성 거대 좌심방은 기능적인 이첨판 역류증, 이완기 기능장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형태학 및 혈류역학적 검사가 모두 가능한 초음파검사가 유용한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MDCT 검사에서 환자 체중을 이용한 선량 평가 (Estimate of Radiation Doses in MDCT Using Patient Weight)

  • 권성욱;동경래;권대철;구은회;최지원;정운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3호
    • /
    • pp.246-252
    • /
    • 2010
  • 환자가 두부, 흉부, 복부 MDCT 검사에서 피폭되는 선량을 평가하였다. 선량의 지표는 CTDIvol, DLP, 유효선량을 평가하여 환자의 체중과 선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CT 검사에서 검사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으로 두부(520명), 흉부(531명), 복부(724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TDIvol과 DLP 평균선량은 두부검사에서 CTDIvol (48.6 mGy), DLP (1,604 $mGy{\cdot}cm$), 흉부검사에서 CTDIvol (6.9 mGy), DLP (250 $mGy{\cdot}cm$), 복부는 CTDIvol (10.5 mGy), DLP (575 $mGy{\cdot}cm$), 유효선량은 두부, 흉부, 복부에서 3.6, 4.2, 8.6 mSv로 분석되었다. 환자의 체중과 선량과의 상관분석에서 두부, 흉부, 복부에서, 두부는 상관관계가가 보이지 않았고, 흉부는 CTDIvol ($r^2$=0.62), DLP ($r^2$=0.694), 복부는 CTDIvol ($r^2$=0.691), DLP ($r^2$=0.74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냈다. 검사에 따른 체중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검사 하면 방사선 피폭에 의한 선량을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임산부의 흉부 후-전 방향 방사선검사 시 적절한 차폐막 높이 (Optimal Height of Shielding Plate of Radiation in Posteroanterior Chest Radiography for Pregnant Women on Korea)

  • 주영철;김규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2호
    • /
    • pp.97-10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educing unnecessary radiation dose to the abdomen and fetus of pregnant women by presenting proper height of shielding protector for efficient abdominal shielding in chest PA examination of Korean pregn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8 persons who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mong 798 pregnant women who had chest PA examination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6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Measurements was performed from the apex of the right and left lungs to costophrenic angle of the right and left lungs and to the lowest costophrenic angle among the right and left lungs at the top of the image(this line called Joo's line in this study). The mean of the right and left lung height of pregnant women were 259.09 mm and 263.57 mm, respectively. Also, the average height of the Joo's line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proper abdominal radiation protection was 322.15 mm. For proper and efficient abdominal radiation protection for pregnant wom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hielding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egnant woman. It is appropriate that the height of the shielding protector should be adjus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hield is located at 342.30 mm below from upper part of the detector.

건강검진에서 지방간 진단의 상복부초음파검사와 간 Hounsfield Units 측정값과의 정확성 분석 (Fatty Liver Diagnostics from Medical Examination to Analyze the Accuracy Between the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Liver Hounsfield Units)

  • 오왕균;김상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229-235
    • /
    • 2017
  • 상복부초음파검사에서 간실질의 에코 음영증가와 불명확한 혈관경계 등으로 지방간을 진단하는데, 여러 연구들에 의하면 지방간 진단에 84~95%의 특이도와 60~90%의 민감도를 가지나 결과가 검사자에 의존적이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지방의 침윤 상태의 정량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다. 건강검진의 상복부초음파검사와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를 같은 날에 시행한 수검자중 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을 진단 받은 환자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간(Liver) Hounsfield Units(HU)를 측정하여 지방간 진단의 정확성을 연관분석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수검자 720명 중 가정의학과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고 지방간 판정을 받은 자는 448명으로 62.2%였다. 지방간 판정자의 CT영상에서 간 HU를 측정한 결과 40 HU 이하의 측정값은 720명 중 175명으로 24.3%이며, 초음파에서 진단 받은 448명에 175명 중 173명이 포함되어 98.9%가 일치하였다. 이는 지방간을 초음파로 진단 시 검사자의 주관적 경험과 능력이 병변을 진단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며 검진 CT검사에서 간 HU를 측정하여 40 HU 이하는 영상저장을 통하여 지방간 진단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결절 환자에서의 새로운 방침 (New Paradigm for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 Expecting Thoracoscopic Resection)

  • 조민섭;심성보;왕영필;조건현;서종희;곽문섭;이선희;김학희;문석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48-753
    • /
    • 2003
  • 배경: 폐결절은 경우에 따른 특히 경피침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검사 후 병리세포검사로 확진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부분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요한다. 그러나 결절의 크기나 작거나 폐실질 깊숙이 위치한 경우에는 술 전 또는 술 중에 결절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등이 이용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결절을 경피침생검 시 방사선 비투과성 백금조각(이하 결절표시기)을 생검 전 또는 생검 후에 결절 내 또는 결절주위에 위치하여 병리조직검사에서 확진이 어려운 경우에 흉강경수술 시 재차 술 전 폐결절표시 과정을 피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부 CT검사하여 경피침생검과정에 생검침을 결절내부 또는 결절인접부위에 위치한 경우에 결절 표시기를 생검침내부에 위치한 후 스타일렛을 이용하여 결절표시를 서서히 밀어 넣어 결절 내 혹은 인접부위에 위치한 것을 CT검사에서 확인한 다음 결절의 생검검사를 한다. 결과: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 사이에 26명의 환자에서 28 결절을 대상으로 1예를 제외하고 모두에서 결절표시기를 결절 내 혹은 주위에 위치하였다. 이중 7건은 생검을 하지 않고 흉강경수술을 위하여 결절표시기를 위치하였고, 21건의 흉강경수술 중 18예(85%)에서 결절의 위치파악을 파악하거나 결절절제시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술 중 이동용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하였다. 결론: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결절에 대한 저자들의 방침이 흉부 CT검사하 폐결절 위치 표시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의료비,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

일부 농촌 지역의 질병양상에 대한 실태보고

  • 오한진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9-194
    • /
    • 1996
  • 포괄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정의에게 농촌지역의 질병 양상 및 실태에 대한 파악은 중요하고 지역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노령화된 농촌지역의 만성질환의 유병율 및 실태에 대한최근의 연구는 많지 않을 것 같다. 본 연구를 위 한 진료활동은 농촌지 역의 2개면에서 가정의학과, 내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전문의에 의해 행해졌고 흉부 방사선 촬영 및 CBC, LFT, 요 검사, B형간염항원, 항체 등의 임상병리 검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479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194명 (40.5%), 여자가 285명 (59.5%)였고 연령별로는 60세가 남녀에서 가장 높았다. 조사 대상자의 만성질환 유병율은 66.2%였고 남녀에서 비슷한 수준이였고 질병의 빈도는 근 골격계 질환이 40.9%로 가장 높았고 순환기 질환, 소화기 질환, 호흡기 질환, 내분비 질환의 순서로 많았다. 농촌사회는 과거에 비해 더욱 고령화되고 만성질환의 유병율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농촌에 대한 보건복지정책의 수립과 더불어 지속적, 총체적,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지향하는 가정의는 더욱 많은 관심과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폐결핵 환자의 편측 전폐 파괴에 대한 좌우 비교 (Left to Right Ratio of Autopneumonectomy State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 신철식;정재만;임영재;김영준;고석신;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43-347
    • /
    • 1992
  • 연구배경 : 한쪽폐의 전체가 파괴되는 경우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이중에서 폐결핵으로 인하여 만성적 염증과 섬유화등을 통하여 파괴된 경우 그 좌우 발생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 최근 4년간 국립 공주 결핵뱅원 흉부내과에 입원하였던 2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입원 당시의 흉부 방사선 소견을 4가지로 분류하고 성별, 연령, 질병기간, 세균학적 검사를 조사하였다. 결과 : 1) 남녀비는 2 : 1이고 연령은 31~40세가 67명 (30%)으로 가장 많았다. 2) 질병기간은 대부분(88%)이 3년 이상 장기간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6~10년 사이가 87명(39%)로 가장 많았다. 3) 객담 검사상 대부분(80%)이 양성이었다. 4) 흉부 방사선 소견상 좌측폐 전체가 파괴되고 우측에 부분적 병변을 가진 경우가 181명(81%)으로 가장 많았으며 우측폐 전체가 파괴되고 좌측에 부분적인 병변을 가진 경우 31명(14%), 좌측 전폐 파괴만 있는 경우 11명(5%) 그리고 우측 전폐 파괴만 있는 경우 1명 이었다. 5) 성별, 연령, 질병기간 그리고 객담 검사와 흉부 방사선 소견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조사결과 폐결핵 환자에서 한쪽폐의 전체가 파괴되는 경우 주로 좌측임을 알게 되었다. 이는 폐결핵 자체의 직접전파, 폐결핵 합병증과 그에 따른 2차적 변화, 기관지 결핵 등에 있어서 좌측폐의 파괴가 더 용이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질병 기간에 따른 소견 및 질병 초기부터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하라라 사료된다.

  • PDF

소아 흉부 CT 검사 시 딥러닝 영상 재구성의 유용성 (Usefulness of Deep Learning Image Reconstruction in Pediatric Chest CT)

  • 김도훈;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97-303
    • /
    • 2023
  • 소아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 시 어린 환자들의 협조가 어려워 검사 실패나 재검사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딥러닝 이미지 재구성(Deep Learning Image Reconstruction, DLIR) 방법은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소아 환자들의 CT 검사에서 재검사율을 낮추면서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IR을 적용하여 소아 흉부 CT 검사에서 호흡이나 움직임으로 인한 노이즈를 줄이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영상을 얻기 위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경상남도 소재의 P병원에서 7세 미만의 소아 43명의 흉부 CT 검사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필터링 역 투영 재구성법(Filtered Back Projection, FBP), 반복적 재구성법(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 ASIR-50), 딥러닝 알고리즘인 True Fidelity-Middle(TF-M)의 영상을 비교하였다. 조영 증강된 흉부 영상 중 오른쪽 상행 대동맥(Ascending Aorta, AA)과 등 근육(Back Muscle, BM)에 동일한 ROI를 그리고 각 영상에서 HU값을 이용하여 노이즈(Standard deviation, SD)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ver. 22.0)를 사용하여 세 측정치의 평균값을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AA의 SD값은 FBP=25.65±3.75, ASIR-50=19.08±3.93, TF-M=17.05±4.45 로 나타났으며(F=66.72, p=0.00), BM의 SD값은 FBP=26.64±3.81, ASIR-50=19.19±3.37, TF-M=19.87±4.25 로 나타났다(F=49.54, p=0.00). 사후검정의 결과는 세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LIR 재구성 방법은 기존의 재구성 방법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노이즈 값을 보였다. 따라서 딥러닝 알고리즘인 TrueFidelity-Middle(TF-M)의 적용은 소아 흉부 CT 검사 시 호흡이나 움직임에 의한 영상 화질의 저하를 줄일 수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 노출 조절장치를 사용한 흉부 후·전 방향 방사선 검사 시 격자 유·무에 따른 환자 선량과 영상품질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Dose and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id During Chest PA Radiography using an Auto Exposure Control System)

  • 이소민;김한용;김동환;주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73-579
    • /
    • 2023
  • 본 연구는 자동노출조절장치를 사용하는 흉부 후·전 방향 방사선검사(Chest PA) 시 격자 사용 유·무 및 가상격자 사용에 따른 선량과 영상 품질의 차이 비교를 통해, Chest PA 시 임상적으로 새로운 격자 조합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체모형팬텀을 대상으로 Chest PA 자세에서 진행했다. 선량계는 흉추 6번 높이에 위치하였고, 조사 조건은 110 kVp, 320 mA, 1.6 mAs, SID는 180 cm, 조사야 크기는 17" × 17"로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물리적 격자를 적용한 상태와 미적용 상태에서 각각 30개의 영상을 얻었고, 물리적 격자 미적용 영상에 가상격자를 적용한 영상 30개를 추가로 획득하였다. 선량은 입사표면선량(ESD)을 측정하였고, 화질은 신호대잡음비(SNR)와 대조도대잡음비(CNR)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ESD는 물리적 격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약 48%의 감소 효과가 있었다. SNR은 물리적 격자 미사용 시가 사용 시보다 약 32% 증가하였고, 가상격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격자 사용 시 보다 약 18% 증가하였다. CNR은 물리적 격자 미사용 시가 사용 시보다 약 30% 증가하였고, 가상격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격자 사용 시보다 약 16%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물리적인 격자 대신 가상격자 사용 시 영상의 품질은 유지하되, 환자 선량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흉부 방사선검사에서 자동노출제어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of Automatic Exposure Control in the Chest Radiography)

  • 최성식;임청환;정성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1호
    • /
    • pp.19-24
    • /
    • 2019
  • For general radiological examinations, even in the same area and the same test, the test conditions must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atient.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sider the body shape and conditions of patients every time in medical institutions where various patients visit, the tests are conducted by setting the AEC which automatically sets the test conditions. AEC is most commonly used in chest radiograph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s for using AEC by measuring the exposure dose and evaluating the image quality according to whether the AEC is used or no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EC research. In the present study, images were acquired while varying tube voltage and test distance according to the use of AEC in chest radiography. The radiation dose was measured by placing the dosimeter in front of the chest phantom, and the CNR and SNR of acquired images were analyzed using Image J. Th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the level of 95%(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inspection distance (100cm, 140cm, 180cm) according to the use of AEC, high doses were observed when the AEC was used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the t-test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CNR and SNR depending on whether AEC was used or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e of AEC(p>.05). Therefore, when performing chest radiography, if the radiologist establishes the appropriate examination conditions and conducts the examination by not just relying solely on AEC,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to the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