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골절개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9초

흉골 정중선 절개와 방정중선 절개 접근술에 따른 돼지 심장 대혈관들의 외과적 해부구조의 육안적 비교 (Surgical Anatomy of the Sternal Median and Paramedian Approaches on the Junction of the Veins and the Arteries of the Pig Heart)

  • Mi-young A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5-99
    • /
    • 1999
  • 돼지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흉골 정중선 절개와 방정중선 절개 후 절개선에 나타나는 돼지 심장 대혈관들의 외과적 해부구조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고 심장적출 및 수술에 외과적 해부구조의 숙지가 필수적이므로, 체중 15kg - 25kg의 돼지 12마리를 4마리씩 3군, 즉 정중선절개군, 우측방정중선절개군, 좌측방정중선절개군으로 나누어 흉골열개 후 나타난 심장 대혈관들의 육안적 외과구조를 보고하고 심장적출술을 시도해 각 수술절개 접근법에 따른 수술의 용이성을 관찰하여 더 나은 수술접근법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측과 좌측 방정중선절개법에 의해 흉골을 완전 열개시에는 제 1흉골과 갑상연골 부위에서 정중선으로 접근하는 초승달형 절개를 통해 internal mammary artery의 절개 위험성을 피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흉골정중선절개에서는 상행대동맥의 정 중앙부에 aortic cannula를 쉽게 장착할 수 있었고 특히 비숙련자에게 더 적절한 수술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숙련자가 심장적출이 아닌 동맥관개존증등과 같은 심장수술의 경우에는 방 정중선절개로써 환축의 수술 후 통증을 감소시키고 조기치유가 가능하다면, 초승달형 절개법을 응용한 방정중선 절개를 권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임상적 관찰이 요구되는 바이다.

  • PDF

우측 흉골외측 절개를 이용한 승모판막 치환술 -1례보고- (Mitral Valve Replacement by Minimally Invasive Right Parasternal Incision -A Case Report)

  • 김학제;조원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15-1018
    • /
    • 1997
  • 개심술 특히 판막 질환의 수술에 있어서 정중 흉부 절개의 방법은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절개 방 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판막 질환의 수술시 우측 흉골외측 절개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최소화함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부속 구로병원에서는 우측 흉골외측 절개와 심방 중격 절개를 이용하여 1례의 승모판막 치환 술을 시행하였는데, 이 방법의 사용시 기존의 정중 흉부 절개의 방법과 비교하여 특이한 합병증이나 어려움 을 경험할 수는 없었고,훌릉한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환자는 수술 절개 부위에 대하여 미용적인 면에서 매우 만족하였다.

  • PDF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의 Vacuum-assisted closure를 이용한 치료 - 3례 보고 - (Vacuum-Assisted Closure in Treatment of Poststernotomy Wound Infection and Mediastinitis - Three cases report -)

  • 장원호;허균;박영우;김현조;정윤섭;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66-169
    • /
    • 2002
  • 흉골 절개술 후 종격동염은 드물게 발생하나 심장 수술후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창상 감염의 치료로서 창상세척과 변연 절개술 후 직접 상처 부위를 봉합하거나 근육 파판을 사용하여 왔다.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창상 감염의 새로운 치료로서 VAC(Vacuum-assisted closure) 술기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이 술기를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창상감염 띤 종격동염 환자 3명에게 성공적으로 적용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방식으로 흉골 부위 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다.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 -흉골하부절개술에 의한-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Lower half sternotomy-)

  • 최강주;김병훈;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9-382
    • /
    • 1999
  • 배경: 최소 흉골절개술에 의한 심장수술은 전통적인 정중흉골절개술보다 절개창의 크기가 작고 환자에게 술후 빠른 회복과 상처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상 및 방법: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8년 4월부터 7월까지 최소 흉골절개술에 의한 심장수술 25례를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평균나이는 30세, 평균체표면적은 1.5m2이었고 성별로는 남자 10명, 여자 15명이었으며 10세 미만 소아도 4명이었다. 수술은 승모판막질환 10례, 심실중격결손증 4례, 심방중격결손증 11례를 대상으로 하여 피부를 3번 늑간에서부터 검상돌기의 끝까지 정중 흉부선을 따라 절개하였다. 결과: 피부절개창의 길이는 평균 11cm이고 흉골은 2번 늑간에서 하부까지 정중절개하였는데 대상환자중 4례에서는 좌우 2번 늑간으로 T형, 17례에서는 좌측 2번 늑간으로 J형 횡절개를 하였고, 소아 4례에서는 횡절개를 하지않았다. 최소절개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고 통증이 적으며 수술후 중환자실 치료시간은 평균 20시간으로 짧아 환자와 가족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결론: 최소 흉골절개술에 의한 심장수술은 전통적인 정중흉골 절개술보다 환자의 회복이 빠르고 미용적 만족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최소절개로 인한 합병증도 없어 향후 이러한 수술법의 적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정중 흉골 절개술을 통한 상행, 궁부, 하행 대동맥 동시 치환 수술례 (One-Stage Ascending, Arch. and Descending Thoracic Aorta Replacement Through Median Sternotomy)

  • 이재원;이용직;이상권;주석중;윤석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75-679
    • /
    • 2002
  • 대동맥 궁 후방 또는 근위부 하행 흉부 대동맥에 병변이 있는 경우 일반적인 정중 흉골 절개술을 통한 접근 방법은 폐 질환으로 인한 유착이 심한 환자에 있어서 제한점이 있다. 본원에서는 객혈을 주소로 내원 한 근위부 하행 흉부 대동맥류 질환을 가진 66세 남자환자에서 정중 흉골 절제술을 통해 대동맥-폐간 유착 박리 등 폐조작을 가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상행, 궁부, 하행 대동맥을 치환함으로써 이에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흉골에 접한 재발성 대동맥류에서 초저체온 순환정지하에서의 흉골재절개 (Resternotomy for Recurrent Aortic Aneurysm Adherent to the Sternum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김상헌;김영학;김혁;정원상;강정호;지행옥;이철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108-111
    • /
    • 2004
  • 흉골에 인접한 재발성 대동맥류의 재수술 시, 흉골재절개 중 발생할 수 있는 동맥류의 뜻하지 않은 천공으로 인한 대량출혈의 위험성이 당면한 문제로 남아있다. 대퇴 동, 정맥 삽관을 통한 체외순환으로 초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 방법은 안전한 흉골 재절개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체온을 떨어뜨리는 동안에 생기는 심실세동을 동반하는 심근수축력 감소는 좌심실의 팽창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중심체온 저하 시 좌심실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맥혈의 배수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흉골재절개를 시행하기 전에 원심펌프를 이용한 적극적인 정맥혈의 배수를 통해 좌심실의 팽창없이 초 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에 도달한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최소 피부 절개술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 질환 수술 (Minimal Skin Incision with Full Sternotomy for Congenital Heart Surgery)

  • 박충규;박표원;전태국;박계현;채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68-372
    • /
    • 1999
  • 배경: 선천성 심장 질환에서의 최소 피부 절개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적다. 저자등은 수술상처를 최소화하면서 통상적인 수술수기 및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등은 1997년 4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선천성 심장 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최소 피부 절개술과 정중 전 흉골 절단을 통해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환자 질병 분포는 성인 환자가 5명(남:여=1:4)이며 이중, 심방 중격 결손증 3명, 심실 중격 결손증 1명, 부분 심내막상 결손증 1명이었고, 소아 35명(남:여=17:18)에서는 심방 중격 결손증 4명, 심실 중격 결손증 30명, 발살바 동맥류 1명이었다. 정중 피부 절개는 흉골 두번째 늑간하부에서 검상돌기 1~2cm상방까지 실시하였다. 흉골 하부 절단에는 일반 전기톱을, 흉골 상부 절단에는 특수 전기톱을 피부 밑에 삽입하여 전장의 흉골을 절단하였다. 그리고, 흉골 견인은 좌우 & 상하 양방향에 2개의 견인기를 각각 직각으로 거치하여 수술시야를 확보하였다. 결과: 흉골길이대비 피부절개의 길이는, 성인에서는 55.0$\pm$3.5%로 절개길이가 평균 12cm(10~13.5cm)였고, 소아에서는 63.1$\pm$3.9%로 평균 7.3cm(5.2~11cm)였다. 모든 증례에서 체외 순환시 필요한 동정맥 삽관을 추가적인 서혜부 피부 절개 없이 직접 대동맥 및 상하공 대정맥에 시행할 수 있었으며 좌심방벤트관은 필요시 삽입하였다. 전 례에서 수술사망이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소 피부 절개술에 따른 창상 감염 및 피부 괴사, 혈종 형성, 출혈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최소 피부 절개술과 정중 전 흉골 절개를 이용한 선천성 심장 질환 수술은, 통상적인 체외 심폐 순환을 할 수 있으며, 외관상 미용의 효과가 뚜렷하였고, 다양한 선천성 심질환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경복부 접근법을 통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 - 1 례 보고 - (Redo CABG Through a Transabdominal Approach - A Case Report -)

  • 김홍관;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53-555
    • /
    • 2002
  • 경복부 접근법은 관상동맥우회술후 재수술시 정중 흉골절개에 동반될 수 있는 위험성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접근법 중의 하나이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협심증이 재발한 59세 여자 환자에서 경복부 접근법을 통하여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검상돌기하 부위 에 경복부 절개술을 시행하고 개복한 후 이식혈관으로 우위 대망동맥을 준비하였으며, 우심실과 횡격막 사이의 유착을 박리한 뒤,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하지 않고 심박동하에서 우위대망동맥을 우관상동맥에 문합하였다. 술후 1일째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에서 문합부위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합병증 없이 술 후 4일째 퇴원하였다. 정중 흉골절개가 아닌 경복부 접근법을 통해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 재수술을 시행하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